문서의 을 확인하세요.
<colcolor=#f0ad73>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960420, #b82642 20%, #b82642 80%, #960420); min-height: calc(1.5em + 9.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제101·102대 이원익 | 제103대 윤방 | 제104대 신흠 | 제105대 오윤겸 | ||||
제106대 윤방 | 제107대 김류 | 제108대 이홍주 | 제109대 최명길 | ||||
제110대 홍서봉 | 제111대 이성구 | 제112대 최명길 | 제113대 신경진 | ||||
제114대 심열 | 제115대 홍서봉 | 제116대 김류 | 제117대 홍서봉 | ||||
제118대 김류 | 제119대 김자점 | ||||||
제120대 이경석 | 제121대 이경여 | 제122대 김육 | 제123대 정태화 | ||||
제124대 김육 | 제125대 이시백 | 제126대 김육 | 제127대 이시백 | ||||
제128대 정태화 | 제129대 심지원 | 제130대 정태화 | |||||
제130대 정태화 | 제131대 홍명하 | 제132대 정태화 | 제133대 허적 | ||||
제134대 정태화 | 제135대 허적 | 제136대 김수흥 | 제137대 허적 | ||||
제137대 허적 | 제138대 김수항 | 제139대 남구만 | 제140대 김수흥 | ||||
제141대 여성제 | 제142대 권대운 | 제143대 남구만 | 제144대 류상운 | ||||
제145대 서문중 | 제146대 최석정 | 제147대 서문중 | 제148대 최석정 | ||||
제149대 신완 | 제150대 최석정 | 제151대 이여 | 제152대 서종태 | ||||
제153대 이유 | 제154대 서종태 | 제155대 김창집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제155대 김창집 | 제156대 조태구 | 제157대 최규서 | }}} | |||
}}}}}}}}} |
신경진 관련 틀 | |||||||||||||||||||||||||||||||||||||||||||||||||||||||||||||||||||||||||||||||||||||||||||||||||||||||||||||||||||||||||||||||||||||||||||||||||||||||||||||||||||||||||||||||||||||||||||||||||||||||||||||||||||||||||||||||||||||||||||||||||||||||||||||||||||||||||||||||||||||||||||||||||||||||||||||||||||||||||||||||||||||||||||||||||||||||||||||||||||||||||||||||||||||||
|
<colbgcolor=#b82642><colcolor=#f0ad73> | |
출생 | 1575년 12월 12일[1] (음력 선조 8년 11월 1일) |
사망 | 1643년 4월 28일 (향년 67세) (음력 인조 21년 3월 11일) |
재임기간 | 제113대 영의정 |
1643년 4월 23일 ~ 4월 28일 (음력 인조 17년 3월 6일 ~ 3월 11일) | |
봉호 | 평성부원군(平城府院君) |
시호 | 충익(忠翼) |
본관 | 평산 신씨 |
자 | 군수(君受) |
부모 | 부친 - 신립 모친 - 전주 최씨 최필신(崔弼臣)의 딸 |
형제자매 | 남동생 - 신경유(申景礻+谷) 남동생 - 신경인(申景禋) 여동생 - 군부인(郡夫人) 신씨(1578 ~ 1622)[2] 여동생 - 광주 이씨 이대엽(李大燁)[3]의 처 |
부인 | 순창 조씨 조효경(趙孝敬, 1573 ~ ?)[4] |
자녀 | 슬하 2남 4녀 장남 - 신준(申埈, 1592 ~ ?) 장녀 - 신씨(1595 ~ ?) - 고흥 류씨 류우엽(柳于燁)의 처 차남 - 신해(申垓, 1598 ~ ?) 차녀 - 신을생(申乙生, 1605 ~ ?)[5] 3녀(서녀) - 이봉령(李鳳齡)의 처 4녀(서녀) - 이일(李佾)의 처 |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무관. 임진왜란 당시 탄금대 전투에서 사망한 신립의 아들이다.2. 생애
광해군이 즉위하여 대북이 정권을 장악하자 관직에서 물러나 있었다. 그러던 중 1623년(광해군 15) 음력 3월에 김류, 이귀, 이괄, 최명길 등과 함께 인조반정을 계획했다. 정작 본인은 반정에 직접 참여하지 못했으나 그래도 반정을 가장 먼저 계획했다라는 이유로 인조반정 공신인 정사공신에 올랐다. 흔히 이야기하는 인조 반정의 4대장 중 한 명이다.이괄의 난 당시에 흥안군 이제를 처형했고, 정묘호란 시기에는 인조를 옆에서 모시고 따라가 그 공으로 부원군이 되었다. 병자호란때는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피신할 기회를 마련해주었다. 1643년(인조 21) 영의정이 되고 얼마 되지 않아 사망했다.
김류와는 대를 이어서 친분이 깊었는데 아버지들과는 서열이 바뀌었다. 신경진의 아버지 신립이 도순변사이고 김류의 아버지 김여물이 신립의 부장이었다. 신경진은 나이가 김류보다 4살 어리고, 명목상 반정시 대장은 김류이기도 했다. 게다가 조선은 문치의 나라로 문신인 김류가 위일 수밖에 없었다. 영의정도 김류가 신경진보다 먼저 올랐고, 심지어 최명길도 신경진보다 먼저 영의정을 역임했다.
3. 묘역
서울특별시의 유형문화재 | ||||
94호 | ← | 95호 | → | 96호 |
효간공 이정영 묘역 | 충익공 신경진 묘역 | 문희공 유창 묘역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95호 | |
충익공 신경진 묘역 忠翼公 申景禛 墓域 | |
소재지 |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 산 69-1 |
시대 | 조선 시대 |
분류 |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
수량 / 면적 | 분묘 1基, 석물 8基, 토지 402.2㎡ |
지정연도 | 1995년 1월 25일 |
<colbgcolor=#b82642> 신경진 묘역[6] |
현재 서울특별시 중랑구 망우동에 신경진의 묘가 있다. 봉분은 하나이며 봉분 하단에는 호석이 둘러져있다. 묘 앞에는 묘비, 상석이 각기 1기 씩 있고, 망주석 1쌍과 문인석 2쌍이 있다. 문인석 2쌍 중 1쌍은 상석 양 옆에 있는데, 굉장히 크기가 아담해서 귀여운 느낌마저 준다.
<colbgcolor=#b82642> 신경진 묘역 근처에 있는 신경진의 신도비와 비각[7] |
한동안 이 신도비가 누구 것인지 알려지지 않은 적이 있었는데, 그때 사람들이 받침돌의 모양을 따서 '거북비'로 불렀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