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12 10:26:49

원당(붕당)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붕당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관학파
사림파 훈구파
동인 서인
북인 남인 소론 노론
세도정치
위정척사파 개화파
친청파 개화당
대한제국 이후 (공산정당)
붉은 계열은 원리주의적 강경파, 노란 계열은 탈이념적 정파, 푸른 계열은 개량주의적 온건파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친청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서인
西人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사림파 [[틀:훈구파|{{{#000,#ddd ▲ 훈구파}}}]]
선조
(1575 ~ 1608)
박순 윤두수 고경명 성혼 심의겸
이이 정철 황윤길 조헌 송상현
김명원 송익필 권율 윤근수 이항복
광해군 - 인조
(1608 ~ 1649)
오윤겸 신흠 심지원 이경석 정태화
청서 공서
노서 소서
김장생 김상헌 김류 신경진 이귀
김집 이식 김자점 이시백 최명길
효종 - 현종
(1649 ~ 1674)
청서 소서 노서
산당 한당 낙당 원당
송준길 송시열 김육 김자점 원두표
숙종
(1674 ~ 1720)
강경파 온건파
송시열 민유중 김수항 윤증 남구만
김만기 김석주 김만중 박세채 최석정
노론 소론
조선의 붕당
(관학파 · 훈구파 · 사림파 · 동인 · 서인 · 남인 · 북인 · 소론 · 노론 · 개화당 · 수구파 · 정동파 · 위정척사파 · 급진개화파 · 온건개화파)
}}}}}}}}} ||
1. 개요2. 상세3. 주요 인물

1. 개요

인조반정 후 형성된 공신 중심 온건파 공서에서 친원두표 중심으로 형성되었다.

2. 상세

『당의통략(黨議通略)』에 따르면, 인조조 말년 서인은 낙당(洛黨)·원당·산당(山黨)·한당(漢黨) 등으로 분화되었다. 형성된 이유는 소현세자 사망 뒤 동생인 봉림대군[1]이 세자가 되고, 소현세자의 빈인 강빈이 역모에 연계되고 사사되는 과정에서 각자의 입장에 따라 생겨난 것이다. 원당은 인조반정 온건파 공신 중심 원평부원군 원두표를 중심으로 하는 세력이었으며 친청도 아니고 반청도 아니었다. 소현세자 문제에 관해서는 온건 효종 지지파였다.

원당은 인조조 말기 같은 공서에서 갈라져 나온 낙당과 함께 권력을 독차지하였다. 그러나 효종 즉위 초 낙당과 함께 김집, 송시열을 비롯한 산당 세력들의 등용을 요청하였다. 이는 산당 세력들을 자신들의 당으로 끌어들여 산당의 명분을 자신들이 이용해서 주도권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그러나 산당은 정국의 일신을 위해 원당의 퇴출을 추진했다.

일례로 효종이 즉위한 지 한 달이 조금 지난 6월 22일, 송준길은 삼사 관원들을 동원해 김자점과 원두표 등의 인조공신에 대한 정치적 공세를 강화하였다. 김자점이 쫓겨난 이후 송준길 등 강경 산림은 연립 여당이였던 원당도 공격했다. 강경 산림은 원당의 영수 원두표에게 낙당-원당-한당-산당 4분당의 책임을 지라며 파직을 요청했다. 원두표 자신은 이미 붕당의 폐해를 지적한 소를 올린 적도 있었지만, 그 역시 원당의 영수였던 만큼 분당의 책임을 벗어날 수 없었다.

이로써 인조 대에 권세를 다투던 원당의 원두표 등은 왕이 바뀐 지 두 달도 채 못되어 관직에서 물러났고, 그의 혈족은 이후 소론으로 합류한다.

3. 주요 인물


[1]효종이다.[2] 인조대의 예조참의로, 김육의 탄핵을 받아 쫒겨났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