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5 01:52:25

오죽헌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寶物
}}}

파일:강릉시 CI_White.svg 강릉시의 관광
{{{#!wiki style="color:#fff;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0,#fff> 강릉대도호부 관아강릉선교장강릉통일공원경포도립공원경포아쿠아리움남대천오죽헌 • 옥계동물농장 • 안반데기 • 정동진참소리축음기·에디슨과학박물관 • BTS 버스정류장
파일:강릉시 관광브랜드 CI(좌우조합).svg }}}}}}}}}

한국 정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궁원 宮苑
누원 樓苑 임해전
성동동 전랑지
용강동 원지 유적
구황동 원지 유적
부여 궁남지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
안학궁 정원
경복궁 경회루
경복궁 향원정
조선
창덕궁 서총대
원림 苑林 만월대 금원
경복궁 북원
창덕궁 비원
조선
경희궁 후원
조선
인경궁
조선
자수궁
화계 花階 경복궁 아미산
창덕궁 낙선재
왕실누정 王室樓亭 망원정
용양봉저정
낙천정
조선
탕춘대
관원 官苑
누원 樓苑 장대 將臺 촉석루
영보정
방화수류정
연광정
통군정
인풍루
수항루
객사 客舍
동헌 東軒
군영 軍營
세검정
환아정
영남루
군자정
한벽루
지수당
죽서루
백상루
성천
강선루
육승정
함흥
칠보정
관덕정
감영 監營 영주관
부용당
오순정
명승 名勝 광한루
항미정
채미정
망양정
월송정
쌍수정
경포대
청간정
총석정
부벽루
칠성정
풍패루
해월정
사원 私苑
별서 別墅 정원 庭苑 석파정 ·
서울
옥호정 ·
서울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서울
무계동 별서 ·
반계 윤웅렬 별서 · 운림산방 · 서석지 · 귀래정 · 독락당 ·
다산초당 · 함안 무진정 · 남간정사
원림 苑林 부용원 ·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 임대정 · 부춘정 · 백운동원림 · 초연정 ·
용호정 · 요월정 · 심원정 · 초간정 · 용계정 · 만휴정
임천원 臨川苑 효사정 ·
서울
압구정 ·
서울
천일정 · 서벽정 · 농월정 ·
거연정 · 요수정 · 용암정 · 월연대 · 선몽대 ·
청암정 · 침수정 · 위양지 완재정
향원 鄕苑 영보정 · 무기연당 · 선교장 · 오죽헌 ·
방해정 · 쌍산재 · 진주 용호정원
사원 寺苑
정림사 연지 · 미륵사 쌍지 ·
남원
실상사 지당 · 송광사 계담 ·
수선사 정원 ·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경주
불국사 구품연지 · 청평사 고려선원 · 낙산사 의상대 ·
대흥사 무염지 · 통도사 구룡지 · 봉선사 화계 · 봉정사 영산암
기타
금장대 · 태화루
현대정원
진해루 · 월화원 · 외도 보타니아 · 별빛정원 · 황산불빛정원 · 39-17 마중 ·
발리정원 · 섬이정원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생각하는 정원 · 남이섬 · 원생정원
수목원 · 국가정원
파일:유네스코 세계유산 로고.svg: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

1. 개요2. 주요 시설물 및 건축물
2.1. 오죽헌2.2. 문성사2.3. 사랑채 및 안채2.4. 어제각2.5. 율곡기념관
3. 관련문서

1. 개요

오죽헌 소개 영상
보물 제165호, 정식 보물 명칭은 '강릉 오죽헌(江陵烏竹軒)'이다.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죽헌동에 있는 조선중기의 목조 건물로, 단일 주거 건축으로 역사가 가장 오래되었다. '오죽헌'이라는 명칭은 뒤뜰에 검은 대나무가 자란 것을 계기로 붙었다. 검은 대나무를 까마귀 오(烏) 자를 써서 오죽(烏竹)이라고 부르기 때문이다. 신사임당의 친정집으로 이곳에서 율곡 이이가 태어났다.

1975년에 오죽헌 정화 사업으로 율곡의 영정을 모신 문성사를 비롯해 자경문, 율곡기념관 등을 신축하고 강릉시립박물관과 통합되어 1998년에 개관하였다. 오죽헌 입구에서는 ‘세계 최초 모자 화폐인물 탄생지’라는 소개 문구로 장소를 소개하였다.

오죽헌은 본래 신사임당 생전에 건축된 것이 아니라, 그보다 약 백년 전인 15세기 중엽에 건축된 것이 상속되어 신사임당에 이르게 된 것이다. 오죽헌을 건축한 인물은 최치운[1]이라는 강릉의 명사이며, 최치운에게서 그의 아들 최응현에게 상속되었고, 최응현에게서 그의 사위인 용인 이씨 이사온에게로 상속되었으며, 이사온에게서 사위인 평산 신씨 신명화에게 상속되었다. 이 신명화가 바로 신사임당의 아버지이자, 율곡 이이의 외할아버지다. 이후 신명화의 외손자인 권처균[2]에게 상속되었고, 오죽헌의 택호는 권처균의 호 오죽헌에서 유래된 것이다. 공교롭게도 강릉 최씨에서 안동 권씨로 넘어오는 과정이 사위에서 사위로 이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 말은 딸에게도 재산 상속을 했다는 것이고 이는 곧 조선전기 균분 상속 문화의 상징이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2. 주요 시설물 및 건축물

2.1. 오죽헌

파일:오죽헌 국립중앙박물관.jpg
파일:오죽헌 현판 국립중앙박물관 수정.jpg
1920년대 모습
파일:오죽헌.png
파일:오죽헌 내부 문화재청.jpg
현재 모습

2.2. 문성사

파일:문성사.png
문성사

2.3. 사랑채 및 안채

파일:오죽헌 가옥 1935년 국립중앙박물관.jpg
1920년대 모습
파일:오죽헌 사랑채, 안채.png
현재 모습

2.4. 어제각

파일:오죽헌 어제각 국립중앙박물관.jpg
1920년대 모습
파일:어제각.png
현재 모습

2.5. 율곡기념관

파일:율곡기념관.png
율곡기념관

3. 관련문서


[1] 강릉의 12향현으로 불리며, 부인은 정경부인 함씨[2] 부친은 권화이고 신명화의 넷째딸과 혼인하였다. 신사임당은 신명화의 둘째딸이므로 이이와 권처균은 이종사촌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