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정원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궁원 宮苑 | ||
누원 樓苑 | 임해전 성동동 전랑지 용강동 원지 유적 구황동 원지 유적 부여 궁남지 익산 금마저 왕궁 후원 안학궁 정원 경복궁 경회루 경복궁 향원정 † 조선 창덕궁 서총대 | ||
원림 苑林 | 만월대 금원 경복궁 북원 창덕궁 비원 † 조선 경희궁 후원† 조선 인경궁† 조선 자수궁 | ||
화계 花階 | 경복궁 아미산 창덕궁 낙선재 | ||
왕실누정 王室樓亭 | 망원정 용양봉저정 낙천정 † 조선 탕춘대 | ||
관원 官苑 | |||
누원 樓苑 | 장대 將臺 | 촉석루 영보정 방화수류정 연광정 통군정 인풍루 수항루 | |
객사 客舍 동헌 東軒 군영 軍營 | 세검정 환아정 영남루 군자정 한벽루 지수당 죽서루 백상루 † 성천 강선루육승정 † 함흥 칠보정관덕정 | ||
감영 監營 | 영주관 부용당 오순정 | ||
명승 名勝 | 광한루 항미정 채미정 망양정 월송정 쌍수정 경포대 청간정 총석정 부벽루 칠성정 풍패루 해월정 | ||
사원 私苑 | |||
별서 別墅 | 정원 庭苑 | 석파정 · † 서울 옥호정 · † 서울 백석동 별서 · 성북동 별서 · † 서울 무계동 별서 ·반계 윤웅렬 별서 · 운림산방 · 서석지 · 귀래정 · 독락당 · 다산초당 · 함안 무진정 · 남간정사 | |
원림 苑林 | 부용원 · 소쇄원 · 식영정 · 환벽당 · 면앙정 · 송강정 · 명옥헌 · 독수정 · 임대정 · 부춘정 · 백운동원림 · 초연정 · 용호정 · 요월정 · 심원정 · 초간정 · 용계정 · 만휴정 | ||
임천원 臨川苑 | 효사정 · † 서울 압구정 · † 서울 천일정 · 서벽정 · 농월정 ·거연정 · 요수정 · 용암정 · 월연대 · 선몽대 · 청암정 · 침수정 · 위양지 완재정 | ||
향원 鄕苑 | 영보정 · 무기연당 · 선교장 · 오죽헌 · 방해정 · 쌍산재 · 진주 용호정원 | ||
사원 寺苑 | |||
정림사 연지 · 미륵사 쌍지 · † 남원 실상사 지당 · 송광사 계담 ·수선사 정원 · † 경주 불국사 구품연지 · 청평사 고려선원 · 낙산사 의상대 ·대흥사 무염지 · 통도사 구룡지 · 봉선사 화계 · 봉정사 영산암 | |||
기타 | |||
금장대 · 태화루 | |||
현대정원 | |||
진해루 · 월화원 · 외도 보타니아 · 별빛정원 · 황산불빛정원 · 39-17 마중 · 발리정원 · 섬이정원 · 아름다운정원 화수목 · 생각하는 정원 · 남이섬 · 원생정원 | |||
수목원 · 국가정원 | |||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 현존하지 않는 건축물 | }}}}}}}}} |
대한민국의 사적 제107호 | ||
강진 정약용 유적 康津 丁若鏞 遺蹟 | ||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 소재지 | 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 산103-2번지 |
분류 | 유적건조물 / 주거생활 / 주거지 | |
면적 | 23,204㎡ | |
지정연도 | 1963년 1월 21일 | |
제작시기 | 조선 시대 | |
위치 |
1. 개요
茶山草堂전라남도 강진군 도암면 만덕리에 위치한 다산 정약용과 관련된 문화재이다. 1963년에 다산초당을 포함한 관련 유적 일대가 사적 제107호로 지정되었다.
공식 명칭은 강진 다산 정약용 유적 또는 강진 정다산 유적이다. 원래는 초가로 있지만 현재는 기와집 형태로 바뀌었기 때문에 유적지로 불리고 있다.
2. 상세
다산초당은 다산 정약용이 1801년 신유박해로 인해 강진으로 귀양을 와서 18년 중 10년동안 생활하던 집이다. 이곳에서 정약용은 유배가 끝날 때까지 생활하며 학문에 몰두한 끝에 목민심서를 비롯한 숱한 저서들을 남겼다.1800년 다산을 총애했던 정조가 승하하고 순조가 즉위하면서 다산의 시련이 시작되었으며 이듬해인 1801년(순조 1년) 신유박해가 일어나게 되고 엎친데 덮친격으로 조선 가톨릭 신자이자 다산의 조카딸[1] 사위로 알려진 황사영[2]이 청국에 있는 가톨릭 주교인 구베아 주교에게 백서(帛書)[3]를 보낸 사건이 발생하였으며(황사영 백서 사건)[4] 여기에 보수 유학파(儒學派) 신하들로부터 서학(西學, 가톨릭 교리)에 물들었다는 이유로 인신 공격과 모함까지 이르면서 결국 현재의 전라도 강진으로 유배를 가게 되었다.
정약용이 처음부터 이곳에서 18년 간의 강진의 유배 생활을 한 것은 아니다. 처음엔 강진 읍내의 주막인 동문매반가(東門賣飯家)에서 주모의 호의로 4년간 생활하였는데 정약용은 이 주막에 사의재(四宜齋)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 야사로 이 주모의 딸이 정약용을 흠모한 끝에 정약용과 '통'하여 자식을 낳았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 사의재는 강진군이 2007년에 복원해서 문화 관광 해설을 제공하는 장소로 쓰이고 있다. 이후 고성사의 보은산방, 학래 이청(정약용의 제자)의 집 등을 전전하다가 47세이던 1808년 봄에 윤단(尹慱, 1744~1821)의 산정(山亭)인 귤동의 초당으로 거처를 옮겼다. 다산을 초당으로 초빙한 이는 윤단의 아들인 윤규로(尹奎魯, 1769~1837)였다. 윤규로는 자신의 네 아들과 조카 둘을 다산에게 배우게 했다. 다산은 18년(1801~1818)의 유배 기간 동안 다산초당에서 11년가량(1808~1818)을 머물렀다.
다산이 윤단의 산정으로 오게 된 것은 어머니가 해남 윤씨였기 때문이다. 외가 쪽 친척의 소유였던 산정으로 거처를 옮긴 것이다. 다산의 외가는 해남윤씨로 고산 윤선도의 가문이다. 다산초당의 원래 주인인 윤단은 윤복의 6대손이고, 윤복의 형인 윤형의 5대손이 인물화에 탁월했던 공재 윤두서(恭齋 尹斗緖, 1668~1715)이다.
공재는 윤선도의 증손자이기도 한데, 공재의 셋째 아들 윤덕렬의 딸이 다산의 어머니이니, 공재의 손녀이다. 결국 산정의 주인인 윤단은 다산에게 먼 외가 친척인 셈이다.
다산초당은 1963년에 사적 제107호로 지정받았다.
다산초당에 걸린 현판은 추사 김정희가 쓴 글씨로 알려져 있다.
이름의 초당(草堂)에서 알 수 있듯이 본래는 작은 초가집이었으나, 복원 공사를 하는 과정에서 현대의 정면 5칸, 측면 2칸의 기와집으로 중건하였다. 강진군에서는 다시 이를 초가집으로 복원하겠다는 계획을 세웠으나 2018년까지 제대로 이뤄지지 않은 상태이다.
3. 교통
다산 초당을 방문할 경우, 자가용이 아니면 가기가 좀 힘들다. 강진군 읍내에서도 거리가 제법 떨어진 곳이고 버스도 잘 다니지 않는 편. 자가용으로는 강진 읍내에서 다산 초당 입구인 귤동 마을까지 약 20분 정도 걸린다.4. 외부 링크
- 한국어 위키백과: 강진 정약용 유적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강진 정약용 유적
- 답사여행의 길잡이 5 - 전남: 다산초당
- 죽기 전에 꼭 가봐야 할 국내 여행 1001: 다산초당
- 대한민국 구석구석: 다산초당(다산 정약용 유적지)
-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9 - 우리 산하: 백련산 자락의 다산초당
- 두산백과: 강진 정약용 유적
5. 사적 제107호
조선 후기의 실학자인 다산 정약용(1762∼1836) 선생이 유배되어 11년간 머물면서 많은 책을 저술했던 곳이다.
정약용은 여유당(與猶堂) 등의 여러 호를 가지고 있으며, 천주교 이름으로는 요한(Johan)이라 하였다. 정조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았으며, 유형원과 함께 수원성을 설계하고 거중기 등의 신기재를 이용하여 수원 화성을 쌓기도 했다. 정조가 죽자 신하들의 모함을 받아 투옥되어 유배되었고, 그 후 18년 간의 유배생활 동안 그는 많은 저서를 남겼다. 정약용의 사상은 한국사상의 원형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 곳에서 11년 동안 머물면서 『목민심서』와 『경세유표』, 『흠흠신서』를 비롯한 500여 권에 달하는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리고 이를 총정리한 『여유당전서』는 ‘철학’, ‘법제’, ‘종교’, ‘악경’, ‘의술’, ‘천문’,‘측량’, ‘건축’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장래에 도움이 될 학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학술적 연구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옛 초당은 무너져서 1958년 강진의 다산유적보존회가 주선하여 건물이 있던 자리에 지금의 초당을 다시 지은 것이다. 작고 소박한 남향집으로 ‘다산초당’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초당 뒤 언덕 암석에는 다산이 직접 깎은 ‘정석(丁石)’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초당 왼쪽으로 자그마한 연못이 있다. 앞 뜰에는 차를 달였다는 ‘청석’이 있고, 한 켠에는 ‘약천(藥泉)’이라는 약수터가 있어 당시 다산의 유배생활을 짐작하게 한다.
※(정다산유적 → 강진 정약용 유적)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정약용은 여유당(與猶堂) 등의 여러 호를 가지고 있으며, 천주교 이름으로는 요한(Johan)이라 하였다. 정조의 총애를 한 몸에 받았으며, 유형원과 함께 수원성을 설계하고 거중기 등의 신기재를 이용하여 수원 화성을 쌓기도 했다. 정조가 죽자 신하들의 모함을 받아 투옥되어 유배되었고, 그 후 18년 간의 유배생활 동안 그는 많은 저서를 남겼다. 정약용의 사상은 한국사상의 원형과 직결된다고 할 수 있다.
이 곳에서 11년 동안 머물면서 『목민심서』와 『경세유표』, 『흠흠신서』를 비롯한 500여 권에 달하는 많은 저서를 남겼다. 그리고 이를 총정리한 『여유당전서』는 ‘철학’, ‘법제’, ‘종교’, ‘악경’, ‘의술’, ‘천문’,‘측량’, ‘건축’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장래에 도움이 될 학문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는 세계적으로도 학술적 연구자료로 평가되고 있다.
옛 초당은 무너져서 1958년 강진의 다산유적보존회가 주선하여 건물이 있던 자리에 지금의 초당을 다시 지은 것이다. 작고 소박한 남향집으로 ‘다산초당’이라는 현판이 걸려 있다.
초당 뒤 언덕 암석에는 다산이 직접 깎은 ‘정석(丁石)’이라는 글자가 새겨져 있으며, 초당 왼쪽으로 자그마한 연못이 있다. 앞 뜰에는 차를 달였다는 ‘청석’이 있고, 한 켠에는 ‘약천(藥泉)’이라는 약수터가 있어 당시 다산의 유배생활을 짐작하게 한다.
※(정다산유적 → 강진 정약용 유적)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