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16:31:52

쌍릉


백제의 중심고분군과 왕릉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8080> 한성백제 서울 석촌동 고분군 76-파괴분
석촌동 1호분
석촌동 2호분
석촌동 3호분
석촌동 4호분
서울 가락동 고분군 가락동 3호분
웅진백제 공주 무령왕릉과 왕릉원 송산리 1~4호분
무령왕릉
송산리6호분
사비백제 부여 왕릉원 중하총 / 중상총
서하총 / 서상총
동하총 / 동상총
익산 쌍릉 대왕릉 / 소왕릉
백제의 도성과 궁궐 }}}}}}}}}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경주 원성왕릉
  1. 경주 구정동 방형분
  2. 경주 성덕왕릉
  3. 경주 헌덕왕릉
  4. 경주 흥덕왕릉
  5. 경주 감은사지
  6. 서울 독립문
  7. 서울 영은문 주초
  8. 부여 청마산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부산일본성}}}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마산일본성}}}
  1. 평창 오대산사고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노동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노서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황남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황오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인왕리고분군[A]}}}
  1. 경주 금척리 고분군
  2. 부여 군수리 사지
  3. 경주 장항리 사지
  4. 경주 원원사지
  5. 경주 명활성
  6. 관문성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승주신성리성[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사천성진리성[7]}}}


[A]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통합 재지정[A] [A] [A] [A] [6] 전라남도 기념물 171호로 재지정[7]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274호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기장죽성리성[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웅천안골리성[1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생포성[11]}}}
  1. 영주 소수서원
  2. 고양 행주산성
  3. 남한산성
  4. 부여 나성
  5. 부여 청산성
  6. 서천 건지산성
  7. 고령 주산성
  8. 대구 달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물금증산성[12]}}}
  1. 창녕 화왕산성
  2. 창녕 목마산성
  3. 김해 분산성
  4. 함안 성산산성
  5. 강진 고려청자 요지
  6. 부안 유천리 요지
  7. 부안 진서리 요지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산사부동도요지[B]}}}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산기산동도요지[B]}}}
  1. 김해 수로왕릉
  2. 김해 수로왕비릉
  3. 김해 구산동 고분군
1.#7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나주신촌리고분군[C]}}}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나주덕산리고분군[C]}}}
  1. 고령 지산동 고분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교동고분군[D]}}}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송현동고분군[D]}}}
  1. 경주 천군동 사지
  2. 서울 선잠단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함안도항리고분군[E]}}}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함안말산리고분군[E]}}}
  1. 성주 성산동 고분군
  2. 익산 쌍릉
  3. 경주 성동동 전랑지
  4. 부여 석성산성
  5. 예산 임존성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주 성산성}}}
  1. 익산 토성
  2. 양산 북정리 고분군
  3. 양산 신기리 고분군
  4. 양산 중부동 고분군
  5. 경주읍성
  6. 양산 신기리 산성
  7. 양산 북부동 산성
  8. 부여 쌍북리 요지
  9. 양산 법기리 요지


[8] 부산광역시 기념물 47호로 재지정[9]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로 재지정[10]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5호로 재지정[11]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로 재지정[12]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6호로 재지정[B] 사적 제510호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로 통합, 재지정[B] [C] 사적 제513호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C] [C] [D] 사적 제514호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D] [E] 사적 제515호 함안 말이산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서울 삼전도비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만인의총[22]}}}
  1. 부안 구암리 지석묘군
  2. 남원 황산대첩비지
  3. 금산 칠백의총
  4.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
  5. 강진 정약용 유적
  6. 산청 목면시배 유지
  7. 아산 맹씨 행단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저오리정계석표}}}
  1. 김제 벽골제
  2. 아산 이충무공묘
  3.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4.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5. 수원 화령전
  6. 서산 해미읍성
  7. 경복궁
  8. 진주성
  9. 고성 송학동 고분군
  10. 고성 내산리 고분군
  11. 사직단
  12. 창덕궁
  13. 창경궁
  14. 덕수궁
  15. 종묘


[22] 사적 제272호 남원 만인의총으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하동 고소성
  1. 함양 사근산성
  2. 울주 언양읍성
  3. 경주 옥산서원
  4. 아산 이충무공 유허
  5. 부여 증산성
  6. 환구단
  7. 경주 문무대왕릉
  8. 경주 이견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울 살곶이 다리[23]}}}
  1. 경주 동부 사적지대
  2. 북한산성
  3. 경주 낭산 일원
  4. 진주 평거동 고분군
  5.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6. 정읍 무성서원
  7.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
  8. 원주 거돈사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 영산 석빙고[24]}}}
  1. 안동 도산서원
  2.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3. 경주 오릉
  4. 경주 일성왕릉
  5. 경주 탈해왕릉
  6. 경주 미추왕릉


[23] 보물 제1738호로 지정변경[24] 보물 제1739호로 지정변경[25] 사적 제517호 경주 진지왕릉과 제518호 경주 문성왕릉으로 분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1.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2. 구 서울대학교 본관
  3. 구공업전습소본관
  4. 한국은행 본관
  5. 서울 중앙고등학교 본관
  6. 서울 중앙고등학교 서관
  7. 서울 중앙고등학교 동관
  8. 구 서울역사
  9. 서울 고려대학교 본관
  10.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11. 인천 답동성당
  12. 전주 전동성당
  13. 구 목포 일본영사관
  14. 대구 계산동성당
  15. 창원 진해우체국
  16. 김포 덕포진
  17. 정읍 전봉준 유적
  18. 전주 남고산성
  19. 정읍 황토현 전적
  20. 서울 관상감 관천대
  21. 서울 몽촌토성
  22. 남원읍성
  23.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
  2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산임당동고분군[F]}}}


[26]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부여 정림사지
  1. 순천 낙안읍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광한루원[2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담양소쇄원[29]}}}
  1. 산청 조식 유적
  2. 강화 갑곶돈
  3. 보령 성주사지
  4. 완도 청해진 유적
  5. 남원 실상사
  6. 해남 진산리 청자 요지
  7. 경주 남산 일원
  8. 화순 운주사지
  9. 영주 순흥 벽화고분
  10. 광주 조선백자 요지
  11. 청주 흥덕사지
  12. 서산 보원사지
  13. 충주 미륵대원지
  14. 익산 나바위성당
  15. 청주 신봉동 고분군
  16. 울산 경상좌도병영성
  17. 보령 죽도 해저유물 매장해역
  18. 함양 황석산성
  19. 파주 윤관장군묘
  20.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산수리백제요지[G]}}}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1. 창원 다호리 고분군
  2. 경주 용강동 고분
  3.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
  4. 서울 효창공원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산조영동고분군[F]}}}
  1. 울주 검단리 유적
  2. 공주 학봉리 요지
  3. 공주 석장리 유적
  4. 통영 연대도 패총
  5. 구미 낙산리 고분군
  6. 나주읍성
  7. 영암 구림리 요지
  8. 전주 경기전
  9. 경주 천관사지
  10. 김해 대성동 고분군
  11. 군포 산본동 조선백자 요지
  12. 서울 호암산성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삼용리백제토기요지[G]}}}
  1. 고창 용계리 청자 요지
  2.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3. 익산 입점리 고분
  4. 봉화 태백산사고지
  5. 남원 만복사지
  6. 경주 구정동 고분군


[28] 명승 제33호로 지정변경[29] 명승 제40호로 지정변경[G] 사적 제 511호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로 통합 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3] 명승 제34호로 지정변경[34] 명승 제35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5] 명승 제36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대구 팔거산성
}}}}}}}}}}}}
파일:쌍릉 전경.jpg
쌍릉의 항공사진.[출처] 대왕릉과 소왕릉 간 직선거리가 200 m에 달해 항공사진이 아니면 같이 있는 사진을 찍기가 힘들다.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87호
익산 쌍릉
益山 雙陵
Iksan Ssangneung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소재지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석왕동 산55
분류 유적건조물/무덤/무덤/고분군
면적 13,884㎡
지정연도 1963년 1월 21일
제작시기 백제
위치
}}}}}}}}} ||
1. 개요2. 조사 내용
2.1. 대왕릉2.2. 소왕릉
3. 관련문서

1. 개요

전북특별자치도 익산시 석왕동에 위치하는 고대 무덤 2기. 7세기 백제 무왕과 왕비의 무덤으로 추정되고 있다. 사적 제87호.

쌍릉이라는 말 자체는 봉분이 2개인 무덤을 뜻하는 일반명사이기도 하다. 즉 예를 들어 황남대총도 무덤의 형식을 말할 때 쌍릉이라고 말한다. 다만 여기서는 전북 익산시백제 무왕의 왕릉으로 추정되는 무덤 두 기를 지칭하는 고유명사로서의 쌍릉을 다룬다. 둘 중 큰 것을 대왕릉(또는 대왕묘, 북총), 작은 것을 소왕릉(또는 소왕묘, 남총)이라고 한다. 이 왕릉은 이미 고려사절요에 의하면 고려 충숙왕 때에 도적들에 의해 도굴을 당했으며, 또한 백제 멸망 후 오랜 세월이 흐르며 원래 주인이 누군지는 잊혀지고 마한의 무강왕의 능으로 잘못 알려져 있었다.

근대 고고학적 접근은 일제강점기일본인들에 의해 처음으로 있었다. 그리고 쌍릉을 조사하여 발굴한 유물들은 광복 이후로 한국에 남았다. 2018년에 쌍릉을 재발굴하여 정확한 실측조사를 했는데, 발굴과정에서 추가로 유물을 발굴하였다.

※이하 본문은 국립전주박물관, 2015, 『익산 쌍릉』에서 대부분 참고함.

2. 조사 내용

1910년 세키노 타다시와 야쓰이 세이치, 구리야마 슌이치가 처음으로 쌍릉을 조사했지만, 이때는 일제가 조선을 병탄한 직후 조선 전국 유적의 가치를 평가하는 현황조사 수준이었고, 1917년이 되어서야 야쓰이 세이치, 오바 츠네키치 등이 쌍릉 내부까지 조사했다.
일제강점기 조사보고서에서는 당시에도 능산리 고분군이 백제의 왕릉으로 전해진다는 사실에 기반하여, 쌍릉의 매장주체부가 능산리형 석실과 동일한 형태임을 인지했다. 무덤 두 기가 이미 구전으로 소·대왕릉으로 붙여진 이름이었기 때문에 전후 맥락을 고려하여 백제의 왕릉이라고 추정하였었다.

소왕릉은 이미 일제강점기의 조사 이전 시점에 이미 도굴되어 유물이 거의 없었고[2] 대왕릉도 도굴을 당하긴 했지만 그나마 유물이 있는 편이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대왕릉은 목관이 비교적 온전한 상태로 남아 있었고 나중에는 조선총독부박물관에 전시하기도 하였다. 그 밖에도 대왕릉에서는 치아를 비롯하여 목관에 사용되었다고 추정되는 도금, 옥 재질의 장식구들이 나왔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이루어진 발굴은 성의없이 진행되어 말이 발굴이지 발굴을 빙자한 도굴에 가까웠기 때문에 제대로 된 조사기록을 남기지 않았다. 때문에 여러 가지로 논란거리가 많았는데 이러한 점 때문에 최근 대왕릉에 대한 재발굴이 이루어졌고 향후 소왕릉에 대한 재발굴조사가 추진되고 있다.

2019년에 재발굴조사에서 길이 1m가 넘는 묘표석(墓表石) 두 점이 발견됐다. 자세한 내용은 연합뉴스의 관련 기사 참고.

2.1. 대왕릉

파일:대왕릉 도면.jpg
일제강점기 조사 당시의 대왕릉 도면

대왕릉의 석실은 능산리형 석실 중에서도 비교적 늦은 편에 해당한다. 거의 같은 형태의 무덤으로는 능산리 동고분군의 3호분, 5호분이 있다. 특히 대왕릉은 유형이 같은 석실 가운데서도 아주 큰 편인 데다, 출토 유물이 영성하지만 그 장식된 정도나 도금된 양상이기 때문에 최고위급 무덤으로 추정하기에 손색이 없다.
파일:대왕릉 도면.jpg 파일:능산리동5호.jpg
대왕릉 능산리 동 5호분
능산리 동고분군 5호의 도면에는 앞쪽의 묘도(연도)로 들어가는 부분까지 도시하였기 때문에 약간 달라 보일 수 있으나 현실과 묘도를 보면 거의 같은 형태임을 알 수 있다.

한편 재조사 당시에 결과 대왕릉에서 출토된 토기는 신라토기이고, 발견된 치아는 20대-40대 사이 여인의 유골과 신라토기라고 보아 신라 공주까진 아니어도 신라 왕족 여인이 이 무덤에 묻혔을 가능성이 높아졌다는 기사가 나왔다. 기사. 따라서 대왕릉의 묘주에 대해서 서동요와 관련지어 선화공주라는 설이 제기되기도 하였다.[3]

그러나 이러한 이주헌의 주장은 학계에서 많은 질타를 받았다. 치아 분석은 마모흔 분석에 의한 것이여서 그 한계가 분명하다고 보고자 스스로가 그 자인했고, 쌍릉은 정식 발굴된 무덤이 아니라서 고고학적 정황도 충분하지 못하다. 고고학도들이라면 학부 때 배우겠지만, 치아 감식을 포함한 모든 자연과학적 분석 기법은 고고학적 정황에 기반하지 못하면 고고학적 의미가 없다. 더군다나 쌍릉은 추가장이 가능한 횡혈식석실분 구조이고, 일제 발굴 후 거의 100년간 제대로 정리되지 않은 상태로 방치되었다.

그리고 이주헌이 근거로 제안한 대왕릉 출토 연질토기는 신라토기라 볼 수 없다. 이주헌이 발표한 세미나에서 토론자 최완규를 비롯하여 많은 학자들이 그 사실을 지적하였다.

정리하자면 피장자가 선화공주라는 증거는 여전히 없고 앞으로 검증해나가야 할 문제이다. 정황상 쌍릉은 백제 사비기 분묘인 능산리형 무덤 중에서도 후기 형식이면서도 그 규모가 가장 크기 때문에 무왕릉으로 볼 수밖에 없으며, 소왕릉은 왕후릉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능묘의 입지가 산 정상부로 바뀌고, 봉분의 규모가 커진 것도 당시 당나라 황제릉인 헌릉과 소릉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고 볼 수 있다. 실제로 미륵사 출토 사리외호와 사리내호는 배경을 원문 정으로 눌러서 원문으로 가득 채우는 어자문 기법이 돋보이는데, 그러면서도 배경을 성글게 채운 형식으로 수말, 당초에 해당한다. 또 대왕릉 출토 옥 대장식구는 역시 당식 대금구가 정립하기 이전 양식으로 수나라 말 당나라 초기 형식이다. 삼국사기에 나오는 무왕의 수많은 수나라, 당나라 교섭기사 등에서도 당나라와 백제 무왕의 관계를 알 수 있다.

그런데 최근 이루어진 재발굴 과정에서 사람의 뼈 102조각이 담긴 나무상자가 확인되었다. 이는 일제강점기 조사 보고서 내용에서도 기록되지 않았던 것이기 때문에 큰 주목을 받았으며 뼈와 뼈가 담긴 나무상자에 대해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종합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는 2018년 7월 17일 오후 가톨릭대 병원에 고고학, 역사학, 법의학, 유전학, 생화학, 암석학, 임산공학, 물리학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뼈와 나무상자에 대한 분석내용을 발표하였는데 나무상자는 일제강점기 뼈를 담아놓기 위해 만들어진 것임을 밝혔으며, 더욱 중요한 것은 뼈의 주인에 대해 만장일치로 무왕의 유골이 맞는다고 판정을 내렸다는 것이다. # 자세히 살펴보면 뼈의 주인은 60대 이상 남성이었으며 키는 161cm에서 170.1cm 사이,[4] 그리고 골반뼈에 낙상 골절의 흔적이 있고, 특이점으로 희귀병으로 인대가 뼈처럼 굳는 광범위특발성뼈과다증을 앓은 흔적이 있는데 이는 어패류를 장기간 다량 섭취해서 일어났을 가능성이 있다고 한다. 즉 대왕묘에서 7세기 초중반에 죽은, 무왕의 생몰년과 일치하는 연령에, 평균 이상의 신장과 일반 백성들은 즐기기 힘들던 고칼로리성 식단에 따른 노인성질환을 앓았다는 특성들을 감안할 때 무덤의 주인은 백제 무왕 외에는 상정하기 어렵다는 것이었다. 이에 발굴조사를 주도한 최완규 원광대 교수의 제의로 무왕의 뼈 앞에 학자들이 모두 고개를 숙여서 예의를 보였다고 한다.

이 부분은 한국 고고학에 있어 상당한 성과라고 볼 수 있는 부분이다. 대왕릉은 무령왕릉처럼 지석이 발견되어 묻힌 사람이 누구인지 정확히 알려주는 직접적인 증거가 확인된 것은 아니지만, 뼈에 대한 분석과 문헌 및 고고학적 정황들을 종합했을 때 무왕을 빼면 사실상 비정할 수 있는 인물이 없다. 이는 단순히 문헌과 고고학 자료뿐만 아니라 각종 분석방법까지 동원해 대왕릉의 주인이 누구인지 추정한 것으로, 학제간 융합연구에 있어 상당히 모범사례라고 할 수 있다.

2.2. 소왕릉

대왕릉의 주인이 무왕으로 결정된 이상 소왕릉의 주인이 누구인지도 많은 설이 제기되었다. 일단 피장자가 무왕과 매우 가까운 인물인 것은 확실하므로, 후보로 무왕의 아버지 법왕설, 사택왕후설, 선화공주설 등이 제기되었다. 그러나 대왕릉보다 훨씬 도굴피해가 심해 피장자를 밝혀줄 새롭고 결정적인 유물이 발견될 가능성은 낮다.

파일:도금투금구 일괄-중상총, 소왕릉, 능산리7호.jpg
능산리 고분군 중상총(左), 소왕릉(中), 능산리 7호분(右) 출토 도금투금구[5]

소왕묘에서 출토된 관 장식품 중에서도 목관의 본체와 뚜껑을 결합할 때 쓰이는 부분을 도금투금구(鍍金透金具)[6]라고 말하는데 여기에 부착된 장식이 바로 위 사진이다. 화염문의 도안이라고 생각되는 이 도안은 능산리 고분군 1호분 동하총에서도 확인되어 상호 관련성과 당대 불교, 도교의 영향력을 보여준다. 이러한 문양의 모티브는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와 같은 당대 불교미술의 문양요소와 비교검토받기도 한다. 참고로 대왕릉 출토 목관의 널판에도 미륵사지 석탑 출토 사리장엄구의 문양요소와 같은 인동문이 장식되어 관련성에 대한 연구가 많다.

대왕릉은 위 도금투금구가 확인되지 않았다. 그러나 쌍릉의 재보고서인 국립전주박물관(2015)에서는 대왕릉 출토 금동투식좌금구(金銅透飾座金具)[7]가 목관에 붙어서 나온 점, 소왕릉 출토 도금투금구를 끼울 때에 딱 맞는 점에 착안해 목관을 복원 분석했으며 도금투금구가 상술했듯이 목관과 목관 뚜껑을 결합하는 도구라고 결론을 내렸다. 그래서 대왕릉도 끼우는 부분이 있으니 원래는 소왕릉의 것과 같은 도금투금구가 있었으리라 추정하였다.

2019년에 재발굴조사가 이루어졌으나 선화공주의 존재를 입증할만한 증거가 발견되지 않아 서동설화의 진위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8]

3. 관련문서


[출처] 국립전주박물관, 2015, 『익산 쌍릉』 원색도판 1.[2] 그나마 나온 유물들은 6.25 전쟁 때 망실되었다.[3] 이하 소왕릉 단락 이전까지의 내용은 서동요 문서에서 옮겨온 것이다.[4] 현대인에 비하면 평균보다 약간 작지만, 19세기 조선 성인 남성의 평균신장이 161cm이었음을 감안하면 옛날 사람치고 큰 편이다.[5] 박정현, 2015, 6∼8세기 사리장엄구의 제작기술 연구 p.48와 조선고적도보 3에서 도면 인용 후 수정[6] 구멍장식에다가 도금한 금속 유물이라는 뜻.[7] 정확하게 설명하기 어렵지만 좌금구는 일종의 구멍이 있거나 걸쇠가 달린 리벳과 같은 모양을 지닌 유물을 가리킨다. 특정한 물건을 끼우거나 거는 부분에 장식된 부분이며 넓은 판 같은 곳에 붙어 있어야 한다. 예를 들면 말 안장(넓은 판이 있음)과 안장을 고정하기 위한 끈을 연결하는 부분의 장식을 좌금구라고 한다. 목관의 좌금구는 목관을 구성하는 각 판을 끼우거나 관 본체와 뚜껑을 결합할 때 쓰이는 부분 따위를 가리키는 것이다.[8] 2009년에 미륵사지 서탑을 복원하려고 해체하다가 사리장엄구가 출토되었는데, 여기에서는 무왕의 부인을 사택지적의 딸이라고 했다. 따라서 서동 설화는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아진 상황이다. 그러나 이와 관련해서도 여러 논쟁이 있는 만큼 단정은 금물이다. 자세한 것은 미륵사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