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경주 포석정지
1.#26 경주 원성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서울 삼전도비
1.#126 진도 용장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하동 고소성
1.#176 경주 법흥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서울 태릉과 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여주 파사성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26]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부여 정림사지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파주 오두산성
1.#376 속초 조양동 유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괴산 미륵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화성 마하리 고분군
1.#476 경주 황성동 고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01 보령 충청수영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대구 팔거산성
| }}}}}}}}}}}}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 강릉대도호부 관아 江陵大都護府 官衙 | |
소재지 |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임영로131번길 6 (용강동)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궁궐·관아 / 관아 |
면적 | 18,951㎡ |
지정연도 | 1994년 7월 11일 |
제작시기 | 고려 태조 19년(936) |
1. 개요
강릉대도호부 관아(江陵大都護府 官衙)는 고려 시대·조선 시대에 강릉의 행정을 담당하던 곳이다. 1994년 사적 제388호로 지정됐다. 강원특별자치도 강릉시 용강동에 위치한다. 국보로 지정된 삼문(강릉 객사문)과 보물로 지정된 칠사당이 있다.2. 역사
고려 태조 19년(936년)에 세워져 중수를 거쳐서 동헌과 객사를 비롯하여 총 83칸 건물이 들어서 있었다. 일제강점기에 삼문과 칠사당을 제외하고 헐렸다.[1]일제강점기인 1929년에 임영관을 헐고 강릉보통학교를 세웠다. 1975년 9월에 강릉보통학교 자리에 강릉경찰서가 들어섰다가, 강릉경찰서가 포남동 신청사로 이전함에 따라 공터로 남아 있었다. 이 공터에 강릉시청사를 신축하기 위해 땅을 파던 중에 관아 유구가 발굴되면서 공사가 중단되고 발굴조사가 행해졌다. 1993년 발굴조사 이후 현재의 모습으로 복원되었다.
3. 건축
파일:강릉대도호부 관아 안내도.jpg | |
객사 임영관 | 강릉대도호부 관아 안내도 |
- 객사 임영관
- 서헌-전대청-동대청
- 중대청
- 삼문
- 동헌: 기묘하게도, 동헌인 칠사당이 잘 남아있음에도 2010년에 정체불명의 동헌을 복원했다. "어 강릉에 '동헌'이 둘이네"
- 문루: 동헌과 마찬가지로, 제대로 된 고증 없이 복원되었다.
- 칠사당: 동헌. 도호부사의 집무실이었다. 이름은 수령이 힘써야 할 7가지 업무, 즉 '수령칠사'를 의미한다. 처음 지어진 때는 확실하지 않으며, 1632년과 1726년에 중건 공사가 있었고, 1867년에 화재로 소실된 것을 이듬해에 중건하여 지금에 이른다.
4. 외부 링크
5. 사적 제388호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쳐 중앙의 관리들이 강릉에 내려오면 머물던 건물터이다.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고려 태조 19년(936)에 세워져, 83칸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객사문(국보)만 남아 있다. 객사문은 고려시대 건축물 가운데 현재까지 남아있는 몇 안 되는 건물 가운데 하나로, 공민왕이 쓴 ‘임영관’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1993년에 강릉 시청 건물을 지을 계획으로 실시한 발굴 조사한 결과, 고려·조선에 이르기까지 관아 성격의 건물터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자리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조선시대 『임영지』의 기록을 통해 이 유적의 중요성과 옛 강릉부의 역사와 문화를 알려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강릉임영관 → 강릉대도호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4.11.27 고시)
조선시대 기록을 보면 고려 태조 19년(936)에 세워져, 83칸의 건물이 있었으나 지금은 객사문(국보)만 남아 있다. 객사문은 고려시대 건축물 가운데 현재까지 남아있는 몇 안 되는 건물 가운데 하나로, 공민왕이 쓴 ‘임영관’이란 현판이 걸려 있다.
1993년에 강릉 시청 건물을 지을 계획으로 실시한 발굴 조사한 결과, 고려·조선에 이르기까지 관아 성격의 건물터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자리임을 알게 되었다. 또한 조선시대 『임영지』의 기록을 통해 이 유적의 중요성과 옛 강릉부의 역사와 문화를 알려준다는 점에서도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다.
※(강릉임영관 → 강릉대도호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4.11.27 고시)
[1] 이때 헐린 자재들 중 일부는 민간에서 매입하여 남산의 오성정, 남대천 옆 월화정을 세우는 데 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