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px" | <tablebordercolor=#221e1f,#fff> | }}} | ||
{{{#!wiki style="color:#fff; margin:-0px -10px -5px; min-height:26px" dark-style="color:#221e1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통도사 | 부석사 | 봉정사 | 법주사 |
마곡사 | 선암사 | 대흥사 | ||
}}}}}}}}} |
25교구 및 본사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9A26A, #B9A26A 20%, #B9A26A 80%, #B9A26A); color: #231916; min-height: 31px" {{{#white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231916> 직할교구 | 제2교구 | 제3교구 | 제4교구 | 제5교구 |
조계사 | 용주사 | 신흥사 | 월정사 | 법주사 | |
<rowcolor=#231916> 제6교구 | 제7교구 | 제8교구 | 제9교구 | 제10교구 | |
마곡사 | 수덕사 | 직지사 | 동화사 | 은해사 | |
<rowcolor=#231916> 제11교구 | 제12교구 | 제13교구 | 제14교구 | 제15교구 | |
불국사 | 해인사 | 쌍계사 | 범어사 | 통도사 | |
<rowcolor=#231916> 제16교구 | 제17교구 | 제18교구 | 제19교구 | 제20교구 | |
고운사 | 금산사 | 백양사 | 화엄사 | | |
<rowcolor=#231916> 제21교구 | 제22교구 | 제23교구 | 제24교구 | 제25교구 | |
송광사 | 대흥사 | 관음사 | 선운사 | 봉선사 | |
군종특별교구 · 해외특별교구 | }}}}}}}}}}}} |
유네스코 세계유산 | |
<colbgcolor=#000>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 Sansa, Buddhist Mountain Monasteries in Korea Sansa, monastères bouddhistes de montagne en Corée | |
<colcolor=#fff> 국가·위치 | <colbgcolor=#fff,#1f2023> [[대한민국| ]][[틀:국기| ]][[틀:국기| ]] 충청북도 보은군 |
등재유형 | 문화유산 |
지정번호 | 1562 |
등재연도 | 2018년 |
등재기준 | (ⅲ)[1] |
[clearfix]
1. 개요
속리산 법주사 일원은 법주사를 중심으로 속리산의 천왕봉과 관음봉을 연결하는 일대 19,221,084㎡를 말한다.
속리산은 해발 1,507m의 천왕봉을 비롯해 9개의 봉우리가 있어서 구봉산이라고 불렸으나, 신라 때부터 속리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속리산 일원은 대한 8경 중의 하나로 제2금강 또는 소금강으로도 불리는데, 계절의 변화에 따른 경치가 뛰어나며 기암, 기석이 절경을 이루고 있다. 속리산의 대표 사찰인 법주사는 533년 의신조사가 서역에서 불경을 가져와 절을 지을 곳을 알아보던 중에 산세의 험준함을 보고 이곳에 세운 절이라고 전한다. 혜공왕 12년에 진표율사가 대규모로 중창하였으며, 고려시대를 거치며 현재의 규모를 가추었으나 정유재란으로 전소되었다. 이후 인조 2년에 사명대사 및 벽암대사가 중건하고 증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문화유산을는 국내 유일의 목탑인 보은 법주사 팔상전을 비롯하여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보물 법주사 석련지,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등 국보 3점, 보물 13점, 천연기념물 1점, 도지정문화재 24점이 있다.
속리산 법주사 이루언은 1966년 사적 및 명승 제4호로 지정되었고, 2009년 명승으로 변경 지정되었다. 또한 법주사는 2018년 7월 3일 양산 통도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순천 선암사, 해남 대흥사, 공주 마곡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속리산에는 법주사를 포함하여 복천암, 탈골암 등 10개의 전통 사찰이 있다.
속리산은 해발 1,507m의 천왕봉을 비롯해 9개의 봉우리가 있어서 구봉산이라고 불렸으나, 신라 때부터 속리산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속리산 일원은 대한 8경 중의 하나로 제2금강 또는 소금강으로도 불리는데, 계절의 변화에 따른 경치가 뛰어나며 기암, 기석이 절경을 이루고 있다. 속리산의 대표 사찰인 법주사는 533년 의신조사가 서역에서 불경을 가져와 절을 지을 곳을 알아보던 중에 산세의 험준함을 보고 이곳에 세운 절이라고 전한다. 혜공왕 12년에 진표율사가 대규모로 중창하였으며, 고려시대를 거치며 현재의 규모를 가추었으나 정유재란으로 전소되었다. 이후 인조 2년에 사명대사 및 벽암대사가 중건하고 증축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문화유산을는 국내 유일의 목탑인 보은 법주사 팔상전을 비롯하여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보물 법주사 석련지,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등 국보 3점, 보물 13점, 천연기념물 1점, 도지정문화재 24점이 있다.
속리산 법주사 이루언은 1966년 사적 및 명승 제4호로 지정되었고, 2009년 명승으로 변경 지정되었다. 또한 법주사는 2018년 7월 3일 양산 통도사, 영주 부석사, 안동 봉정사, 순천 선암사, 해남 대흥사, 공주 마곡사와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속리산에는 법주사를 포함하여 복천암, 탈골암 등 10개의 전통 사찰이 있다.
한자 : 法住寺 / 로마자 : Beopjusa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 내에 위치한 사찰이며, 대한불교 조계종 제5교구 본사이다.
사실상 근대 이전에 만들어진 목탑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팔상전으로 유명한 절이다.[2] 이 외에도 커다란 금동미륵불상이나 각종 국보들을 많이 보유하고 있는 중요한 절로, 신앙유적으로서의 학술적 가치가 크다고 인정 받아 2009년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3] 2018년 6월 30일에는 전국 각지에 소재하는 산사들과 함께 '산사, 한국의 산지승원'이라는 명칭으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2. 역사
신라 진흥왕 14년(553년)에 당나라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의신대사가 창건한 사찰이다. 의신이 돌아오면서 백나귀에 불경을 싣고 와서 이 절에 있었기 때문에 법주사라고 하였다는 전설이 있다.법주사는 31본산(本山)의 하나로 고려 숙종이 그 아우 의천을 위하여 인왕경회(仁王經會)를 베풀었을 때 모인 승려가 3만 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고려 충숙왕 1년(1341년)에는 자정국존비(慈淨國尊碑)를 세웠다.
일제강점기 법주사 전경 | 철당간과 당간지주 |
1974년쯤에 금강역사 한 쌍, 보현보살, 문수보살 등이 만들어져서 금강문 안에 안치되었다.
2024년 9월 24일 성보박물관이 개관 예정이다. 문화재 문단에 나오듯 국보 3건 등 많은 수의 문화재가 있지만 여태 산사로 세계유산에 오른 7곳 중 유일하게 성보박물관을 보유하지 못하고 있었다.※
3. 가람 및 중요문화재
경내에 커다란 중층 건물인 대웅보전, 특이한 양식의 원통보전, 철 당간(幢竿), 부도군 등 상당히 귀중한 문화재가 많지만, 현존 유일 목탑인 팔상전과 높이 33m의 거대한 불상 때문에 가볍게 지나치기 쉽다. 이런저런 건물이나 대형 불상에 밀려 주목도는 좀 떨어지나 무려 국보에 지정된 쌍사자 석등과 석련지 역시 귀중한 유물이다.3.1.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자세한 내용은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문서 참고하십시오.3.2. 보은 법주사 팔상전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대한민국 국보 제55호 | |
보은 법주사 팔상전 報恩 法住寺 捌相殿 | |
소재지 | 충청북도 보은군 속리산면 법주사로 379, 법주사 (사내리) |
분류 |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
수량/면적 | 1동 |
지정연도 | 1962년 12월 20일 |
제작시기 | 조선 인조 2년(1625) |
<colbgcolor=#315288> 보은 법주사 팔상전 |
국보 제55호 법주사 팔상전(法住寺 捌相殿).[4] 이 팔상전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목탑 중 유일하게 근대 이전에 지어진 5층 목탑이다. 임진왜란때 한 번 불탔으나 인조 2년(1624)에 승려 벽암 각성이 주도하여 다시 지었다. '팔상전'이라는 이름 때문에 8층 목탑으로 착각하기 쉬우나 실제로는 5층이다. 벽면에 석가모니 부처의 일생에서 중요한 8가지[5]를 그린 팔상도(八相圖)가 있어서 '팔상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겉보기엔 일본 호류사의 목탑과 비슷히다.
목탑의 전성기였던 삼국시대와 고려 시대 이후의 목탑이라 그런지 전형적인 고대식 목탑과는 달리 외형이나 구조가 상당히 특이한 편이다. 거대한 중심 기둥인 심주를 중심으로 한 연속구조인데, 내부는 통층이므로 사람이 걸어 올라갈 수는 없다. 높이는 22.7m, 평면은 5칸으로 정방형이다.
임진왜란 이전 팔상전은 1층의 평면 역시 정면 3칸 측면 3칸으로, 보다 날렵한 일반적인 목탑의 형태였다고 한다. 그런데 재건되면서 1층 면적이 늘어나 지금의 모습이 된 것. 이에 대해서 목탑 구조가 발전된 것이라고 해석하는 연구자도 있고, 기술이 퇴보해서 어쩔 수 없이 이렇게 지었다고 해석하는 이도 있다.
보은 법주사 팔상전은 석가모니의 일생을 여덟 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팔상도를 모시고 있는 5층 목조탑이다. 법주사를 처음 만들 때 세워진 것으로 전해지며 임진왜란 때 불에 타 사라진 것을 선조 38년부터 인조 4년에 걸쳐 벽암대사가 주관하여 다시 세웠다.
팔상전은 두 단의 석조 기단 위에 세워져 있고 기단 네 면의 중앙에는 돌계단이 있다. 이 기단과 계단은 통일 신라 때의 것이다. 각 층의 밑면은 정사각형이며, 1층과 2층은 다섯 칸, 3층과 4층은 세 칸, 5층은 두 칸으로 올라갈수록 너비가 줄어들어 안정감을 준다. 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는 공포[6] 는 1층부터 4층까지는 주심포식[7] 이고 5층은 다포식[8] 이다. 지붕은 꼭대기를 중심으로 네 개의 지붕면이 뻗어 있는 사모지붕이며 지붕 위 꼭대기 부분은 조선 시대의 것으로 지금까지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필상전 내부 한 가운데에는 5층 전체를 통과하는 기둥이 있다. 이 기둥의 네 면에는 팔상도가 두 폭씩 있고 그 앞에는 열반상과 삼존 불상이 있다. 법주사 팔상전은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목조탑으로 건축적 가치가 크다고 평가된다.
법주사 설명판
팔상전은 두 단의 석조 기단 위에 세워져 있고 기단 네 면의 중앙에는 돌계단이 있다. 이 기단과 계단은 통일 신라 때의 것이다. 각 층의 밑면은 정사각형이며, 1층과 2층은 다섯 칸, 3층과 4층은 세 칸, 5층은 두 칸으로 올라갈수록 너비가 줄어들어 안정감을 준다. 처마 끝의 무게를 받치는 공포[6] 는 1층부터 4층까지는 주심포식[7] 이고 5층은 다포식[8] 이다. 지붕은 꼭대기를 중심으로 네 개의 지붕면이 뻗어 있는 사모지붕이며 지붕 위 꼭대기 부분은 조선 시대의 것으로 지금까지 완벽하게 보존되어 있다. 필상전 내부 한 가운데에는 5층 전체를 통과하는 기둥이 있다. 이 기둥의 네 면에는 팔상도가 두 폭씩 있고 그 앞에는 열반상과 삼존 불상이 있다. 법주사 팔상전은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목조탑으로 건축적 가치가 크다고 평가된다.
법주사 설명판
3.2.1. 외부 링크
- 한국어 위키백과 : 보은 법주사 팔상전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보은 법주사 팔상전
- 한국사전연구사 한국불교미술대전 : 법주사팔상전
- 답사여행의 길잡이 12 - 충북 : 법주사 팔상전
- 두산백과 : 보은 법주사 팔상전
3.2.2. 국보 제55호
법주사는 신라 진흥왕 14년(553)에 인도에서 공부를 하고 돌아온 승려 의신이 처음 지은 절이다. 법주사 팔상전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유일한 5층 목조탑으로 지금의 건물은 임진왜란 이후에 다시 짓고 1968년에 해체·수리한 것이다. 벽 면에 부처의 일생을 8장면으로 구분하여 그린 팔상도(八相圖)가 그려져 있어 팔상전이라 이름 붙였다.
1층과 2층은 앞·옆면 5칸, 3·4층은 앞·옆면 3칸, 5층은 앞·옆면 2칸씩으로 되어 있고, 4면에는 돌계단이 있는데 낮은 기단 위에 서 있어 크기에 비해 안정감을 준다. 지붕은 꼭대기 꼭지점을 중심으로 4개의 지붕면을 가진 사모지붕으로 만들었으며, 지붕 위쪽으로 탑 형식의 머리장식이 달려 있다.
건물의 양식 구조가 층에 따라 약간 다른데, 1층부터 4층까지는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공포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고, 5층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설치한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건물 안쪽은 사리를 모시고 있는 공간과 불상과 팔상도를 모시고 있는 공간, 그리고 예배를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법주사 팔상전은 지금까지 남아 있는 우리 나라의 탑 중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며 하나뿐인 목조탑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1층과 2층은 앞·옆면 5칸, 3·4층은 앞·옆면 3칸, 5층은 앞·옆면 2칸씩으로 되어 있고, 4면에는 돌계단이 있는데 낮은 기단 위에 서 있어 크기에 비해 안정감을 준다. 지붕은 꼭대기 꼭지점을 중심으로 4개의 지붕면을 가진 사모지붕으로 만들었으며, 지붕 위쪽으로 탑 형식의 머리장식이 달려 있다.
건물의 양식 구조가 층에 따라 약간 다른데, 1층부터 4층까지는 지붕 처마를 받치기 위해 장식하여 짠 공포구조가 기둥 위에만 있는 주심포 양식이고, 5층은 기둥과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설치한 다포 양식으로 꾸몄다. 건물 안쪽은 사리를 모시고 있는 공간과 불상과 팔상도를 모시고 있는 공간, 그리고 예배를 위한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법주사 팔상전은 지금까지 남아 있는 우리 나라의 탑 중에서 가장 높은 건축물이며 하나뿐인 목조탑이라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3.3. 보은 법주사 석련지
자세한 내용은 보은 법주사 석련지 문서 참고하십시오.3.4. 보은 법주사 대웅전
대한민국의 보물 | ||||
914호 | ← | 915호 | → | 916호 |
정읍 보화리 석조 이불입상 |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
보물 제915호(1987년 3월 9일 지정).
보물로 지정된 흔치 않은 중층 사찰 건물이다. 정면 7칸 측면 4칸으로 상당히 거대하다.
3.5.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대한민국의 보물 | ||||
915호 | ← | 916호 | → | 917호 |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 | 배자예부운략 목판 |
보물 제916호(1987년 3월 9일 지정).
정사각형에 사모지붕을 얹은 특이한 형태의 건물. 대중적인 인지도는 낮지만, 한국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양식으로 남아있는 건물이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선조 30년(1597) 정유재란으로 법주사가 불에 탈 때 같이 소실되었으나 인조 25년(1647)에 새로 지었다. 그 후 여러 차례 수리를 거쳐 지금에 이른다.
또한 원통보전 안에는 보물 제 1361호 목조관음보살 좌상을 모셨다. 복장[9] 안에서 나온 불상 조성기에는 효종 6년(1655)에 만들었다는 내용이 있다.
3.6. 용화보전
원래 미륵불을 주불로 모시는 용화보전이라는 전각이 있었다. 35칸에 2층으로, 중심 법당의 역할을 맡았으며 내부에 미륵장륙상을 모셨다. 이 용화보전은 매우 화려했다고 하는데 법주사의 중심 전각이었다. 하지만 고종 9년(1872) 당백전 주조를 이유로 장륙상이 압수되면서 건물도 헐렸다.[10] 이후 그 자리 아래에 현재 볼 수 있는 거대한 금동미륵입상을 세웠다.3.6.1. 금동미륵입상
신라 혜공왕 12년 (서기 776년)에 진표율사가 7년간의 노력 끝에 금동미륵대불을 조성해 모셨다.
그때부터 모신 미륵부처님을 조선조 고종 9년 (서기 1872년)에 대원군이 경복궁을 축조함에 소요되는 자금마련이라는 구실로 당백전 화폐를 주조하기 위해 불산을 몰수해 갔다.
일제치하인 1939년에 장석상 당시 주지스님이 대시주 김수곤의 후원 하에 김복진 조각가에게 의뢰하여 시멘트 부처님을 조성 하던 중 약 80%의 공정상태에서 6.25전쟁으로 중단되었다.
1963년 박추남 주지스님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장군과 이방자 여사의 시주로 복원불사가 재개되어 1964년 5월에 시멘트미륵부처님이 완성, 회향되었다.
1986년 류원탄 주지스님 당시, 붕괴직전의 시멘트미륵부처님을 다시 조성해 모셨다. 기존조성 시멘트불상의 크기와 형상을 그대로 복사해서 청동불로 바꾼 것이다.
2000년에 들어서, 석지명 주지스님이 호국불교의 전통을 계승해서 국난극복과 민족화합, 2002 한,일 월드컵행사의 성공 개최 및 세계평화를 발원하며 검푸른 청동녹을 벗겨내고 개금불사를 시작했다. 2년여의 노력으로 2002년 6월 7일 금동미륵대불 회향대법회를 갖게 되었는데 본래의 금동미륵부처님을 복원한 셈이다.
개금방법은 건식전기도금공법으로 순금 3미크론 두께로 연도금면적 900m^2에 황금 20Kg이 소요되었고, 재원은 신심어린 3만여 불자의 시주금으로 충당되었으며, 공사 연 동원인력은 4,500여명이었다.
높이 33 m[11], 무게 160톤. 거대한 미륵상은 청동불상 중에서는 세계 최대의 높이였다고 한다. 이 기록은 1993년에 홍콩의 포린 사원에 세워진 34 m짜리 천단대불 좌상이 깨트렸다.
미륵입상 설명판
그때부터 모신 미륵부처님을 조선조 고종 9년 (서기 1872년)에 대원군이 경복궁을 축조함에 소요되는 자금마련이라는 구실로 당백전 화폐를 주조하기 위해 불산을 몰수해 갔다.
일제치하인 1939년에 장석상 당시 주지스님이 대시주 김수곤의 후원 하에 김복진 조각가에게 의뢰하여 시멘트 부처님을 조성 하던 중 약 80%의 공정상태에서 6.25전쟁으로 중단되었다.
1963년 박추남 주지스님 당시,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박정희 장군과 이방자 여사의 시주로 복원불사가 재개되어 1964년 5월에 시멘트미륵부처님이 완성, 회향되었다.
1986년 류원탄 주지스님 당시, 붕괴직전의 시멘트미륵부처님을 다시 조성해 모셨다. 기존조성 시멘트불상의 크기와 형상을 그대로 복사해서 청동불로 바꾼 것이다.
2000년에 들어서, 석지명 주지스님이 호국불교의 전통을 계승해서 국난극복과 민족화합, 2002 한,일 월드컵행사의 성공 개최 및 세계평화를 발원하며 검푸른 청동녹을 벗겨내고 개금불사를 시작했다. 2년여의 노력으로 2002년 6월 7일 금동미륵대불 회향대법회를 갖게 되었는데 본래의 금동미륵부처님을 복원한 셈이다.
개금방법은 건식전기도금공법으로 순금 3미크론 두께로 연도금면적 900m^2에 황금 20Kg이 소요되었고, 재원은 신심어린 3만여 불자의 시주금으로 충당되었으며, 공사 연 동원인력은 4,500여명이었다.
높이 33 m[11], 무게 160톤. 거대한 미륵상은 청동불상 중에서는 세계 최대의 높이였다고 한다. 이 기록은 1993년에 홍콩의 포린 사원에 세워진 34 m짜리 천단대불 좌상이 깨트렸다.
미륵입상 설명판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흥선대원군이 녹여버린 불상을 다시 만들고자 노력이 많이 필요했다. 1939년에 만들려고 했지만 재정문제와 태평양 전쟁 말기 금속 공출 등 문제 때문에 시멘트로 대신했다. 그조차도 조각가 김복진의 요절과 한국 전쟁으로 중단되었다. 전쟁이 끝난 후 다시 시간이 흘러 박정희가 대통령이 된 뒤 그의 관심에 힘입어 1964년에 완공하였다.
그러나 이후 안전에 문제가 생겼다는 이유로 해체하고는 1990년에 5년간 작업하여 청동으로 다시 주조했고 이후 2002년에 금 약 80 kg을 들여 전체를 개금해서 금동미륵입상이 되었다. 하지만 청동 시절이 더 중후하게 보여서 나았다는 의견도 있다. 판단은 직접 해보시길 바란다. 한편 금이 쓰인 게 맞냐는 논란도 있다 .기사
여담으로, 강원도 홍천의 연화사라는 절에 이 불상과 비슷한 크기의 불상이 있다.[12]
청동미륵대불 시절 | 일제강점기 모습 |
과거 시멘트로 만든 미륵입상일 때에는 '크기는 큰데 시멘트 미륵'이라고 은근히 무시당하기도 했다. 그리고 워낙 오랫동안 '커다란 시멘트 미륵'으로 유명했기 때문에 이후에 가보지 않아 업데이트가 안됐다면 아직도 시멘트로 만든 미륵입상이 법주사에 있는 줄로 아는 중장년층도 은근히 많다.
한편 한반도에서 가장 큰 조각상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세계 각국의 유명, 최대 규모 동상들 리스트 영상에 대한민국 대표로 올라간 동상이 바로 이 불상이다.해당 영상
크기도 상당히 큰데, 불상들 중에서 매우 큰 편은 아니지만 전 세계 기준 50위는 될락말락하며, 108ft로 웬만한 전 세계에 존재하는 대부분의 예수상들보다는 크다.[13]
4. 문화재
법주사는 역사적·학술적인 가치를 인정 받아 절 자체가 사적이자 명승으로 지정되었으며, 법주사가 소장하고 있거나 관련된 문화재로는 국보 3점, 보물 14점, 지방유형 문화재 22점, 천연기념물 2점이 있다.- 사적 제312호 보은 법주사(報恩 法住寺)
- 명승 제61호 속리산 법주사 일원(俗離山 法住寺 一圓)
- 국보 제5호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雙獅子 石燈)
국보 제55호 보은 법주사 팔상전(捌相殿)
국보 제64호 보은 법주사 석련지(石蓮池) - 보물 제15호 보은 법주사 사천왕 석등(四天王 石燈)
보물 제216호 보은 법주사 마애여래의좌상(磨崖如來倚坐像)
보물 제848호 보은 법주사 신법 천문도 병풍(新法 天文圖 屛風)
보물 제915호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大雄寶殿)
보물 제916호 보은 법주사 원통보전(圓通寶殿)
보물 제1259호 보은 법주사 괘불탱(掛佛幀)
보물 제1360호 보은 법주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
보물 제1361호 보은 법주사 목조관음보살좌상(木造觀音菩薩坐像)
보물 제1413호 보은 법주사 철솥(鐵鑊)
보물 제1416호 보은 법주사 복천암 수암화상탑(福泉庵 秀庵和尙塔)
보물 제1417호 보은 법주사 석조희견보살입상(石造喜見菩薩立像)
보물 제1418호 보은 법주사 복천암 학조화상탑(福泉庵 學祖和尙塔)
보물 제1858호 보은 법주사 동종(銅鍾)[14]
보물 보은 법주사 소조사천왕상(塑造四天王像) -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1호 보은 순조 태실(純祖 胎室)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6호 보은 법주사 세존사리탑(世尊舍利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46호 보은 법주사 사천왕문(四天王門)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0호 보은 법주사 석조(石槽)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1호 보은 법주사 벽암대사비(碧巖大師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9호 보은 법주사 자정국존비(慈淨國尊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167호 보은 속리산사실기비(俗離山事實記碑)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04호 보은 법주사 석옹(石瓮)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32호 보은 법주사 능인전(能仁殿)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33호 보은 법주사 선희궁 원당(宣喜宮 願堂)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34호 보은 법주사 궁현당(窮玄堂)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36호 보은 법주사 가경구년명 철종(嘉慶九年銘 鐵鍾)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38호 보은 법주사 선조대왕 어필 병풍(宣祖大王 御筆 屛風)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39호 보은 법주사 주서무일편 병풍(周書無逸篇 屛風)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6호 보은 법주사 대웅보전 후불도(大雄寶殿 後佛圖)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7호 보은 법주사 여적암 다층청석탑(汝寂庵 多層靑石塔)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98호 보은 법주사 복천암 극락보전(福泉庵 極樂寶殿)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05호 보은 법주사 복천암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福泉庵 木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06호 보은 법주사 복천암 신중도(福泉庵 神衆圖)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07호 보은 법주사 복천암 삼세불도(福泉庵 三世佛圖)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308호 보은 문수암 산신도(文殊庵 山神圖)[15]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265호 보은 법주사 수정암 석불좌상(水晶庵 石佛坐像)[16] -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45호 보은 법주사 수정암 석조여래좌상(水晶庵 石造如來坐像)
충청북도 문화재자료 제45호 보은 법주사 상고암 마애불상군(上庫庵 磨崖佛像群) - 천연기념물 제103호 보은 속리 정이품송(正二品松)
천연기념물 제207호 보은 속리산 망개나무
법주사는 조선 왕실과 관련이 깊은 사찰로 법주사에서 천왕봉으로 가는 중간 지점에 순조의 태실이 있고, 법주사 경내에는 아예 영빈 이씨의 사당인 선희궁 원당이 있다. 순조의 태실과 관련해서 법주사 입구에 있는 금표(禁標), 화소(火巢), 하마비(下馬碑), 봉교비(奉敎碑)는 꽤 큰 의미가 있는데 조선 시대에 왕족의 태실을 조성할 때는 해당 태실의 등급에 따라 반경 100~300보 안으로는 아무도 들어오지 못하도록 금표를 설치했다. 또한 능이나 태실 주변에서 불이 났을 때 번지는 것을 대비하기 위해 주변 일정 지대에 나무와 풀을 제거해둔 일종의 완충지대를 두는데 이것을 알리는 표식이 화소이다. 그리고 조선 시대에는 궁궐이나 서원 등 특정 시설이나 장소에 도착하면 어느 지점부터 누구나 말에서 내리도록 하는 하마비를 세우는데 태실 또는 태실의 수호사찰에도 이를 설치했다. 여기에다 법주사의 승려들은 잡역을 면제해준다는 내용을 새긴 봉교비까지 있는데, 이 모든 것이 현재까지 남아있는 유일한 곳이 법주사이다. 잘 알려진대로 속리산 세조길이나 정이품송과 관련해 세조와 관련이 깊은 절이기도 하다.
4.1. 벽암대사비
보은 법주사 벽암대사비 |
4.1.1.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71호
법주사의 절 한켠에 자리하고 있는 비로, 벽암대사의 행적을 적고 있다.
벽암대사는 조선 중기의 승려로, 법명은 각성이며, 벽암은 그의 호이다. 임진왜란 때에는 해전에 참여하였고, 인조 때 남한산성을 쌓을 때에는 8도도총섭으로 임명되어 승려들을 이끌고 3년만에 공사를 완성시키었다.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이 일어나 왕이 남한산성으로 천도하자 승려 수천 명을 모집하여, 호남의 군사들과 함께 적들을 섬멸하였다. 남한산성으로 향하던 중 전쟁이 끝나버리므로 승려들을 돌려보내고 지리산으로 들어갔다. 인조 24년(1646) 가을 속리산 법주사에서 동문인 희언과 머물렀고, 희언이 화엄사로 가서 입적하자 그도 화엄사로 들어가 지내다가, 현종 1년(1660) 86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비는 넓직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운 후, 제법 묵직하고 투박한 머릿돌이 얹은 모습이다. 조선 현종 5년(1664)에 세운 것으로, 선조의 손자인 낭선군이 글씨를 썼다.
벽암대사는 조선 중기의 승려로, 법명은 각성이며, 벽암은 그의 호이다. 임진왜란 때에는 해전에 참여하였고, 인조 때 남한산성을 쌓을 때에는 8도도총섭으로 임명되어 승려들을 이끌고 3년만에 공사를 완성시키었다.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이 일어나 왕이 남한산성으로 천도하자 승려 수천 명을 모집하여, 호남의 군사들과 함께 적들을 섬멸하였다. 남한산성으로 향하던 중 전쟁이 끝나버리므로 승려들을 돌려보내고 지리산으로 들어갔다. 인조 24년(1646) 가을 속리산 법주사에서 동문인 희언과 머물렀고, 희언이 화엄사로 가서 입적하자 그도 화엄사로 들어가 지내다가, 현종 1년(1660) 86세의 나이로 입적하였다.
비는 넓직한 받침돌 위에 비몸을 세운 후, 제법 묵직하고 투박한 머릿돌이 얹은 모습이다. 조선 현종 5년(1664)에 세운 것으로, 선조의 손자인 낭선군이 글씨를 썼다.
4.1.2. 비문
보은(報恩) 법주사(法住寺) 벽암대사비(碧嵓大師碑)
벽암대사비명(碧嵓大師碑銘)(전자(篆字)로 씀)
유명조선국 고속리산(有明朝鮮國故俗離山) 사보은천교원조국일도대선사 겸 선교십육종도총섭(賜報恩闡敎圓照國一都大禪師兼禪敎十六宗都摠攝) 비지쌍운 변혜무애 부종수교 복국우세 특사의발(悲智雙運辯慧無礙扶宗樹敎福國祐世特賜衣鉢) 벽암대사(碧嵓大師) 비명(碑銘) 병서(幷序)
통정대부 승정원동부승지 지제교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정두경(鄭斗卿) 지음
숭헌대부 낭선군(朗善君) 겸 오위도총부도총관 이우(李俁) 글씨 씀
숭헌대부 복창군(福昌君) 겸 오위도총부도총관 이정(李楨) 전자(篆字) 씀
화상(和尙)의 성은 김(金)씨, 이름은 각성(覺性)이고 자는 징원(澄圓)이며 벽암(碧岩)은 그 호이다. 보은(報恩) 사람으로 어머니 조(曹)씨가 자식이 없어 칠성신(北斗)에게 빌었는데 꿈에 오래된 거울을 보고 임신하여 만력(萬曆) 을해년(선조 8, 1575) 12월 23일에 태어났다. 9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14세에 설묵(雪默)장로를 따라 머리를 깎았다. 부휴(浮休)대사가 선사를 한 번 보고는 뛰어나다 여겨서 데려다가 제자로 삼았다. 을미년(1595)에 명나라 장수 이종성(李宗誠)이 왜장을 ▨에 책봉하는 사신으로 왔는데 해인사(海印寺)에서 대사를 만나 감탄하며, ‘불도징(佛圖澄)과 도안(道安)을 해외에서 다시 보는구나’ 라고 하였다. 선사가 일찍이 몇 명 사문과 함께 밤길을 가는데 큰 호랑이가 포효하며 나타났다. 여러 승려들이 크게 두려워하였으나 선사는 웃으면서, ‘이 놈은 다만 우리를 위해 앞길을 인도해 주는 것이니 두려워하지 마라’고 하였다. 20여 리를 갔는데 호랑이가 따라 오다가 절 문에 이르렀다. 선사는 호랑이를 돌아보며 말하기를, ‘멀리서부터 와서 서로 헤어지게 되니 너 또한 애썼다’라고 하였다. 호랑이가 선사 주위를 세 번 돌고는 거듭 울부짖으며 떠나니 절의 승려들이 놀라고 괴이하게 여겼다. 송운 유정(松雲 惟政)이 부휴 선수(浮休 善修)에게 편지를 보내어, ‘법을 이을 사람을 얻었으니 축하합니다’라고 하였다.
선사는 세속의 일을 잊었고 새들이 손바닥 위에서 모이를 쪼아도 어루만지며 겁먹지 않게 하였다. 광해군 임자년(1612)에 부휴선수가 미친 중에게 무고를 당해 붙잡혀 서울로 보내졌다. 선사도 함께 옥에 구금되었는데 안색이 태연자약하였다. 광해군이 친히 국문하여 보고는 기이하게 여겨서 곧바로 묶인 밧줄을 풀고 비단 옷 두 벌을 내어 각기 하사하였다.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고 갑자년(1624)에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쌓았는데 선사를 임명하여 팔방도총섭(八方都摠攝)으로 삼았다. 공역이 끝나자 보은천교원조국일도대선사(報恩闡敎圓照國一都大禪師)의 칭호를 내렸고 또 의발을 하사하였다. 그리고 중사(中使)를 보내어 어주(內醞: 임금이 신하에게 내리는 술)를 하사하였는데 선사는 합장하고 절하며 말하기를, ‘산승(山僧)은 음주를 금하는(不飮酒) 계를 지켜야 하지만 이는 성왕이 하사한 것이니 어찌 감히 한 잔 마시지 않겠습니까’ 라고 하였다. 중사가 이를 보고하니 (▨▨▨) 칭찬하였다.
병자년(1636년) 겨울에 청나라 군대가 갑자기 들이닥치자 선사는 의승(義僧) 3천을 모집하여 항마군(降魔軍)이라 이름하고 관군과 함께 군대를 나누어 진격하였다. 임금이 이를 듣고 더욱 가상히 여겼다. 임오년(인조 20, 1642) 조정에서 천거하여 일본행 사신으로 삼았는데, 선사는 서울로 가다가 (▨▨▨) 사퇴하였다. 효종대왕이 즉위하기 전에 선사가 안주(安州)에서 뵙고 화엄(華嚴)의 종지(宗旨)를 논하여 밝혔는데, 효종이 크게 칭찬하며 벼루(龍眉)와 붓(畵管), 장식용 조개(硨𤦲) 몇 알, 유리(琉璃)와 도서(圖書), 황금으로 된 사자(獅子)를 상으로 주었다. (▨▨▨) 상서(尙書) 이시방(李時昉)에게 ‘각성 노선사가 병환은 없는가. 지금 어디에 있는가’라고 물었으니 그 후대함이 이와 같았다.
기해년(1659) 12월에 이르러 가벼운 질병을 보이다가 다음 해 경자년(현종 1, 1660) 1월에 대중을 모아 작별을 고하고 게송 하나를 썼다.
염송(拈頌)이 30편이요 새겨진 경전(契經)이 8만 게송이로다. 어찌 뒤섞여 갈등을 일으키겠는가? 웃을 만 하도다. 많은 일이 있었구나.
바로 붓을 던지고 앉은 채로 입적하니 나이는 86세였고 법랍은 72년이었다. 다비하는 날 장례에 모인 이가 만 여명이었는데 막 불을 놓자 상서로운 바람이 홀연히 일어났고 날짐승이 슬피 울어댔다. 사리 3알을 얻었는데 모두 흰색이었다. 영골(靈骨)을 나누어 부도(方墳)를 세운 것이 모두 네 곳이었는데 조계산(曹溪) 송광사(松廣), 지리산(頭流) 화엄사(華嚴), 종남산(終南) 송광사(松廣), 속리산(俗離) 법주사(法住)이다.
선사의 사람됨은 용모가 단정하고 기상이 맑고 높았으니 만나 본 자는 어리석거나 지혜롭거나 귀천에 상관없이 공경하고 존중하지 아니함이 없었다. 눈빛은 사람을 쏘았고 치아는 39개였는데 깨끗하고 하나같이 가지런하여 또한 신이한 모습이었다. 저술에는 『도중결의(圖中決疑)』, 『참상선지(叅商禪旨)』 등의 글이 있었는데 동양도위(東陽都尉) 신익성(申翊聖)이 서문을 지어 세상에 유통되었다. 처능(處能)대사는 선사의 전법제자인데 와서 명(銘)을 청하므로 결국 그를 위해 명을 짓는다. 명은,
고려 말에 태고보우(太古普愚) 공(公)이 있어
중국에 들어가 불지(佛旨)를 얻고 해동으로 돌아왔다.
이로부터 선풍(禪風)이 크게 떨쳐져
스님들이 팔방(八葉)에서 고승(龍象)이 되기에 이르렀다.
괴로움의 바다(苦海)에 배를 띄워 중생을 구제하였고
그 본원을 본받으니 실로 임제(臨濟)의 정종(正宗)이도다.
높디높은 속리산(俗離)은 선사가 머문 곳이니
돌에 새겨 그 시작과 끝을 기록한다.
갑진년(현종 5, 1664) 4월 일에 세움
-해석자 정병삼-
벽암대사비명(碧嵓大師碑銘)(전자(篆字)로 씀)
유명조선국 고속리산(有明朝鮮國故俗離山) 사보은천교원조국일도대선사 겸 선교십육종도총섭(賜報恩闡敎圓照國一都大禪師兼禪敎十六宗都摠攝) 비지쌍운 변혜무애 부종수교 복국우세 특사의발(悲智雙運辯慧無礙扶宗樹敎福國祐世特賜衣鉢) 벽암대사(碧嵓大師) 비명(碑銘) 병서(幷序)
통정대부 승정원동부승지 지제교 겸 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정두경(鄭斗卿) 지음
숭헌대부 낭선군(朗善君) 겸 오위도총부도총관 이우(李俁) 글씨 씀
숭헌대부 복창군(福昌君) 겸 오위도총부도총관 이정(李楨) 전자(篆字) 씀
화상(和尙)의 성은 김(金)씨, 이름은 각성(覺性)이고 자는 징원(澄圓)이며 벽암(碧岩)은 그 호이다. 보은(報恩) 사람으로 어머니 조(曹)씨가 자식이 없어 칠성신(北斗)에게 빌었는데 꿈에 오래된 거울을 보고 임신하여 만력(萬曆) 을해년(선조 8, 1575) 12월 23일에 태어났다. 9살 때 아버지를 여의고 14세에 설묵(雪默)장로를 따라 머리를 깎았다. 부휴(浮休)대사가 선사를 한 번 보고는 뛰어나다 여겨서 데려다가 제자로 삼았다. 을미년(1595)에 명나라 장수 이종성(李宗誠)이 왜장을 ▨에 책봉하는 사신으로 왔는데 해인사(海印寺)에서 대사를 만나 감탄하며, ‘불도징(佛圖澄)과 도안(道安)을 해외에서 다시 보는구나’ 라고 하였다. 선사가 일찍이 몇 명 사문과 함께 밤길을 가는데 큰 호랑이가 포효하며 나타났다. 여러 승려들이 크게 두려워하였으나 선사는 웃으면서, ‘이 놈은 다만 우리를 위해 앞길을 인도해 주는 것이니 두려워하지 마라’고 하였다. 20여 리를 갔는데 호랑이가 따라 오다가 절 문에 이르렀다. 선사는 호랑이를 돌아보며 말하기를, ‘멀리서부터 와서 서로 헤어지게 되니 너 또한 애썼다’라고 하였다. 호랑이가 선사 주위를 세 번 돌고는 거듭 울부짖으며 떠나니 절의 승려들이 놀라고 괴이하게 여겼다. 송운 유정(松雲 惟政)이 부휴 선수(浮休 善修)에게 편지를 보내어, ‘법을 이을 사람을 얻었으니 축하합니다’라고 하였다.
선사는 세속의 일을 잊었고 새들이 손바닥 위에서 모이를 쪼아도 어루만지며 겁먹지 않게 하였다. 광해군 임자년(1612)에 부휴선수가 미친 중에게 무고를 당해 붙잡혀 서울로 보내졌다. 선사도 함께 옥에 구금되었는데 안색이 태연자약하였다. 광해군이 친히 국문하여 보고는 기이하게 여겨서 곧바로 묶인 밧줄을 풀고 비단 옷 두 벌을 내어 각기 하사하였다. 인조반정(仁祖反正)이 일어나고 갑자년(1624)에 남한산성(南漢山城)을 쌓았는데 선사를 임명하여 팔방도총섭(八方都摠攝)으로 삼았다. 공역이 끝나자 보은천교원조국일도대선사(報恩闡敎圓照國一都大禪師)의 칭호를 내렸고 또 의발을 하사하였다. 그리고 중사(中使)를 보내어 어주(內醞: 임금이 신하에게 내리는 술)를 하사하였는데 선사는 합장하고 절하며 말하기를, ‘산승(山僧)은 음주를 금하는(不飮酒) 계를 지켜야 하지만 이는 성왕이 하사한 것이니 어찌 감히 한 잔 마시지 않겠습니까’ 라고 하였다. 중사가 이를 보고하니 (▨▨▨) 칭찬하였다.
병자년(1636년) 겨울에 청나라 군대가 갑자기 들이닥치자 선사는 의승(義僧) 3천을 모집하여 항마군(降魔軍)이라 이름하고 관군과 함께 군대를 나누어 진격하였다. 임금이 이를 듣고 더욱 가상히 여겼다. 임오년(인조 20, 1642) 조정에서 천거하여 일본행 사신으로 삼았는데, 선사는 서울로 가다가 (▨▨▨) 사퇴하였다. 효종대왕이 즉위하기 전에 선사가 안주(安州)에서 뵙고 화엄(華嚴)의 종지(宗旨)를 논하여 밝혔는데, 효종이 크게 칭찬하며 벼루(龍眉)와 붓(畵管), 장식용 조개(硨𤦲) 몇 알, 유리(琉璃)와 도서(圖書), 황금으로 된 사자(獅子)를 상으로 주었다. (▨▨▨) 상서(尙書) 이시방(李時昉)에게 ‘각성 노선사가 병환은 없는가. 지금 어디에 있는가’라고 물었으니 그 후대함이 이와 같았다.
기해년(1659) 12월에 이르러 가벼운 질병을 보이다가 다음 해 경자년(현종 1, 1660) 1월에 대중을 모아 작별을 고하고 게송 하나를 썼다.
염송(拈頌)이 30편이요 새겨진 경전(契經)이 8만 게송이로다. 어찌 뒤섞여 갈등을 일으키겠는가? 웃을 만 하도다. 많은 일이 있었구나.
바로 붓을 던지고 앉은 채로 입적하니 나이는 86세였고 법랍은 72년이었다. 다비하는 날 장례에 모인 이가 만 여명이었는데 막 불을 놓자 상서로운 바람이 홀연히 일어났고 날짐승이 슬피 울어댔다. 사리 3알을 얻었는데 모두 흰색이었다. 영골(靈骨)을 나누어 부도(方墳)를 세운 것이 모두 네 곳이었는데 조계산(曹溪) 송광사(松廣), 지리산(頭流) 화엄사(華嚴), 종남산(終南) 송광사(松廣), 속리산(俗離) 법주사(法住)이다.
선사의 사람됨은 용모가 단정하고 기상이 맑고 높았으니 만나 본 자는 어리석거나 지혜롭거나 귀천에 상관없이 공경하고 존중하지 아니함이 없었다. 눈빛은 사람을 쏘았고 치아는 39개였는데 깨끗하고 하나같이 가지런하여 또한 신이한 모습이었다. 저술에는 『도중결의(圖中決疑)』, 『참상선지(叅商禪旨)』 등의 글이 있었는데 동양도위(東陽都尉) 신익성(申翊聖)이 서문을 지어 세상에 유통되었다. 처능(處能)대사는 선사의 전법제자인데 와서 명(銘)을 청하므로 결국 그를 위해 명을 짓는다. 명은,
고려 말에 태고보우(太古普愚) 공(公)이 있어
중국에 들어가 불지(佛旨)를 얻고 해동으로 돌아왔다.
이로부터 선풍(禪風)이 크게 떨쳐져
스님들이 팔방(八葉)에서 고승(龍象)이 되기에 이르렀다.
괴로움의 바다(苦海)에 배를 띄워 중생을 구제하였고
그 본원을 본받으니 실로 임제(臨濟)의 정종(正宗)이도다.
높디높은 속리산(俗離)은 선사가 머문 곳이니
돌에 새겨 그 시작과 끝을 기록한다.
갑진년(현종 5, 1664) 4월 일에 세움
-해석자 정병삼-
5. 사건사고
2020년 2월 초, 한 신도가 법주사 승려 6명이 상습적으로 도박을 한다며 청주지검에 고발장을 제출했다. 제보 내용에 따르면 2018년에 이 스님들은 법주사의 다각실에서 10여차례 도박을 했으며 판돈이 모자라면 법주사 근처에 있는 현금지급기에서 돈을 빼가며 도박을 했다고 한다. 또 이를 막아야 할 주지는 이를 알고도 방관했다는 것이다. 이와 관련해 이 주지는 2016년부터 2019년 사이에 매년 20회 정도씩 마카오, 라스베이거스 등으로 출장을 나갔는데 이는 원정 도박이 의심되는 행적이며, 무엇보다 2008년에도 속리산의 모 호텔에서 카드 도박을 하다 적발돼 벌금형 처분을 받은 전력이 있었다. 그런데도 그 후 법주사의 주지가 됐고 이 사건이 진행중인 와중에도 다시 주지로 재임명됐다.고발을 접수한 청주지검은 보은경찰서에 사건을 넘겼고 수사에 나선 경찰은 법주사 사무실과 스님들의 핸드폰을 압수수색하기도 했으나 진척이 없었다. 이에 충북경찰청 광역수사대가 사건을 넘겨받아 스님들을 2021년 6월 기소의견으로 송치하였으나 검찰은 보완수사를 요구하였고 2022년 5월 증거를 보완, 다시 기소의견으로 검찰에 넘겼다. 2023년 2월, 청주지검은 이 스님들을 벌금형으로 약식기소하였으나 해당 승려들은 약식기소에 불복해 정식재판을 청구하였다.
6. 기타
팔상전은 이소룡의 사망유희에서 나온 사망탑의 본래 모델로, 팔상전 안에서 촬영이 이루어질 예정이었으나[17], 이소룡이 사망한 뒤에 재촬영-재편집되며 계획이 무산되었다. 실제로 촬영되었다면 이소룡 팬들의 성지가 되었을지도.[18]교통편은 대중교통으로 올 경우 보은군 읍내에 있는 보은시외버스공용정류장에서 법주사 밑 관광지 주차장의 정류장까지 운행하는 시외버스를 약 3~40분 정도 소요시간으로 잡고 타고 오거나 서울(동서울이 시간당 1대 꼴로 다닌다. 남부나 센트럴은 1일 4회.)이나 대전, 청주 등지에서 출발하는 속리산터미널로 가는 버스를 타고 오면 된다. 정류장에서 법주사까지는 다시 30분 정도를 걸어야 한다. 자가용으로 올 경우 서산영덕고속도로 속리산IC가 가장 가깝다.
법주사 인근에 속리산 세조길이 있다.
군위군 소보면에도 법주사가 있다. 현재 대한불교 조계종 제10교구 본사인 은해사의 말사이며 신라 소지왕 15년(493년)에 창건된 것으로 알려져 이 문서의 법주사보다 역사가 더 깊은 절이다. 다만 창건 이후의 역사는 잘 알려져 있지 않고 조선 중기에 일부 건물들을 중건해 현재에 이른다. 지금 남아있는 건물들은 대부분 최근에 지은 것이어서 오래된 느낌은 없으나 보물 제2005호에 지정된 괘불도(掛佛圖)와 경상북도 문화재자료에 지정된 1690년에 중수한 보광명전, 고려시대에 만든 것으로 추정되는 오층석탑 등 옛 문화재 등이 일부 전해지고 있다. 이밖에 지름 115㎝, 두께 15.5㎝ 크기의 대형 맷돌을 사찰 인근에서 발굴해 보관 중인데 국내에서 가장 큰 맷돌이라고 한다.
속리산 법주사 문화재관람료가 폐지된 후 충북 보은군의 관광 경기가 활기를 되찾는 분위기라고 한다. 주말 하루 1만여명의 관광객이 찾아온다고 하는데, 이 수치는 폐지 전보다 5000여명 늘어난 수치라고 한다. "사찰 관람료 폐지 덕일까"…보은 상인들 관광객 늘어 '함박웃음'
유명한 대찰로 관광객들이 몰리는 특징상 먹거리상가 주변에 차량이 거북이걸음을 하기도 한다.
7. 교통편
자가용으로 오는 경우 서산영덕고속도로의 보은IC나 속리산IC로 진출해서 동학로, 장안로를 타고 오면 되는데, 운전이 능숙하지 못한 사람은 보은IC를 이용해서 동학로를 타고 오는 편이 더 좋다. 속리산IC로 진출해서 만나는 장안로는 급경사, 급커브 등 난이도가 좀 있는 길이기 때문이다. 대중교통 편으로는 시외버스를 타고 속리산터미널에 하차하면 편리하게 접근할 수 있으며, 보은시외버스터미널에서 내려서 511번, 521번 버스를 이용하면 되는데 511번 노선은 속리산에서 보은시외버스터미널로 돌아올 때, 521번 노선은 보은시외버스터미널에서 속리산으로 갈 때 산외면의 백석마을을 거쳐서 돌아간다. 즉, 법주사로 갈 때는 511번 버스를 이용하는 게 좋고, 법주사에서 돌아올 때는 521번 버스를 이용하는 게 빠르다는 것. 그리고 두 노선 모두 속리산 말티재 급경사, 급커브 구간을 경유하는 노선이기 때문에 해당 구간을 지날 때 멀미 등 어지러움에 취약한 사람은 미리 예방을 하고 버스에 탑승하는 것이 좋겠다.8. 둘러보기
일제강점기의 불교 31본산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4a2d5b> 경기도 | 봉은사 · 봉선사 · 용주사 · 전등사 |
충청도 | 법주사 · 마곡사 | |
경상도 | 동화사 · 은해사 · 고운사 · 김룡사 · 기림사 · 해인사 · 통도사 · 범어사 | |
전라도 | 위봉사 · 보석사 · 백양사 · 화엄사 · 선암사 · 송광사 · 대흥사 | |
강원도 | 건봉사 · 유점사 · 월정사 | |
황해도 | 패엽사 · 성불사 | |
평안도 | 영명사 · 법흥사 · 보현사 | |
함경도 | 석왕사 · 귀주사 |
- [ 2021~2022 ]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홍대거리 | 서울시립미술관 본관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롯데월드 어드벤처 | 남산 N서울타워 | 서대문형무소역사관 | 익선동 | 코엑스(스타필드) | 영종도 | 개항장 역사문화의 거리 | 인천 차이나타운(송월동 동화마을) | 강화 원도심 스토리워크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수원화성 | 한국민속촌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서울랜드) | 광명동굴 | 화담숲 | 임진각, 파주 DMZ | 두물머리 | 제부도 | 가평 아침고요 수목원 | 파주 헤이리 예술마을 | 농협경제지주 안성팜랜드 ||
강원권 설악산국립공원 | 남이섬 | 한탄강 유네스코 세계지질공원 | 강릉 커피거리 | 대관령 | 비발디파크(오션월드) | 강릉 주문진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원주 뮤지엄 산 |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장태산 자연휴양림 | 계족산 황톳길 | 청풍호반케이블카 | 의림지 | 청남대 | 만천하스카이워크, 단양강 잔도 | 예당호 출렁다리, 음악분수 | 대천해수욕장 | 안면도 꽃지해변 | 부여 백제유적지(부소산성 | 궁남지)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송산리 고분군) | 예산황새공원 | 아산 외암마을 | 신두리 해안사구 | 세종호수공원 일원 전라권 무등산국립공원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익산 미륵사지 | 전주 한옥마을 | 마이산도립공원 | 내장산국립공원 | 옥정호 구절초 지방정원 | 남원시립김병종미술관 | 죽녹원 | 목포해상케이블카 | 오동도, 여수세계박람회장 | 퍼플섬 | 쑥섬(애도) | 보성 녹차밭(대한다원) | 순천만습지(순천만국가정원) 경상권 태종대 유원지 | 해운대해수욕장 | 용두산·자갈치 관광특구 | 감천문화마을 | 송정해수욕장 | 다대포 꿈의 낙조분수, 다대포해수욕장 | 흰여울문화마을 | 용궁구름다리, 송도해수욕장 | 팔공산 | 서문시장 | 수성못 | 태화강 국가정원 | 영남알프스 | 간절곶 | 대왕암공원 | 반구대 암각화 | 경주 대릉원 일대 (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불국사, 석굴암 | 울릉도와 독도 | 병산서원 | 안동 하회마을 | 부석사 | 창녕 우포늪 | 황매산군립공원 | 남해독일마을 | 거제 바람의 언덕 | 합천 해인사 제주권 성산일출봉 | 한라산국립공원 | 제주올레길 | 천지연폭포 | 카멜리아 힐 | 우도 | 제주 비자림
- [ 2019~2020 ]
- ||<width=80px><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CCC,#1c1d20> 수도권 ||서울 5대 고궁 | 익선동 | 홍대거리 | 서울로7017 | 동대문디자인플라자 | 코엑스 | 롯데월드 어드벤처 | 이태원 관광특구 | 명동거리 | 남산 N서울타워 | 월미도 | 소래포구 | 송도 센트럴파크 | 인천 차이나타운 | 수원화성 | 용인 에버랜드 | 서울대공원 | 광명동굴 | 제부도 | 양평 두물머리 | 광주 남한산성 | 광주 화담숲 | 포천아트밸리 | 가평 아침고요수목원 | 연천 한탄강 관광지 | 파주 DMZ ||
강원권 평창 대관령 | 강릉 커피거리 | 원주 소금산 출렁다리 | 설악산 | 오대산 | 강릉 주문진 | 춘천 남이섬 | 원주 뮤지엄 산 | 하이원 리조트 | 고성 DMZ 평화관광지 | 비발디파크 | 삼척 대이리 동굴지대 | 인제 원대리 자작나무 숲 충청권 계족산 황톳길 | 단양 만천하스카이워크 | 단양팔경 | 청남대 | 괴산 산막이 옛길 | 태안 안면도 | 대천해수욕장 | 서천 국립생태원 | 부여 백제유적지(궁남지 | 부소산성 | 낙화암) | 공주 백제유적지(공산성 | 무령왕릉) 전라권 무등산 | 양림동 역사문화마을 | 전주 한옥마을 | 군산 시간여행 | 내장산 | 마이산 | 무주 태권도원 | 순천만습지 | 여수 엑스포 해양공원 | 담양 죽녹원 | 곡성 섬진강 기차마을 | 강진 가우도 | 보성녹차밭 | 해남 미황사 경상권 해운대해수욕장 | 태종대 | 자갈치시장 | 송도해수욕장 | 마린시티 | 감천문화마을 | 서문시장 | 대구근대문화골목 | 김광석다시그리기길 | 팔공산 | 태화강 십리대숲 | 영남알프스 | 울릉도와 독도 | 불국사와 석굴암 | 경주 대릉원 일대(동궁과 월지 | 첨성대 | 대릉원 | 천마총 | 황리단길) | 청송 주왕산 | 안동 하회마을 | 포항운하 | 영덕 대게거리 | 영주 부석사 | 울진 금강송 숲길 | 통영 스카이라인 루지 | 거제 바람의 언덕 | 창녕 우포늪 | 외도 보타니아 | 남해독일마을 | 진주성 | 합천 해인사 제주권 한라산 | 올레길 | 성산일출봉 | 제주 비자림 | 섭지코지 | 우도 | 서귀포 매일올레시장 | 성읍 민속마을 | 제주 절물 자연휴양림
[1] 현존하거나 이미 사라진 문화적 전통이나 문명의 독보적 또는 적어도 특출한 증거일 것[2] 쌍봉사 대웅전도 있지만, 이것은 불에 타 소실된 뒤 복원한 것이다.[3] 처음 지정될 당시 국보 제503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문화유산에 번호를 매기는 것이 유산의 중요도로 오인될 수 있음을 고려해 따로 번호를 매기지 않고 있다.[4] 捌은 '여덟 팔(八)'의 갖은자다.[5] 도솔천에서 인간계로 하강을 결정함, 룸비니에서 탄생함, 고향 카필라성의 동서남북 네 문으로 나가보면서 생로병사 괴로움과 수행자의 평온한 모습을 목도함, 출가하여 성을 떠남, 고행함, 마라의 유혹을 물리침, 사르나트에서 첫 설법을 함, 쿠시나가라에서 열반에 듦 등 8가지이다.[6] 처마 끝의 하중을 받치기 위해 기둥머리 같은 데 짜맞추어 댄 나무 부재[7] 공포를 기둥 위에만 배열한 것[8] 기둥 상부 이외에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열한 건축양식[9] 불상을 만들 때 그 가슴에 금, 은, 각종 보화와 서책 따위를 넣은 것[10] 참조.[11] 27 m라는 자료도 있는데 뒤의 광배까지 더한 높이가 33 m인 듯?[12] 연화사의 것이 법주사의 불상보다 3m 더 큰데 이쪽은 아미타불이다.[13] 예수상들은 대부분 100ft를 넘지 못한다.[14] 2015년 3월 14일,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35호 보은 법주사 중사자암 동종'에서 보물로 승격[15] 현재는 새로 불사를 진행 중인 문수사라는 절에 있는데 원래는 복천암에 있었다.[16] 법주사 수정암에서 발굴된 불상의 파편들을 동국대학교에서 복원해 박물관에 소장 중.[17] 당시는 홍콩영화의 전성기였으나 대륙 중국에서의 영화 촬영이 자유롭지 않았기 때문에 배경으로 찍을만한 전통건축물이 홍콩엔 별로 없으니 한국에서 촬영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사망탑의 배경이 범어사인 등. 그리고 법주사는 특이한 목탑이 존재하기도 하고 불상도 당대 동양 최대였다.[18] 만약 이렇게 됐다면 법주사는 외국인들한테 매우 유명한 관광지가 되었을 것이다. 그나마 이걸 아는 이소룡의 팬들이 종종 성지 방문으로 온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