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대한민국 국보 제97호 |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靑磁 陰刻蓮花唐草文 梅甁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
분류 |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
수량/면적 | 1개 |
지정연도 | 1962년 12월 20일 |
제작시기 | 고려 시대(12세기) |
<colbgcolor=#315288>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
[clearfix]
1. 개요
靑磁 陰刻蓮花唐草文 梅甁.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은 고려 시대인 12세기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청자 항아리다.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이라는 이름을 풀이해 보면, 연꽃과 당초 무늬를 음각으로 표면에 새겨 넣은 청자로 된 매병이라는 뜻이다. 연화당초문(蓮花唐草文)은 연꽃과 그 당초 형상을 음각으로 만든 무늬라는 것으로, 여기서 당초(唐草)란 덩굴을 뜻하며 특정한 식물의 덩굴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고, 당초 무늬는 일반적인 덩굴이 이리저리 꼬여서 복잡하게 얽혀 있는 무늬를 말한다. 비슷한 것으로는 이슬람 문화권의 아라베스크 무늬가 있다. 다만, 여기서는 연화당초라고 했으므로 연꽃과 이 연꽃의 줄기 덩굴을 지칭한다. 매병(梅甁)은 본 항아리와 같은 형태의 항아리를 뜻하는데 주둥이는 작고 상부는 풍만하여 볼륨감이 있지만 하부는 (상부에 비해) 홀쭉한 항아리를 가리킨다.[1] 매병 중에 가장 유명한 것으로는 국보 제68호로 지정된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이 있다.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의 출토지나 입수 경위 등에 관해서는 딱히 알려진 정보가 없으며, 이로 미루어보아 현전하는 고려청자들의 절대 다수처럼 본 매병도 일제강점기에 도굴로 유출된 유물일 것으로 보인다.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은 1962년에 국보 제97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2. 내용
국립중앙박물관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설명판[2]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및 표면 무늬 확대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상단부 |
항아리 몸체의 제일 하단부에는 구름 무늬 띠를 둘러서 마무리 했다.[6][7] 항아리 몸체에 새겨진 무늬들은 모두 음각으로 새겨졌다.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에 대해 더 전해지는 자료는 없어 추정이지만, 항아리의 형태나 항아리 표면에 발린 유약의 질감으로 미루어보아 아마도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일대에 있는 고려청자 도요지들[8] 가운데 하나에서 본 항아리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인다.[9] 또한 청자의 조형 수준이 높은 것으로 짐작해보면 본 항아리의 제작 시기는 고려청자 제작이 전성기를 이루었던 12세기일 것으로 추정한다.[10]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은 그 자체의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고려시대의 세련되고 뛰어난 청자 제작 수준을 보여주는 공예품으로서의 미적인 가치 등을 인정 받아,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97호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
- 한국어 위키백과: 청자 음각 연꽃 넝쿨 무늬 매병
-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 한국 미의 재발견 - 도자공예: 청자 음각 연당초문 매병
- 두산백과: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4. 국보 제97호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매병으로, 높이 43.9㎝, 아가리지름 7.2㎝, 밑지름 15.8㎝이다. 원래 매병의 양식은 중국 당나라와 송나라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는데, 고려 초기에 전래된 이후 곡선이나 양감에서 중국과는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여 고려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창조하게 되었다.
이 매병은 작고 야트막하나 야무진 아가리와 풍만한 어깨와 몸통, 잘록한 허리, 그리고 아래부분이 밖으로 약간 벌어진 곡선에서 전형적인 고려자기 임을 알수 있다. 아가리는 일반적인 매병 양식으로 각이 져 있으며 약간 밖으로 벌어졌다.
몸통에는 연꽃덩굴 무늬가 전면에 힘차고 큼직하게 표현되어 있다. 맑고 투명한 담록의 회청색 청자유가 전면에 고르게 씌워져 있으며, 표면에 그물 모양의 빙렬(氷裂)이 있다.
유약의 느낌이나 작품의 모양새를 보면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가마에서 구워 냈을 것으로 추정되며, 12세기 고려 순청자 전성기의 작품으로 보인다.
이 매병은 작고 야트막하나 야무진 아가리와 풍만한 어깨와 몸통, 잘록한 허리, 그리고 아래부분이 밖으로 약간 벌어진 곡선에서 전형적인 고려자기 임을 알수 있다. 아가리는 일반적인 매병 양식으로 각이 져 있으며 약간 밖으로 벌어졌다.
몸통에는 연꽃덩굴 무늬가 전면에 힘차고 큼직하게 표현되어 있다. 맑고 투명한 담록의 회청색 청자유가 전면에 고르게 씌워져 있으며, 표면에 그물 모양의 빙렬(氷裂)이 있다.
유약의 느낌이나 작품의 모양새를 보면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가마에서 구워 냈을 것으로 추정되며, 12세기 고려 순청자 전성기의 작품으로 보인다.
[1]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 매병2 梅甁[2] 국보 지정 명칭과는 다르게 '청자 음각 연꽃 넝쿨무늬 매병'란 이름으로 되어 있다.[3] 출처: 두산백과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4] 병의 주둥이 부분에 일부가 수리된 흔적이 보인다.[5] 출처: 한국 미의 재발견 도자공예 - 청자 음각 연당초문 매병, 두산백과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6] 본 문서에 올라온 사진 상으로는 잘 보이진 않는다.[7]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8] 陶窯址=요지 또는 가마터[9] 출처: 두산백과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10]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