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01 05:28:57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1.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2.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3. 성덕대왕신종
  4.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5. 경주 첨성대
  6.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7. 창녕 진흥왕 척경비
  8.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9.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10. 상원사 동종
  11.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12.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13.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14.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15.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16.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17. 혜심고신제서
  18. 장흥 보림사 남 · 북 삼층석탑 및 석등
  19.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20. 부석사 조사당 벽화
  21.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22.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23. 예산 수덕사 대웅전
  24. 영암 도갑사 해탈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76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1.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2.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1)
  3.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4.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5.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6.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2)
  8.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9.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10.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11.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12. 금관총 금제 허리띠
  13.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14.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15.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16.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17.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18. 청자 참외모양 병
  19.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20. 청자 구룡형 주전자
  21.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22.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23. 김천 갈항사지 동 · 서 삼층석탑
  24.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2.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3.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4.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5.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6.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7. 계유명삼존천불비상
  8.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9. 이제현 초상
  10. 안향 초상
  11. 경주 감은사지 동 · 서 삼층석탑
  12.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13.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14. 청자 상감당초문 완
  15.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16.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1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4)
  18.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19. 용주사 동종
  20.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21.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22.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23.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24. 녹유골호(부석제외함)
1.#126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1.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2. 금동관음보살입상
  3. 금동보살입상(1968)
  4.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5. 고려말 화령부 호적 관련 고문서
  6. 징비록
  7.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8. 금동보살삼존상
  9.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10. 금동 용두보당
  11.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검 및 칼집 부속 / 투겁창 및 꺾창
  12.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13.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14. 나전 화문 동경
  15. 정문경
  16. 동국정운
  17.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18.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19. 귀면 청동로
  20.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
  21.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22.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6 /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7
  23.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4, 5 /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6
  24. 송조표전총류 권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76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
  1.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2.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3.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4. 김정희필 세한도
  5. 장양수 홍패
  6.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7.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1)
  8.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2)
  9. 상지은니묘법연화경
  10.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11.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12. 천마총 금관
  13. 천마총 관모
  14. 천마총 금제 허리띠
  15. 황남대총 북분 금관
  16.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17.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18.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19. 토우장식 장경호
  20.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
  2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22. 단양 신라 적성비
  23.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24. 금동보살입상(197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4
  1.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2.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3.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4.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6.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7. 백자 청화죽문 각병
  8. 분청사기 상감운룡문 항아리
  9.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10. 백자 유개항아리
  11. 백자 달항아리(1991)
  12.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13. 포항 냉수리 신라비
  14.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1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 75
  16.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17.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1, 17
  18. 초조본 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 권6
  19.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20.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
  21.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
  22.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23. 귀함별황자총통(1596년조)
  24.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1.#276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
  1.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2.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
  3.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4
  4.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5. 백자 병형 주전자
  6.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7. 통감속편
  8.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 권162, 170, 463
  9.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10.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11. 백제 금동대향로
  12.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13.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14.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15. 용감수경 권3~4
  16.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17.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18.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19. 나주 신촌리 금동관
  20.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21.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22. 갑사 삼신불 괘불탱
  23.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24.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301~336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 번호 없음 ]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97호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靑磁 陰刻蓮花唐草文 梅甁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용산동6가, 국립중앙박물관)
분류 유물 / 생활공예 / 토도자공예 / 청자
수량/면적 1개
지정연도 1962년 12월 20일
제작시기 고려 시대(12세기)
파일:국보97호청자음각연화당초문매병.jpg
<colbgcolor=#315288>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1. 개요2. 내용3. 외부 링크4. 국보 제97호

[clearfix]

1. 개요

靑磁 陰刻蓮花唐草文 梅甁.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은 고려 시대인 12세기 경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고려청자 항아리다.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이라는 이름을 풀이해 보면, 연꽃과 당초 무늬를 음각으로 표면에 새겨 넣은 청자로 된 매병이라는 뜻이다. 연화당초문(蓮花唐草文)은 연꽃과 그 당초 형상을 음각으로 만든 무늬라는 것으로, 여기서 당초(唐草)란 덩굴을 뜻하며 특정한 식물의 덩굴을 지칭하는 것은 아니고, 당초 무늬는 일반적인 덩굴이 이리저리 꼬여서 복잡하게 얽혀 있는 무늬를 말한다. 비슷한 것으로는 이슬람 문화권의 아라베스크 무늬가 있다. 다만, 여기서는 연화당초라고 했으므로 연꽃과 이 연꽃의 줄기 덩굴을 지칭한다. 매병(梅甁)은 본 항아리와 같은 형태의 항아리를 뜻하는데 주둥이는 작고 상부는 풍만하여 볼륨감이 있지만 하부는 (상부에 비해) 홀쭉한 항아리를 가리킨다.[1] 매병 중에 가장 유명한 것으로는 국보 제68호로 지정된 청자 상감운학문 매병이 있다.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의 출토지나 입수 경위 등에 관해서는 딱히 알려진 정보가 없으며, 이로 미루어보아 현전하는 고려청자들의 절대 다수처럼 본 매병도 일제강점기도굴로 유출된 유물일 것으로 보인다.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은 1962년에 국보 제97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하고 있다.

2. 내용

파일:kKakaoTalk_20230306_095847812_08.jpg
국립중앙박물관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설명판[2]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은 높이 43.9cm, 입지름 7.2cm, 밑지름 15.8cm의 항아리로, 형태는 고려시대 제작된 매병의 전형적인 모습을 하고 있다. 본래 매병이라는 형태는 중국 당나라송나라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하는데, 이 형태가 고려로 넘어온 뒤로 고려에서 독자적인 스타일로 발전시켜서 고려청자 매병은 그 특유의 아름다움을 가지고 있다고 평가된다.[3]
파일:kKakaoTalk_20230306_095847812_09.jpg파일:kKakaoTalk_20230306_095847812_07.jpg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및 표면 무늬 확대
또한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은 유약이 전체적으로 고르게 발라져서 고려청자의 상징이랄 수 있는 담녹색의 비색이 은은하고 투명하게 잘 보존되어 있으며, 표면에 가득 새겨진 연꽃과 줄기 덩굴, 그리고 덩굴에서 뻗어 나온 이파리들의 문양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항아리의 전체적인 보존 상태는 아주 약간의 손상을 제외하고는[4] 전반적으로 양호하며 매병 특유의 풍만함이 우아하게 잘 살아 있다.
파일:국보97호청자음각연화당초문매병상단부.jpg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상단부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표면에 줄기덩굴과 이파리 사이사이로 새겨진 연꽃은 활짝 피어난 형상이며, 연꽃 줄기 덩굴은 어지럽게 얽혀 있지만 기본적으로는 부드러운 곡선형으로 되어 있는데 이 줄기 덩굴에서 뻗어나온 이파리들은 항아리의 표면을 빈틈없이 채우고 있다. 줄기 덩굴과 이파리들은 실제 식물처럼 자유롭게 이리저리 뻗어있는데, 항아리 상단부의 주둥이 주변으로도 덩굴과 이파리가 자연스럽게 조형되어 있다. 특히 줄기 덩굴의 곡선이 항아리 몸체의 곡선과 아름답게 조화를 이룬다고 평가된다.[5]

항아리 몸체의 제일 하단부에는 구름 무늬 띠를 둘러서 마무리 했다.[6][7] 항아리 몸체에 새겨진 무늬들은 모두 음각으로 새겨졌다.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에 대해 더 전해지는 자료는 없어 추정이지만, 항아리의 형태나 항아리 표면에 발린 유약의 질감으로 미루어보아 아마도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일대에 있는 고려청자 도요지들[8] 가운데 하나에서 본 항아리가 만들어졌을 것으로 보인다.[9] 또한 청자의 조형 수준이 높은 것으로 짐작해보면 본 항아리의 제작 시기는 고려청자 제작이 전성기를 이루었던 12세기일 것으로 추정한다.[10]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은 그 자체의 보존 상태가 양호하며, 고려시대의 세련되고 뛰어난 청자 제작 수준을 보여주는 공예품으로서의 미적인 가치 등을 인정 받아,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97호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

4. 국보 제97호

고려시대 만들어진 청자매병으로, 높이 43.9㎝, 아가리지름 7.2㎝, 밑지름 15.8㎝이다. 원래 매병의 양식은 중국 당나라와 송나라에서 그 근원을 찾을 수 있는데, 고려 초기에 전래된 이후 곡선이나 양감에서 중국과는 다른 방향으로 발전하여 고려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창조하게 되었다.

이 매병은 작고 야트막하나 야무진 아가리와 풍만한 어깨와 몸통, 잘록한 허리, 그리고 아래부분이 밖으로 약간 벌어진 곡선에서 전형적인 고려자기 임을 알수 있다. 아가리는 일반적인 매병 양식으로 각이 져 있으며 약간 밖으로 벌어졌다.

몸통에는 연꽃덩굴 무늬가 전면에 힘차고 큼직하게 표현되어 있다. 맑고 투명한 담록의 회청색 청자유가 전면에 고르게 씌워져 있으며, 표면에 그물 모양의 빙렬(氷裂)이 있다.

유약의 느낌이나 작품의 모양새를 보면 전라남도 강진군 대구면 사당리 가마에서 구워 냈을 것으로 추정되며, 12세기 고려 순청자 전성기의 작품으로 보인다.


[1] 출처: 네이버 국어사전 - 매병2 梅甁[2] 국보 지정 명칭과는 다르게 '청자 음각 연꽃 넝쿨무늬 매병'란 이름으로 되어 있다.[3] 출처: 두산백과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4] 병의 주둥이 부분에 일부가 수리된 흔적이 보인다.[5] 출처: 한국 미의 재발견 도자공예 - 청자 음각 연당초문 매병, 두산백과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6] 본 문서에 올라온 사진 상으로는 잘 보이진 않는다.[7]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8] 陶窯址=요지 또는 가마터[9] 출처: 두산백과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10]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