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8 12:28:35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include(틀:문서 가져옴,
title=틀:대한민국의 국보 1~30호, version=27, uuid=b16ef97f-b363-494a-ab2a-e95ccd5f503f,
title2=틀:대한민국의 국보 31~60호, version2=23, uuid2=979147df-3a26-481f-b049-2bed6c206bdc,
title3=틀:대한민국의 국보 61~90호, version3=18, uuid3=a651288c-6ac5-4be6-aabd-d4ff8ce28b2d,
title4=틀:대한민국의 국보 91~120호, version4=16, uuid4=47b78863-c197-4fb3-8fa6-911be58d2f63,
title5=틀:대한민국의 국보 121~150호, version5=18, uuid5=38233d15-3cf9-4c93-833c-94c06a6fbf8b,
title6=틀:대한민국의 국보 151~180호, version6=15, uuid6=edf3cf60-9adb-4a8f-8ee0-0b7fbc07c52f,
title7=틀:대한민국의 국보 181~210호, version7=13, uuid7=dc5f6abf-c5c1-4679-b79e-a752e027eb8b,
title8=틀:대한민국의 국보 211~240호, version8=15, uuid8=0da4ae8e-4b56-4578-9135-01ed7dddf02a,
title9=틀:대한민국의 국보 241~270호, version9=13, uuid9=98999a90-809a-452b-9fd0-6721c558ff35,
title10=틀:대한민국의 국보 271~300호, version10=12, uuid10=d3cf8eb4-7dea-45c4-8db8-f764102672c0,
title11=틀:대한민국의 국보 301~330호, version11=21, uuid11=654db38a-ea8b-426b-a33e-245918ddd995,
title12=틀:대한민국의 국보 331~360호, version12=14, uuid12=6bc2ec27-8f76-40cf-9ef0-c2d80032b65e)]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國寶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경주 불국사 금동비로자나불좌상
  1. 경주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2. 경주 백률사 금동약사여래입상
  3. 성덕대왕신종
  4.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5. 경주 첨성대
  6. 합천 해인사 대장경판
  7. 창녕 진흥왕 척경비
  8.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9.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10. 상원사 동종
  11. 경주 황복사지 삼층석탑
  12. 경주 고선사지 삼층석탑
  13.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14.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15. 청주 용두사지 철당간
  16.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17. 혜심고신제서
  18. 장흥 보림사 남 · 북 삼층석탑 및 석등
  19. 영주 부석사 소조여래좌상
  20. 부석사 조사당 벽화
  21. 하동 쌍계사 진감선사탑비
  22. 평창 월정사 팔각 구층석탑 / 평창 월정사 석조보살좌상
  23. 예산 수덕사 대웅전
  24. 영암 도갑사 해탈문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76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1.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2.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1)
  3.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좌상
  4. 경주 구황동 금제여래입상
  5. 경주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6. 경주 감산사 석조아미타여래입상
  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2-2)
  8.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9. 금동신묘명삼존불입상
  10. 개성 경천사지 십층석탑
  11. 금관총 금관 및 금제 관식
  12. 금관총 금제 허리띠
  13. 평양 석암리 금제 띠고리
  14. 경주 부부총 금귀걸이
  15. 도기 기마인물형 명기
  16. 청동 은입사 포류수금문 정병
  17. 백자 철화포도원숭이문 항아리
  18. 청자 참외모양 병
  19. 청자 투각칠보문뚜껑 향로
  20. 청자 구룡형 주전자
  21. 청자 음각연화당초문 매병
  22. 청자 상감모란문 항아리
  23. 김천 갈항사지 동 · 서 삼층석탑
  24.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01 원주 법천사지 지광국사탑
  1. 충주 정토사지 홍법국사탑
  2. 광양 중흥산성 쌍사자 석등
  3. 전 원주 흥법사지 염거화상탑
  4. 산청 범학리 삼층석탑
  5. 계유명전씨아미타불비상
  6. 백자 철화포도문 항아리
  7. 계유명삼존천불비상
  8.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9. 이제현 초상
  10. 안향 초상
  11. 경주 감은사지 동 · 서 삼층석탑
  12. 청자 철화양류문 통형 병
  13. 청자 상감모란국화문 참외모양 병
  14. 청자 상감당초문 완
  15. 청자 상감모란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16. 장흥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17.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4)
  18. 금동연가7년명여래입상
  19. 용주사 동종
  20. 안동 하회탈 및 병산탈
  21.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
  22.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사리장엄구
  23. 강릉 한송사지 석조보살좌상
  24. 녹유골호(부석제외함)
1.#126 불국사 삼층석탑 사리장엄구
  1. 서울 삼양동 금동관음보살입상
  2. 금동관음보살입상
  3. 금동보살입상(1968)
  4. 구미 죽장리 오층석탑
  5. 고려말 화령부 호적 관련 고문서
  6. 징비록
  7. 청자 동화연화문 표주박모양 주전자
  8. 금동보살삼존상
  9. 신윤복필 풍속도 화첩
  10. 금동 용두보당
  11. 대구 비산동 청동기 일괄-검 및 칼집 부속 / 투겁창 및 꺾창
  12. 전 고령 금관 및 장신구 일괄
  13. 김홍도필 군선도 병풍
  14. 나전 화문 동경
  15. 정문경
  16. 동국정운
  17. 화순 대곡리 청동기 일괄
  18. 영암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19. 귀면 청동로
  20. 전 논산 청동방울 일괄
  21.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
  22.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6 / 십칠사찬고금통요 권17
  23.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4, 5 / 동래선생교정북사상절 권6
  24. 송조표전총류 권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176 백자 청화‘홍치2년’명 송죽문 항아리
  1. 분청사기 인화국화문 태항아리
  2. 분청사기 음각어문 편병
  3. 분청사기 박지연화어문 편병
  4. 김정희필 세한도
  5. 장양수 홍패
  6. 구미 선산읍 금동여래입상
  7.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1)
  8. 구미 선산읍 금동보살입상(1976-2)
  9. 상지은니묘법연화경
  10. 양평 신화리 금동여래입상
  11. 영양 산해리 오층모전석탑
  12. 천마총 금관
  13. 천마총 관모
  14. 천마총 금제 허리띠
  15. 황남대총 북분 금관
  16. 황남대총 북분 금제 허리띠
  17. 경주 98호 남분 유리병 및 잔
  18. 황남대총 남분 금목걸이
  19. 토우장식 장경호
  20. 신라백지묵서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10, 44~50
  21.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22. 단양 신라 적성비
  23.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24. 금동보살입상(197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1.#251 초조본 대승아비달마잡집론 권14
  1. 청자 음각'효문'명 연화문 매병
  2. 청자 양각연화당초상감모란문 은테 발
  3. 청자 음각연화문 유개매병
  4. 전 덕산 청동방울 일괄
  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
  6.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9
  7. 백자 청화죽문 각병
  8. 분청사기 상감운룡문 항아리
  9. 분청사기 박지철채모란문 자라병
  10. 백자 유개항아리
  11. 백자 달항아리(1991)
  12. 백자 청화산수화조문 항아리
  13. 포항 냉수리 신라비
  14.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13
  15.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2, 75
  16.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2
  17.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1, 17
  18. 초조본 불설최상근본대락금강불공삼매대교왕경 권6
  19. 청자 모자원숭이모양 연적
  20. 초조본 현양성교론 권12
  21.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32
  22.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15
  23. 귀함별황자총통(1596년조)
  24. 도기 기마인물형 뿔잔
1.#276 초조본 유가사지론 권53
  1.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36
  2. 태종11년이형원종공신록권부함
  3. 초조본 대방광불화엄경 주본 권74
  4.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5. 백자 병형 주전자
  6. 영주 흑석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7. 통감속편
  8. 초조본대반야바라밀다경 권162, 170, 463
  9.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10. 백자 ‘천’ ‘지’ ‘현’ ‘황’명 발
  11. 백제 금동대향로
  12. 부여 능산리사지 석조사리감
  13.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14. 양산 통도사 대웅전 및 금강계단
  15. 용감수경 권3~4
  16. 평창 상원사 중창권선문
  17.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입상
  18. 백자 청화철채동채초충문 병
  19. 나주 신촌리 금동관
  20. 칠장사 오불회 괘불탱
  21. 안심사 영산회 괘불탱
  22. 갑사 삼신불 괘불탱
  23. 신원사 노사나불 괘불탱
  24. 장곡사 미륵불 괘불탱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301~336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max(12%, 7em)"
{{{#!folding [ 번호 없음 ]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f2023>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국보 제100호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開城 南溪院址 七層石塔
소재지 서울특별시 용산구 서빙고로 137, 국립중앙박물관 (용산동6가)
분류 유적건조물 / 종교신앙 / 불교 / 탑
수량/면적 1기
지정연도 1962년 12월 20일
건축시기 고려 시대

파일:kKakaoTalk_20220611_111003638_03.jpg

1. 개요2. 내용
2.1. 역사2.2. 상세
3. 외부 링크4. 국보 제100호

1. 개요

開城 南溪院址 七層石塔.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은 본래 경기도 개풍군 청교면 덕암리에 위치한 절터인 남계원지(南溪院址)에 있던 화강암제 7층 석탑으로,[1] 형식상 고려 시대 중기 이전에 만들어진 탑일 것으로 추정한다.

원래대로라면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은 북한의 영역인 개성에 있어야 하나, 현재 남한에 있다. 이는 일제강점기에 옮겨졌기 때문으로, 1915년에 경복궁 경내로 옮겨온 뒤 계속 경복궁 내에 전시되어 있었다. 그러다가 2005년 용산구로 새로 이전한 국립중앙박물관으로 탑을 다시 옮겼으며, 2023년 현재까지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다.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은 1962년에 국보 제100호로 지정되었다.

2. 내용

2.1. 역사

일제강점기인 1915년에 본 석탑을 경복궁 경내로 옮겨왔는데, 일제라고 대뜸 가져온 것은 아니고 목적한 바는 있었다. 1915년 9월 11일부터 10월 31일까지 시정오주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를 경복궁에서 개최하면서 행사장 주변의 장식물로 두기 위해 가져온 것이다. 일제는 경복궁의 전각들을 다 허물어버리고 행사장과 전시장 등을 세웠으며, 밀어버린 공터에 정원을 만들고 이를 꾸미기 위해, 비단 본 석탑만 가져온게 아니라, 경성부 주변의 개성, 원주, 이천 등에서 석탑이나 불상 같은 유물들을 가져와서 장식해뒀다. 문제는 제대로 된 학술 조사 같은 것 없이 가져왔다는 점이다. 본 석탑 역시, 본래 있던 곳이 막연하게 개국사(開國寺)터로 알려져 있었기에 개국사탑이라고 불렸다. 하지만 이후 조사 결과 개국사가 아니라 개국사의 말사인 남계원으로 밝혀졌고,[2] 1938년에는 미술사학자 고유섭이 <소위 개국사탑에 대하여>란 논문을 발표하면서 지금과 같이 이름을 바로 잡았다.[3]
파일:개성남계원지칠층석탑탑신경복궁경내.jpg
경복궁 야외에 전시되어 있었을 때.[4]
어쨌든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을 경복궁에 옮겨 왔을 때는, 기단부(基壇部)가 땅 속에 파묻혀 있어 발견하지 못하고 지상에 노출되어 있는 7층으로 된 몸돌[5]만 옮겼다. 이후 남계원의 원위치를 조사 하면서 땅 속에 매몰되어 있던 기단부를 출토하여 이 역시 1920년 경에 경복궁으로 옮겼다. 하지만 기단부와 몸돌을 조립하지는 않았고, 전시된 몸돌 옆에 기단부를 가져다만 놨다. 이후에도 경복궁 경내에서도 이리저리 옮겨다녔다고 한다.[6] 그러다가 본 석탑을 1990년에 원형대로 복원하면서 조선총독부 청사 건물에 들어가 있던 국립중앙박물관 앞뜰로 다시 옮겼고, 2005년에는 용산에 새롭게 개관한 국립중앙박물관을 따라간 뒤 지금은 국립중앙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전시되어 있다.[7]

2.2. 상세

파일:kKakaoTalk_20220611_111003638_04.jpg
국립중앙박물관 남계원지 칠층석탑 설명판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은 고려의 석탑 가운데 가장 큰 것에 속하여 특유의 묵직하고 웅대한 분위기를 가지고 있고, 신라시대 석탑의 양식화된 형태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임과 함께 고려만의 특징을 잘 나타낸다는 점에서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석탑 중 하나로 꼽힌다. 그럼에도 아직까진 신라 석탑의 양식에서 완전히 벗어나진 못했다는 점에서, 고려시대 중기 이전의 작품일 것으로 추정한다.

파일:kKakaoTalk_20220611_111003638_02.jpg

탑의 높이는 7.54m로 아주 높으며, 탑의 구조는 2층으로 된 기단 위에 7층의 몸돌과 지붕돌[8]로 구성되어 있다. 아쉽게도 현존하는 대다수의 다른 탑들처럼 남계원지 칠층석탑의 7층 지붕돌 위의 상륜부(相輪部)[9] 역시 약간의 밑받침 흔적만 남아 있을 뿐 사라지고 없다.

탑의 전체적인 모습을 밑에서부터 살펴보면, 우선 기단부는 2층으로 되어 있고 돌들로 짜맞춰져 있다. 다만 깨지거나 결구되어 소실된 부분들이 있는데, 상대적으로 보존상태가 양호한 몸돌 부분에 비하면 다소 훼손됐다고 할 수 있다. 원래 있던 자리에서 땅 속에 파묻히며 훼손된 것인지, 아니면 일제강점기의 발굴 조사 후 경복궁으로 옮겨 오는 과정에서 훼손된 것인지는 불명확하다.

몸돌과 지붕돌은 각각 하나의 돌로 이루어져 있는데, 각 층을 이루는 몸돌과 지붕돌들은 크게 특징적인 부분은 그다지 없다. 몸돌들에는 각 층의 매 면마다 양 모서리에 기둥형 장식을 새겨놨지만, 양각으로 도드라지게 새기거나 하는 등의 장식적인 면은 없어서 신라시대의 석탑들과 비교하면 미적인 측면에서 퇴화됐다고 여겨진다.[10]
파일:개성남계원지칠층석탑탑신1층2층.jpg
1층 몸돌의 문비형 장식과 2층 몸돌
또한 1층 몸돌의 북쪽 면에만 두 겹으로 된 줄로 테두리를 친 문비(門扉)형 장식이 하나 있는데, 이 역시 신라시대의 화려하고 정교한 문비 장식들과 비교하면 문 모양을 단순하게 흉내만 낸 정도라고 할 수 있으며 그 퀄리티가 상당히 떨어진다. 지붕돌도 특기할만한 특징적인 기법은 별로 없다. 지붕은 두툼하고 처마는 밋밋하다시피한 완만한 곡선을 그리고 있어서, 전체적으로 둔한 인상이다. 이러한 형태는 신라의 것과는 대비되는 형태로, 신라의 지붕돌은 날렵하고 경쾌한 느낌을 주는 반면에 고려의 것은 중후한 느낌을 줘서 고려시대 석탑만의 차별화된 특징이라고도 할 수 있다.[11]

파일:kKakaoTalk_20220611_111003638_01.jpg

본 석탑을 서술하면서 묵직하다, 무겁다, 중후하다 등의 표현이 자주 나왔는데, 이는 비단 남계원지 칠층석탑만의 특징은 아니다. 대체적으로 고려의 탑이 신라의 탑보다 저러한 느낌을 준다고 평가되는데, 이는 신라와 차별되는 고려만의 비례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12] 신라의 탑에서 몸돌은 탑의 층수가 올라갈수록 체감률(遞減率)을 높이고[13] 지붕돌의 높이를 올려서 비례적 안정감과 경쾌한 느낌을 주는 경향이 있는 반면에, 고려의 탑 특히 개성 지방의 탑은 지붕돌의 높이를 낮추고 몸돌의 크기를 키워서 체감률을 낮추는 경향을 보인다. 이로 인해 탑의 형상에서 완만하고 무거운 느낌을 받게 된다. 하지만 이를 두고 고려의 탑이 신라의 것보다 미적 수준이 떨어진다고 평가하는 것은 단편적인 시각이고, 고려의 탑에서 보이는 모습은 고려시대의 미의식과 지역 특성을 반영한 것으로 보는것이 타당할 것이다. 오히려 날렵하고 화려한 통일신라 탑에 비하여, 탑의 재료인 화강암이 가진 고유의 양감과 무게감을 살려서 단순하지만 묵직한 느낌을 가지게 된 것은 고려 탑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겠다.[14]

이상과 같이 신라의 석탑과 본 석탑을 비교해보면, 신라의 것은 화려하고 날렵한 반면 남계원지 칠층석탑은 단순하고 중후하다고 정리가 가능할 것이다. 다만 전 영토에 걸쳐서 대략적으로나마 탑의 양식이 통일되어 있던 신라와는 달리, 고려는 각 지방마다 상이한 형태의 탑이 들어섰는데 남계원지 칠층석탑은 수도였던 개성을 중심으로 발달한 석탑의 전형적인 모습을 보이는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15]
파일:kPS01001001_bon006_2016_1124093013018_bon006142-000-0001.jpg파일:kPS01001001_bon006_2017_0511093333311_bon006142-00-00.jpg
감지은니묘법연화경 두루마리 상태
한편 남계원지 칠층석탑을 남계원터에서 해체하여 1915년에 경복궁으로 옮길 때 탑의 몸돌에서 두루마리 7개로 이루어진 '감지은니묘법연화경(紺紙銀泥妙法蓮華經)'이 발견되기도 했다. 이는 고려의 세도가 염승익(廉承益, ?~1302)이 충렬왕 9년인 1283년 경에 발원한 것이다. 다만 이때에 탑을 만든 것은 아닌 것으로 보며, 염승익이 1283년에 본 석탑과 왕륜사석탑의 수리를 맡게 되었을 때 발원하여 봉안한 것으로 본다. 염승익이 발원한 감지은니묘법연화경은 7권 완질본으로 감색 종이에 물감으로 글씨를 쓴 것이다.[16] 이 '감지은니묘법연화경'은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서 소장 중인데, 널리 알려진 '감지은니묘법연화경'이라는 이름 대신 다른 명칭을 부여받아 '감지은니사법연화경'(국립중앙박물관 소장품번호: 본관6142)으로 관리 중에 있다. 본 유물은 따로 국가지정문화재로 등록되어 있지는 않다.[17]

파일:kKakaoTalk_20220611_111003638.jpg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은 신라시대 석탑의 영향을 받았지만 여기에서 벗어나려는 모습을 보임과 함께 고려만의 특징을 잘 나타내고 있고, 기단부와 상륜부는 소실된 부분이 있으나 원형도 대체로 잘 보존된 고려시대 초-중기의 작품이라는 점에서 학술적인 가치가 높으며, 그 크기도 웅장하여 중후한 미를 보이는 고려의 대표적인 석탑 중 하나라는 점에서는 미적 가치도 높다.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은 일찍이 이러한 가치들을 인정 받아 1962년 12월 20일 국보 제100호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

4. 국보 제100호

경기도 개성 부근의 남계원터에 남아 있던 탑으로, 예전에는 이 터가 개국사(開國寺)의 옛터로 알려져 개국사탑으로 불려져 왔으나, 나중에 남계원의 터임이 밝혀져 탑의 이름도 개성 남계원 칠층석탑으로 고쳐지게 되었다. 1915년에 탑의 기단부(基壇部)를 제외한 탑신부(塔身部)만 경복궁으로 이전하였다. 이후 원 위치에 대한 조사 결과 2층으로 구성된 기단이 출토되어 추가 이전해 석탑 옆에 놓았다가 다시 복원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옮겨 세워져있다.

탑은 2단의 기단에 7층의 탑신을 세운 모습으로, 얼핏 보면 신라 석탑의 전형을 따르고 있는 듯하나 세부적으로는 양식상의 변화를 보여준다. 먼저 기단은 신라의 일반형 석탑에 비해 아래층 기단이 훨씬 높아졌고, 상대적으로 2층 기단이 약간 낮아져 있다. 탑신부는 몸돌과 지붕돌을 각각 1개의 돌로 조성하였으며, 몸돌의 모서리마다 기둥 모양의 조각을 새겨 두었다. 지붕돌은 두툼해 보이는 처마가 밋밋한 곡선을 그리다 네 귀퉁이에서 심하게 들려져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을 보여주고 있으며, 밑면에는 3단씩의 받침이 얕게 새겨져 있다. 탑의 머리장식으로는 노반과 복발만이 하나의 돌에 조각되어 남아있다.

이 탑은 고려 중기 이전에 세워졌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탑 전체에 흐르는 웅건한 기풍과 정제된 수법은 신라탑의 영향을 많이 받았던 고려시대 석탑의 특색을 잘 보여준다. 1915년 탑을 옮겨 세울 때, 탑신부에서 두루마리 7개의 『감지은니묘법연화경』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고려 충렬왕 9년(1283)에 탑 속에 넣은 불교경전으로, 이 때 탑을 보수했음을 알 수 있다.

[1] 개풍군은 현재 북한의 행정구역 상으로는 개성시에 속하며, 덕암리도 개성시 덕암동으로 변경됐다. 개풍군은 남북분단 이후 경기도-개성시-황해북도-개성시의 순으로 행정구역이 변경되었다. 본 문서에서는 이북 5도에 대한 대한민국의 입장에 따라 경기도로 표기한다.[2] 출처: 월간금강 이야기가 잇는 불교유물2 - 개성 남계원 칠층석탑과 <묘법연화경> - 2023년 3월 2일자 기사[3] 출처: 서울타임스 나각순의 서울문화유산 둘러보기 - 남계원(南溪院) 칠층석탑 - 2011년 4월 1일자 기사[4] 우측에 따로 놓인 기단부가 보인다.[5] 이를 탑신(塔身)이라고도 한다.[6] 출처: 월간금강 이야기가 잇는 불교유물2 - 개성 남계원 칠층석탑과 <묘법연화경> - 2023년 3월 2일자 기사[7]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 한국어 위키백과 -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8] 이를 옥개석(屋蓋石)이라고도 한다.[9] 이를 머리장식이라고도 한다.[10]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11] 출처: 한국어 위키백과 - 개성 남계원지 칠층석탑[12] 출처: 한국 미의 재발견 탑 - 개성 남계원지칠층석탑[13] =몸돌의 너비와 높이를 줄여서[14] 출처: 한국 미의 재발견 탑 - 개성 남계원지칠층석탑[15] 출처: 한국 미의 재발견 탑 - 개성 남계원지칠층석탑[16] 출처: 이은희(1987): 고려(高麗) 충렬왕대(忠烈王代)의 사경연구(寫經硏究). In: MUNHWAJAE Korean Journal of Cultural Heritage Studies (문화재) vol.20., pp.219-238. 중 p.225. 논문 다운로드 링크 / 권희경(2003): 사경원과 염승익 발원의 사경 묘법연화경 7권본 1부 A Study on the set seven roalls of the Saddarma Pundarika Sutra Prayed by Yeom Seong-Ik and Script Center. In: 한국기록관리학회지 2003, vol.3., no.1., pp.1-22. 논문 다운로드 링크[17] 참조: 국립중앙박물관 - 감지은니사법연화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