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9 10:20:16

석왕사

{{{#!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법운암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단군릉
개성시 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남포시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강원도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자강도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평안남도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평안북도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함경남도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함경북도 개심사 · 북관대첩비
황해남도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황해북도 성불사
공통 천리장성
}}}}}}}}}


파일:불교 종교표지(흰색).svg 일제강점기불교 31본산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4a2d5b> 경기도 봉은사 · 봉선사 · 용주사 · 전등사
충청도 법주사 · 마곡사
경상도 동화사 · 은해사 · 고운사 · 김룡사 · 기림사 · 해인사 · 통도사 · 범어사
전라도 위봉사 · 보석사 · 백양사 · 화엄사 · 선암사 · 송광사 · 대흥사
강원도 건봉사 · 유점사 · 월정사
황해도 패엽사 · 성불사
평안도 영명사 · 법흥사 · 보현사
함경도 석왕사 · 귀주사
}}}}}}}}} ||


파일:함남안변 석왕사 전경..jpg
일제강점기 석왕사 전경 - 출처:국립중앙박물관[1]

1. 개요2. 사진
2.1. 전경2.2. 호지문2.3. 용비루2.4. 응진전
3. 현황4. 유물
4.1. 숭정6년명 범종
5. 관련 링크

1. 개요

재북한문화재이자 사찰. 강원도 고산군 설봉리에 있다.[2] 참고로 이 절은 설봉산 기슭에 있다.

석왕사는 조선 태조 이성계에게 꿈을 해몽해 준데 대한 보답으로 창건한 사찰로, 조선 왕실의 보호를 받았다. 행정구역 명칭도 문산면에서 '석왕사면'으로 개칭되었을 정도.

하지만 북한 치하에 들면서 6.25 전쟁 때 큰 파괴를 당했다. 한편 1952년 개편으로 석왕사면이 없어지고 석왕사는 설봉리에 속하게 되었다. 석왕사로 가는 주요 교통로였던 경원선 석왕사역은 다른 리에 속하게 되었는데, 1961년 석왕사역 주변은 평화리와 릉복리를 합쳐 석왕사리가 된다. 그러나 석왕사리라는 지명마저도 1981년, 김일성김정숙, 김정일 일가가 1947년에 이곳을 방문하여 인민들의 앞길을 환하게 밝혀 주었다는 이유로 광명리가 되었고, 석왕사역 또한 광명역으로 개칭되었다.

2. 사진

2.1. 전경


파일:함남안변 석왕사 전경..jpg
일제강점기 석왕사 전경 - 출처:국립중앙박물관[3]

2.2. 호지문


파일:함남안변 석왕사 호지문 1913년 조사.jpg
1913년 석왕사 호지문 - 출처:국립중앙박물관[4]

2.3. 용비루


파일:함남안변 석왕사 용비루.jpg
일제강점기 석왕사 용비루 - 출처: 국립중앙박물관[5]

2.4. 응진전


파일:함남안변 석왕사 응진전.jpg
일제강점기 석왕사 응진전 외부 - 출처:국립중앙박물관[6]

파일:함남안변 석왕사 응진전 내부.jpg
일제강점기 석왕사 응진전 내부 - 출처:국립중앙박물관[7]

3. 현황

한때 건물이 53동에 달하는 큰 사찰이었으나, 6.25 전쟁의 여파로 지금은 불이문·조계문·호지문(護持門)·설성동루(雪城東樓) 등 일부만 남아 있다. 사실상 폐사지나 다름없어졌는데, 절의 중심 건물인 대웅전, 이성계가 오백나한을 안치했던 응진전조차도 사라져 터만 남았었다. 그나마 남아있던 용비루와 인지루도 1987년 홍수로 유실되었다. 그 이후로 한동안 방치된 상태로 남아있었으나, 최근 북한에서 새로 복원한 석왕사의 모습이 공개되었다. 물론 고증을 얼마나 잘 따랐을지에 대해서는 장담하기 어렵다.

파일:external/www.bulgyofocus.net/59748_31167_3848.jpg
석왕사 설성동루(雪城東樓).

4. 유물

4.1. 숭정6년명 범종


파일:함남안변 석왕사 숭정6년명 범종.jpg
일제강점기 석왕사 숭정6년[8]명 범종 - 출처:국립중앙박물관[9]

5. 관련 링크

1.위키백과
2.두산백과
3.조선향토대백과
4.북한의 전통사찰
5.민족문화대백과


[1]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09067 이 링크에서 사진 다운로드 가능[2] 이북5도 기준 함경남도 안변군 석왕사면 사기리(沙器里)[3]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09067 이 링크에서 사진 다운로드 가능[4]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17531 이 링크에서 다운로드 가능[5]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61313 이 링크에서 사진 다운로드 가능[6]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29334 이 링크에서 다운로드 가능[7]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39265 이 링크에서 사진 다운로드 가능[8] 1633년[9] https://www.museum.go.kr/site/main/relic/search/view?relicId=125972 이 링크에서 사진 다운로드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