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color:black,white; margin: -0px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tablebgcolor=#FFF,#1f2023><colbgcolor=#777777,#555555> 평양시 | 평양성 (대동문 / 보통문 / 연광정 / 전금문) · 숭령전 |
고구려 고분군 (호남리 사신총) · 광법사 · 안학궁 · 대성산성 · 청암리 사지 & 청암리 토성 | ||
고구려 고분군 (동명왕릉 / 진파리 고분군) · 정릉사 | ||
법운암 | ||
룡화사 · 평양성 (부벽루 / 을밀대 / 최승대 / 칠성문 / 현무문) | ||
단군릉 | ||
개성시 | 개성역사유적지구 (개성 성균관 / 개성 남대문 & 개성성 / 숭양서원 / 선죽교 / 만월대 / 현릉 / 현정릉) · 해선리 고려왕릉 · 관음사 · 영통사 · 흥국사 · 목청전 | |
남포시 | 고구려 고분군 (강서삼묘 (강서대묘) / 덕흥리 벽화분 / 룡강대총 / 수산리 벽화분 / 쌍영총 / 약수리 벽화분) | |
강원도 | 보덕암 · 총석정 · 표훈사 · 신계사 · 장안사 · 유점사 · 석왕사 · 정양사 · 고성행궁 | |
자강도 | 인풍루 · 보현사 · 상원암 | |
평안남도 | 강선루 · 고구려 고분군 (덕화리 고분군) · 백상루 · 법흥사 | |
평안북도 | 약산동대 · 영변행궁 · 통군정 · 귀주성 · 의주 남문 | |
함경남도 | 함흥본궁 · 황초령비 · 마운령비 · 귀주사 · 함흥읍성 | |
함경북도 | 개심사 · 북관대첩비 | |
황해남도 | 고구려 고분군 (안악 1호분 / 안악 2호분 / 안악 3호분) · 패엽사 | |
황해북도 | 성불사 | |
공통 | 천리장성 | |
}}}}}}}}} |
1. 개요
수산리 고분은 5세기 후반에 조성된 고구려의 흙무지돌방벽화무덤으로, 평안남도 남포시 강서구역 수산리에 위치한다. 1971년 발굴되었으나 이미 도굴되어 유물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았고, 벽화도 상당히 훼손된 상태였다.2. 상세
무덤은 널길과 널방으로 이루어진 단실묘(單室墓)이며, 남향을 하고 있다. 널길의 길이는 4.5m, 널방은 한 변이 3.2m인 정방형 구조로, 높이는 4.1m이다. 천장은 3단의 평행고임 위에 2단의 삼각고임을 쌓아 올린 평행삼각고임 구조를 갖추고 있다. 벽화의 주제는 생활풍속으로, 북쪽 벽(정벽)에는 묘주 부부의 실내 생활 모습이, 좌우 벽에는 실외 활동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벽화는 고구려 귀족들의 복식과 장신구, 나들이와 놀이 등 일상생활을 생동감 있게 표현하고 있어 당시 상류층 문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자료가 된다. 특히, 벽화 속 인물들은 세련된 필치와 부드러운 색감으로 그려져 뛰어난 회화성을 보여준다. 색동주름치마에 저고리를 입은 여인의 모습은 일본 다카마쓰 고분 벽화 속 여인과 유사하여 고구려 문화가 일본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