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5 03:19:33

광주 조선백자 요지

파일:광주 조선백자 요지 1.jpg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314호
광주 조선백자 요지
廣州 朝鮮白磁 窯址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소재지 경기도 광주시 중부면 광주읍, 초월면, 도척면, 실촌면, 남종면
분류 유적건조물 / 산업생산 / 요업 / 도자기가마
면적 407\,660㎡
지정연도 1985년 11월 7일
제작시기 조선시대
위치
}}}}}}}}} ||

1. 개요2. 내용3.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계획4. 기타5. 외부 링크6. 사적 제314호

1. 개요

조선 세조 13년인 1467년에 왕의 명으로 처음 만들어져 이후 약 500여년을 이어져내려온 한국의 백자 가마터. 현존하는 가장 오래되고 가장 넓은 크기의 백자도요지로 유명하다. 현재 경기도 광주시에 위치하고 있으며, 사적 제314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파일:광주 조선백자 요지 2.jpg

조선 세조 재위 시기인 1467년에 왕의 명으로 경기도 광주에 사옹원(司甕院)의 분원(分院)으로 설치한 것이 최초다. 이후 영조 28년(1752)에 다시 한번 지정되었으며, 1886년 일종의 민영화를 단행한 뒤[1] 일제강점기 시대까지도 존속하였다.

1400년대 중반부터 조선백자 중 가장 우수한 백자를 구워냈으며, 382,738㎡에 이르는 면적에 300여개의 가마터가 남아있어[2] 한국을 넘어 동아시아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넓은 크기의 백자도요지로 알려져 있다. 이보다 오래된 청자도요지는 있으나, 백자도요지로는 시설⋅규모⋅도자기 형태⋅생산기술에서 국내외 최고 수준으로 인정받는다.

기록(육전조례)에 따르면 광주 분원에서는 1년마다 1만 4천여문에 이르는 최상급 자기를 봄과 가을 2차례에 걸쳐 왕실에 진상하였다고 한다. 현재도 헤아릴 수 없을 만큼 엄청난 양의 백자들이 지층을 이루며 묻혀 있다.

3.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 계획

경기도 광주시에서는 광주 조선백자 요지의 유네스코 세계유산 등재를 준비 중이다.경기 연구원: 광주 조선백자요지 세계유산 등재를 위한 대응전략

밝혀진 세계유산적 가치는 다음과 같다.

1. 조선 세조 때 처음 만들어진 후 국가에서 500여 년 동안 관요를 운영하였고, 이렇게 넓은 지역에 300여개 가마터가 존재하는 유산은 연대적으로나 크기적으로나 전 세계적으로 유일무이하다.
2. 동아시아를 대표하는 백자도요지로 고고학적 유산이라는 유형적 가치와 조선백자 생산기술의 무형적 가치를 동시에 지닌 문화유산이다.
3. 500년이란 긴 세월에 걸쳐 전 세계적 규모의 작업터에서 최상급 관요백자만을 생산해온 백자가마터로 시설⋅규모⋅도자기 형태⋅생산기술 면에서 축적된 자료가 동아시아 도자사를 대표할 만하다.

4. 기타

주변에 광주도자마을과 경기도자박물관, 분원백자자료관 등이 건립되어 있으며, 1998년부터 매년마다 광주왕실도자기축제(廣州王室陶瓷器祝祭)를 열고 있다.

2019년 3월 15일, 이곳에서 1884년 분원 폐지 이후 133년 만에 한국의 백토가 다시 발견되었다.중앙일보: 맥 끊긴 조선백자···사라졌던 백토 133년 만에 찾았다 조사 결과 외국의 다른 도자기용 흙과는 달리 카올린이 다수 포함되어 있고, 섭씨 1500도~1700도 가량의 고온에도 버티는 유일한 백토라고 한다. 조선백자 특유의 우유빗 옥색의 비밀이 반쯤은 밝혀진 셈.

5. 외부 링크

6. 사적 제314호

도요지는 그릇이나 자기를 만들어 굽던 가마터를 말한다.

남종면·중부면·퇴촌면 등 광주시 일대에는 도자기를 굽는데 필요한 흙이 나오며, 나무와 물이 풍부하다. 제품의 공급지인 서울과 가깝고 한강을 이용한 운반의 편리성으로 인해, 조선 영조 28년(1752) 궁중음식을 담당하던 사옹원의 분원으로 지정됐다. 그 후 조선왕조가 끝날 때까지 130여 년 동안 285개소의 가마터가 이 일대에서 번창했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 국가 사정이 어려워지자, 분원리 가마터는 개인에게 경영권을 주게 되었다. 그 후 여러 계층의 수요와 요구에 따라 자기의 모양과 무늬가 다양해졌으며, 청화백자의 중심지로 발전했다.

가마터의 구조는 오름가마이며, 계단식가마도 확인되었다. 여러 모양과 무늬를 새긴 자기들이 출토되었고, 글씨가 새겨진 도자기를 통해 제작시기도 알 수 있다.

이 일대는 조선 전기에서 후기까지 질 좋은 도자기를 만들어내던 중심지였기에 조선 도자사 연구에 기반이 되는 곳으로서 매우 가치있는 곳이다.

※(광주조선백자도요지 → 광주 조선백자 요지)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2011.07.28 고시)


[1] 민간인에게 소유권을 넘겼다.[2] 물론 이 수백개의 가마터를 동시에 다 쓴 건 아니다. 한곳에 자리잡으면 그 주변 나무들이 순식간에 고갈되기 때문에 이리저리 가마를 옮기다 보니 저리 가마가 많게 된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