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0 20:28:51

효창공원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경주 원성왕릉
  1. 경주 구정동 방형분
  2. 경주 성덕왕릉
  3. 경주 헌덕왕릉
  4. 경주 흥덕왕릉
  5. 경주 감은사지
  6. 서울 독립문
  7. 서울 영은문 주초
  8. 부여 청마산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부산일본성}}}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마산일본성}}}
  1. 평창 오대산사고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노동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노서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황남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황오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인왕리고분군[A]}}}
  1. 경주 금척리 고분군
  2. 부여 군수리 사지
  3. 경주 장항리 사지
  4. 경주 원원사지
  5. 경주 명활성
  6. 관문성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승주신성리성[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사천성진리성[7]}}}


[A]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통합 재지정[A] [A] [A] [A] [6] 전라남도 기념물 171호로 재지정[7]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274호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기장죽성리성[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웅천안골리성[1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생포성[11]}}}
  1. 영주 소수서원
  2. 고양 행주산성
  3. 남한산성
  4. 부여 나성
  5. 부여 청산성
  6. 서천 건지산성
  7. 고령 주산성
  8. 대구 달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물금증산성[12]}}}
  1. 창녕 화왕산성
  2. 창녕 목마산성
  3. 김해 분산성
  4. 함안 성산산성
  5. 강진 고려청자 요지
  6. 부안 유천리 요지
  7. 부안 진서리 요지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산사부동도요지[B]}}}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산기산동도요지[B]}}}
  1. 김해 수로왕릉
  2. 김해 수로왕비릉
  3. 김해 구산동 고분군
1.#7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나주신촌리고분군[C]}}}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나주덕산리고분군[C]}}}
  1. 고령 지산동 고분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교동고분군[D]}}}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송현동고분군[D]}}}
  1. 경주 천군동 사지
  2. 서울 선잠단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함안도항리고분군[E]}}}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함안말산리고분군[E]}}}
  1. 성주 성산동 고분군
  2. 익산 쌍릉
  3. 경주 성동동 전랑지
  4. 부여 석성산성
  5. 예산 임존성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주 성산성}}}
  1. 익산 토성
  2. 양산 북정리 고분군
  3. 양산 신기리 고분군
  4. 양산 중부동 고분군
  5. 경주읍성
  6. 양산 신기리 산성
  7. 양산 북부동 산성
  8. 부여 쌍북리 요지
  9. 양산 법기리 요지


[8] 부산광역시 기념물 47호로 재지정[9]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로 재지정[10]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5호로 재지정[11]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로 재지정[12]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6호로 재지정[B] 사적 제510호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로 통합, 재지정[B] [C] 사적 제513호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C] [C] [D] 사적 제514호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D] [E] 사적 제515호 함안 말이산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서울 삼전도비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만인의총[22]}}}
  1. 부안 구암리 지석묘군
  2. 남원 황산대첩비지
  3. 금산 칠백의총
  4.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
  5. 강진 정약용 유적
  6. 산청 목면시배 유지
  7. 아산 맹씨 행단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저오리정계석표}}}
  1. 김제 벽골제
  2. 아산 이충무공묘
  3.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4.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5. 수원 화령전
  6. 서산 해미읍성
  7. 경복궁
  8. 진주성
  9. 고성 송학동 고분군
  10. 고성 내산리 고분군
  11. 사직단
  12. 창덕궁
  13. 창경궁
  14. 덕수궁
  15. 종묘


[22] 사적 제272호 남원 만인의총으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하동 고소성
  1. 함양 사근산성
  2. 울주 언양읍성
  3. 경주 옥산서원
  4. 아산 이충무공 유허
  5. 부여 증산성
  6. 환구단
  7. 경주 문무대왕릉
  8. 경주 이견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울 살곶이 다리[23]}}}
  1. 경주 동부 사적지대
  2. 북한산성
  3. 경주 낭산 일원
  4. 진주 평거동 고분군
  5.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6. 정읍 무성서원
  7.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
  8. 원주 거돈사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 영산 석빙고[24]}}}
  1. 안동 도산서원
  2.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3. 경주 오릉
  4. 경주 일성왕릉
  5. 경주 탈해왕릉
  6. 경주 미추왕릉


[23] 보물 제1738호로 지정변경[24] 보물 제1739호로 지정변경[25] 사적 제517호 경주 진지왕릉과 제518호 경주 문성왕릉으로 분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1.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2. 구 서울대학교 본관
  3. 구공업전습소본관
  4. 한국은행 본관
  5. 서울 중앙고등학교 본관
  6. 서울 중앙고등학교 서관
  7. 서울 중앙고등학교 동관
  8. 구 서울역사
  9. 서울 고려대학교 본관
  10.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11. 인천 답동성당
  12. 전주 전동성당
  13. 구 목포 일본영사관
  14. 대구 계산동성당
  15. 창원 진해우체국
  16. 김포 덕포진
  17. 정읍 전봉준 유적
  18. 전주 남고산성
  19. 정읍 황토현 전적
  20. 서울 관상감 관천대
  21. 서울 몽촌토성
  22. 남원읍성
  23.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
  2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산임당동고분군[F]}}}


[26]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부여 정림사지
  1. 순천 낙안읍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광한루원[2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담양소쇄원[29]}}}
  1. 산청 조식 유적
  2. 강화 갑곶돈
  3. 보령 성주사지
  4. 완도 청해진 유적
  5. 남원 실상사
  6. 해남 진산리 청자 요지
  7. 경주 남산 일원
  8. 화순 운주사지
  9. 영주 순흥 벽화고분
  10. 광주 조선백자 요지
  11. 청주 흥덕사지
  12. 서산 보원사지
  13. 충주 미륵대원지
  14. 익산 나바위성당
  15. 청주 신봉동 고분군
  16. 울산 경상좌도병영성
  17. 보령 죽도 해저유물 매장해역
  18. 함양 황석산성
  19. 파주 윤관장군묘
  20.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산수리백제요지[G]}}}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1. 창원 다호리 고분군
  2. 경주 용강동 고분
  3.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
  4. 서울 효창공원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산조영동고분군[F]}}}
  1. 울주 검단리 유적
  2. 공주 학봉리 요지
  3. 공주 석장리 유적
  4. 통영 연대도 패총
  5. 구미 낙산리 고분군
  6. 나주읍성
  7. 영암 구림리 요지
  8. 전주 경기전
  9. 경주 천관사지
  10. 김해 대성동 고분군
  11. 군포 산본동 조선백자 요지
  12. 서울 호암산성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삼용리백제토기요지[G]}}}
  1. 고창 용계리 청자 요지
  2.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3. 익산 입점리 고분
  4. 봉화 태백산사고지
  5. 남원 만복사지
  6. 경주 구정동 고분군


[28] 명승 제33호로 지정변경[29] 명승 제40호로 지정변경[G] 사적 제 511호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로 통합 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3] 명승 제34호로 지정변경[34] 명승 제35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5] 명승 제36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대구 팔거산성
}}}}}}}}}}}}
{{{#!wiki style="margin: -15px -10px -15px"<tablewidth=10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colbgcolor=#315288> 서울 효창공원
서울 孝昌公園
Hyochang Park\, Seoul
소재지 <colbgcolor=#fff,#1f2023> 서울 용산구 청파동2가 134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근대인물 / 광복운동
수량/면적 123\,303㎡
지정일 1989년 6월 28일
소유단체 서울시
관리단체 서울 용산구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1. 개요2. 연혁
2.1. 조선 ~ 일제강점기2.2. 독립유공자의 묘소 조성2.3. 민족공원 및 국립공원화 시도
3. 주요 시설
3.1. 독립유공자 관련 시설
3.1.1. 의열사3.1.2. 삼의사묘역3.1.3. 임정요인묘역3.1.4. 백범 김구 묘역3.1.5. 백범 김구 기념관
3.2. 일반 시설
3.2.1. 대한노인회 중앙회3.2.2. 효창운동장3.2.3. 자연생태 학습원
4. 여담5. 외부 링크6. 사적 제330호7. 둘러보기

1. 개요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동에 위치한 시립공원. 지리적으로는 효창동 외에도 청파동2가, 마포구 공덕동신공덕동까지 영역이 있다.

본래는 조선의 22대 임금 정조의 장남인 문효세자의 묘가 있는 자리라 하여 '효창원(孝昌園)'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다. 효창원과 100보 정도 가까운 위치에 문효세자의 생모인 의빈 성씨의 묘소인 의빈묘가 함께 있었다.

현재는 대한민국의 호국·보훈 관련 시설 및 유적지들이 있다. 대표적인 시설로는 삼의사묘, 임정요인묘역을 비롯한 독립유공자들의 묘역과 백범 김구 기념관 등이 있다. 1989년 6월 28일 대한민국의 사적으로 지정되었다.[1]

2. 연혁

2.1. 조선 ~ 일제강점기

효창공원의 역사는 정조의 장남인 문효세자와 문효세자의 생모인 의빈 성씨가 사망하며 시작된다. 당시 정조는 이들의 묘소를 궁궐 가까운 곳에 두고 싶어했다. 도성 주위에 여러 후보지를 보던 중 소나무가 울창하고 한강이 보이는 언덕을 보게 되는데, 이곳이 바로 지금의 효창공원이다. 정조는 이곳이 풍수지리적으로 좋다고 판단하여 묘소를 조성하고 이곳에 ‘효성스럽고 번성하다’라는 의미의 '효창(孝昌)'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조선 시대까지는 소나무 숲이 우거진 곳으로 인적이 꽤 드물었던 곳으로 알려져 있었고, 묘역도 광활했다.

이후 일제강점기가 되자 이러한 효창원 분위기를 이용하여 일본군에 의해 '구용산고지' 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그 당시 일본군은 소나무숲이 우거지고 인적이 드물다는 점을 이용해 이곳을 숙영지로 삼기도 했으며, 동시에 비밀 병참기지로도 활용하여 숙적이었던 독립군 토벌 및 소탕 작전을 비밀리에 펴기도 했다. 해방 후 일본군이 사용했던 숙영지 및 병참기지는 일본군이 한반도에서 모두 철군한 뒤에야 공식 철거되었다.

1921년 6월에는 이곳에 경성 최초의 골프장이 개설, 3년간 운영되었다. 9홀 규모로 영국인이 설계를 맡았다고 한다. 주 고객 층은 원정역(현재의 효창공원앞역) 주변 호텔에 머물던 투숙객이었다고 한다.

1924년 경기도 경성부(지금의 서울특별시)가 효창원 일부를 공원으로 조성하여 순환도로, 공중변소까지 갖추면서 8월 일반에 공개하기도 했다. 1930년대에는 놀이시설이 들어서고 벚나무, 플라타너스 등의 외래 식물들이 심어져 유원지로 조성되었다.

이후 1944년 효창원이 현재의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서삼릉 권역으로 이장되면서 이름만 남게 되었다.

2.2. 독립유공자의 묘소 조성

해방 후인 1946년 박열, 이강훈 등 아나키스트계 독립 운동가들이 백정기·이봉창·윤봉길, 즉 삼의사(三義士)의 유해 수습을 촉구하여 '3의사국민장봉장위원회'를 발족하고 그 유해가 국내에 공식적으로 운구되어 삼의사묘(三義士墓)에 안장되었다.

이후 1948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 출신인 이동녕·조성환·차이석의 유해가 안장되었으며 1949년에는 백범 김구서울 경교장에서 암살당함에 따라 국민장을 통해 그의 시신이 운구되어 안장되기도 했다.

2002년에는 김구의 생애와 항일 업적 등을 기념하는 백범 김구 기념관이 설립되었다.

2.3. 민족공원 및 국립공원화 시도

파일:효창민족공원.jpg
효창민족공원 조감도
2005년 참여정부 때 효창공원을 민족공원화 하려는 계획이 있었다. 당시 국가보훈처에서 효창공원의 역사적 가치를 복원하고자 효창운동장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넓은 광장을 조성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공원을 조성하여 관리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효창운동장을 철거한다는 소식은 당연히 축구계에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대체 구장을 설치하기 전까지 철거는 절대 안된다고 반대하였다. 결국에는 축구계와의 접점을 찾지 못한 채 시간이 흘러 효창공원 민족공원화 계획은 자연스럽게 잊혀졌다.

이후 20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을 맞이해서 애국선열들이 모셔져 있는 효창공원을 국립공원화 시켜야 한다는 여론이 형성되었다. 이에 서울시와 문화재청, 국가보훈처, 용산구는 2019년 4월 10일 '효창독립 100년공원 조성 기본구상 계획'을 발표하고 효창공원을 정비하여 국가에서 관리하는 공원으로 만들겠다고 공표했다.
파일:효창100년공원.png
효창독립 100년공원(가칭) 조감도
구체적인 계획은 아직 잡히지 않았고, 효창공원을 국립공원화한다는 기본적인 방향만 발표되었다. 2020년까지 세부 계획을 수립하고 2021년 착공하여 2024년까지 완공할 예정이다. 효창공원을 둘러싸고 있던 담장은 철거하고 기존의 보도를 확장해 효창100년길을 조성하고, 숙명여대, 경의선 숲길 등 인접한 곳에 편의시설을 배치해 주변 시설물과의 조화를 이루게 할 예정이다. 또한 효창운동장은 리모델링되어 운동장 지하에 독립운동박물관이 조성되고 일부 시설을 철거하여 묘역을 가리지 않도록 조정된다.

국무회의에서 2020년 9월부터 국가보존묘지로 지정하기로 의결되었다. 효창공원뿐만이 아닌 독립운동가들이 모여 안장된 국립현충원 외 묘역을 관리묘지로 지정한 것이다.

서울시는 효창공원을 독립기념공원으로 재조성하는 효창독립 100년 공원 조성 사업에 대한 시민 공론화를 위해 <효창독립100년 메모리얼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다. 본 사업의 일환으로 2020년 네이밍&슬로건 공모전, 작품공모전, 전시회 등의 시민참여 프로그램을 진행했으며 2021년에는 시민홍보단을 구성해 효창공원 재조성을 시민들이 직접 알리는 효창독립 100년 공원 시민홍보단을 운영하고 있다.

3. 주요 시설

3.1. 독립유공자 관련 시설

3.1.1. 의열사

효창공원에 안장된 네 명의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요인들과 삼의사를 모시는 사당이다.

3.1.2. 삼의사묘역

파일:tomb_of_three_heroes.jpg
삼의사묘(三義士墓)
중국 상하이 훙커우 공원(지금의 루쉰공원)에서 당시 천황 히로히토의 생일 행사 때 물통 폭탄을 던진 매헌 윤봉길 의사와 일본 도쿄에서 히로히토 천황을 폭사(爆死)시키려다가 미수에 그쳐 일본군에 의해 사형을 당했던 이봉창 의사, 중국 상하이에서 당시 주중(駐中) 일본 대사를 저격하려 했다가 실패하여 옥사(獄死)했던 구파 백정기 의사의 묘역이다.

실제 삼의사묘에 가보면 유골이 없는 가묘(假墓)가 있는데,[2] 1909년 중국 하얼빈 기차역에서 일본의 정치가이자 한국 침략의 원흉으로 불렸던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한 안중근 의사의 유골이 안장될 묘소이다. 안중근 의사는 사형되기 전 유언에서 "내가 죽으면 내 유골을 하얼빈 공원에 묻었다가 대한의 독립이 되거든 조국으로 나의 유골을 운구해달라" 라는 남겼고, 그 뜻에 따라 묘소를 조성했다. 그러나 순국한 지 [age(1910-03-26)]년이 지나고 해방된 지 [age(1945-08-15)]년이 지난 지금까지도 안중근 의사의 시신을 찾지 못해 표류하고 있는 중이다. 시신을 못 찾는 이유 중 하나가 안 의사가 묻힌 지역이 1930년대에 한번 재개발이 이루어졌는데, 그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현재까지 정설로 알려져 있다. 중국에서도 안 의사를 영웅으로 칭송하고 있기에 유골 수색 작업에도 적극적으로 협조하겠다는 의사를 밝혔으나, 문제는 안 의사의 고향이 황해도, 즉 북한이라서 남북 양측이 함께 해야 하는 상황이다. 2019년 3월, 안중근 의사의 가묘 표지석이 정식 묘비로 교체되었다. 묘비로 교체되었을 뿐, 현재도 유해가 안장되지 않은 가묘 상태이다.

만약 안중근 의사의 유골을 찾게 되어 삼의사묘에 안장될 경우 묘소 명칭이 '사의사 묘(四義士墓)'로 바뀔 듯 싶다.

3.1.3. 임정요인묘역

따로 묘역이 조성된 김구 선생을 제외한 세명의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의 묘역이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제1·2·5·6·7대 국무회의 주석직을 지낸 석오 이동녕 선생, 대한민국 임시의정원 의원이자 대한민국 임시정부 국무위원회 비서장 등을 역임한 차이석 선생, 대한민국 임시정부 군무부장을 역임하였고 한국광복군을 창설하는데 지대한 공을 세운 조성환 선생이 모셔져 있다.

3.1.4. 백범 김구 묘역

3.1.5. 백범 김구 기념관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백범김구기념관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백범김구기념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백범김구기념관#|]][[백범김구기념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IMG_3541.jpg
백범 김구 기념관 중앙홀, 김구 좌상

3.2. 일반 시설

3.2.1. 대한노인회 중앙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대한노인회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노인회#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대한노인회#|]][[대한노인회#|]]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2.2. 효창운동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효창운동장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효창운동장#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효창운동장#|]][[효창운동장#|]]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대한민국 최초의 국제 규격 축구 경기장이다.

3.2.3. 자연생태 학습원

양서류가 굉장히 많이 서식하며 특히 두꺼비의 개체수가 굉장히 많은 곳이다. 밤에 산책을 온 사람들은 가로등 밑에서 사냥하는 두꺼비들을 볼 수 있으며 비가 온 날 밤이면 어디든 바닥에 넘처나는 두꺼비 떼를 볼 수가 있다. 그 밖에도 참개구리청개구리 등 역시 마음만 먹으면 꽤나 많이 찾아볼 수가 있다. 양서류들의 천국이며 특히 두꺼비가 제일 번성한 이유는 한국의 거의 유일한 두꺼비의 천적 유혈목이를 비롯한 뱀들이 일절 서식하지 않는 영향이 큰 듯하다.

아담한 규모의 도심 속 한가운데 고립된 자연환경 생태공원인데, 이곳 습지에는 신기하게도 무려 다람쥐, 청설모, 송사리, 개구리, 두꺼비 등이 서식한다.
* 효창공원 다람쥐, 개구리, 두꺼비, 송사리

4. 여담

5. 외부 링크

6. 사적 제330호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몸바친 애국지사들의 유해를 모시는 곳이다. 원래는 효창원으로, 정조의 큰아들인 문효세자·그의 어머니 의빈 성씨·순조의 후궁인 숙의 박씨·숙의 박씨의 자녀인 영온옹주의 무덤이 있었다. 일제강점기문효세자의 묘를 경기도 고양시에 있는 서삼릉(西三陵)으로 옮기면서 효창원은 효창공원이 되었다.

광복 후에는 김구·이동녕·이봉창·윤봉길·안중근을 비롯해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친 분들의 무덤을 모시게 되었으며, 매년 이 분들을 위한 제사를 지내고 있다. 무덤지역이 넓고 소나무숲이 울창하며, 무덤 주위로 산책로가 있다.

※(효창공원 → 서울 효창공원)으로 명칭변경 되었습니다. (2011.07.28 고시)

7.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12px 0"<tablebordercolor=#315288>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史蹟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1.#26 경주 원성왕릉
  1. 경주 구정동 방형분
  2. 경주 성덕왕릉
  3. 경주 헌덕왕릉
  4. 경주 흥덕왕릉
  5. 경주 감은사지
  6. 서울 독립문
  7. 서울 영은문 주초
  8. 부여 청마산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부산일본성}}}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마산일본성}}}
  1. 평창 오대산사고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노동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노서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황남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황오리고분군[A]}}}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주인왕리고분군[A]}}}
  1. 경주 금척리 고분군
  2. 부여 군수리 사지
  3. 경주 장항리 사지
  4. 경주 원원사지
  5. 경주 명활성
  6. 관문성
  7.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승주신성리성[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사천성진리성[7]}}}


[A] 사적 제512호 경주 대릉원 일원으로 통합 재지정[A] [A] [A] [A] [6] 전라남도 기념물 171호로 재지정[7]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274호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기장죽성리성[9]}}}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웅천안골리성[10]}}}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생포성[11]}}}
  1. 영주 소수서원
  2. 고양 행주산성
  3. 남한산성
  4. 부여 나성
  5. 부여 청산성
  6. 서천 건지산성
  7. 고령 주산성
  8. 대구 달성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물금증산성[12]}}}
  1. 창녕 화왕산성
  2. 창녕 목마산성
  3. 김해 분산성
  4. 함안 성산산성
  5. 강진 고려청자 요지
  6. 부안 유천리 요지
  7. 부안 진서리 요지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산사부동도요지[B]}}}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산기산동도요지[B]}}}
  1. 김해 수로왕릉
  2. 김해 수로왕비릉
  3. 김해 구산동 고분군
1.#76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나주신촌리고분군[C]}}}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나주덕산리고분군[C]}}}
  1. 고령 지산동 고분군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교동고분군[D]}}}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송현동고분군[D]}}}
  1. 경주 천군동 사지
  2. 서울 선잠단지
  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함안도항리고분군[E]}}}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함안말산리고분군[E]}}}
  1. 성주 성산동 고분군
  2. 익산 쌍릉
  3. 경주 성동동 전랑지
  4. 부여 석성산성
  5. 예산 임존성
  6.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주 성산성}}}
  1. 익산 토성
  2. 양산 북정리 고분군
  3. 양산 신기리 고분군
  4. 양산 중부동 고분군
  5. 경주읍성
  6. 양산 신기리 산성
  7. 양산 북부동 산성
  8. 부여 쌍북리 요지
  9. 양산 법기리 요지


[8] 부산광역시 기념물 47호로 재지정[9] 부산광역시 기념물 제48호로 재지정[10]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5호로 재지정[11] 울산광역시 문화재자료 제8호로 재지정[12] 경상남도 문화재자료 제276호로 재지정[B] 사적 제510호 고령 사부동과 기산동 요지로 통합, 재지정[B] [C] 사적 제513호 나주 반남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C] [C] [D] 사적 제514호로 창녕 교동과 송현동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D] [E] 사적 제515호 함안 말이산 고분군으로 통합 재지정[E]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서울 삼전도비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만인의총[22]}}}
  1. 부안 구암리 지석묘군
  2. 남원 황산대첩비지
  3. 금산 칠백의총
  4. 구례 석주관 칠의사묘
  5. 강진 정약용 유적
  6. 산청 목면시배 유지
  7. 아산 맹씨 행단
  8.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성저오리정계석표}}}
  1. 김제 벽골제
  2. 아산 이충무공묘
  3. 통영 한산도 이충무공 유적
  4. 완도 묘당도 이충무공 유적
  5. 수원 화령전
  6. 서산 해미읍성
  7. 경복궁
  8. 진주성
  9. 고성 송학동 고분군
  10. 고성 내산리 고분군
  11. 사직단
  12. 창덕궁
  13. 창경궁
  14. 덕수궁
  15. 종묘


[22] 사적 제272호 남원 만인의총으로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하동 고소성
  1. 함양 사근산성
  2. 울주 언양읍성
  3. 경주 옥산서원
  4. 아산 이충무공 유허
  5. 부여 증산성
  6. 환구단
  7. 경주 문무대왕릉
  8. 경주 이견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서울 살곶이 다리[23]}}}
  1. 경주 동부 사적지대
  2. 북한산성
  3. 경주 낭산 일원
  4. 진주 평거동 고분군
  5. 고령 고아리 벽화고분
  6. 정읍 무성서원
  7. 해남윤씨 녹우당 일원
  8. 원주 거돈사지
  9.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창녕 영산 석빙고[24]}}}
  1. 안동 도산서원
  2. 서울 고종 어극 40년 칭경기념비
  3. 경주 오릉
  4. 경주 일성왕릉
  5. 경주 탈해왕릉
  6. 경주 미추왕릉


[23] 보물 제1738호로 지정변경[24] 보물 제1739호로 지정변경[25] 사적 제517호 경주 진지왕릉과 제518호 경주 문성왕릉으로 분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1. 서울 연세대학교 아펜젤러관
  2. 구 서울대학교 본관
  3. 구공업전습소본관
  4. 한국은행 본관
  5. 서울 중앙고등학교 본관
  6. 서울 중앙고등학교 서관
  7. 서울 중앙고등학교 동관
  8. 구 서울역사
  9. 서울 고려대학교 본관
  10. 서울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
  11. 인천 답동성당
  12. 전주 전동성당
  13. 구 목포 일본영사관
  14. 대구 계산동성당
  15. 창원 진해우체국
  16. 김포 덕포진
  17. 정읍 전봉준 유적
  18. 전주 남고산성
  19. 정읍 황토현 전적
  20. 서울 관상감 관천대
  21. 서울 몽촌토성
  22. 남원읍성
  23. 화성 제암리 3·1운동 순국 유적
  24.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산임당동고분군[F]}}}


[26]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부여 정림사지
  1. 순천 낙안읍성
  2.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광한루원[28]}}}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담양소쇄원[29]}}}
  1. 산청 조식 유적
  2. 강화 갑곶돈
  3. 보령 성주사지
  4. 완도 청해진 유적
  5. 남원 실상사
  6. 해남 진산리 청자 요지
  7. 경주 남산 일원
  8. 화순 운주사지
  9. 영주 순흥 벽화고분
  10. 광주 조선백자 요지
  11. 청주 흥덕사지
  12. 서산 보원사지
  13. 충주 미륵대원지
  14. 익산 나바위성당
  15. 청주 신봉동 고분군
  16. 울산 경상좌도병영성
  17. 보령 죽도 해저유물 매장해역
  18. 함양 황석산성
  19. 파주 윤관장군묘
  20. 서울 구 서대문형무소
  2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산수리백제요지[G]}}}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1. 창원 다호리 고분군
  2. 경주 용강동 고분
  3. 용인 서리 고려백자 요지
  4. 서울 효창공원
  5.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경산조영동고분군[F]}}}
  1. 울주 검단리 유적
  2. 공주 학봉리 요지
  3. 공주 석장리 유적
  4. 통영 연대도 패총
  5. 구미 낙산리 고분군
  6. 나주읍성
  7. 영암 구림리 요지
  8. 전주 경기전
  9. 경주 천관사지
  10. 김해 대성동 고분군
  11. 군포 산본동 조선백자 요지
  12. 서울 호암산성
  1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linear-gradient(to right, #ddd, #ddd)"
진천삼용리백제토기요지[G]}}}
  1. 고창 용계리 청자 요지
  2. 고창 무장현 관아와 읍성
  3. 익산 입점리 고분
  4. 봉화 태백산사고지
  5. 남원 만복사지
  6. 경주 구정동 고분군


[28] 명승 제33호로 지정변경[29] 명승 제40호로 지정변경[G] 사적 제 511호 진천 산수리와 삼용리 요지로 통합 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3] 명승 제34호로 지정변경[34] 명승 제35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35] 명승 제36호로 지정변경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대구 팔거산성
}}}}}}}}}}}}

[1] 처음 지정될 당시 사적 제330호로 지정되었다. 현재는 문화유산에 번호를 매기는 것이 유산의 중요도로 오인될 수 있음을 고려해 따로 번호를 매기지 않고 있다.[2] 위 사진에서 가장 왼쪽, 비석 글귀가 유독 하얀 묘소이다.[3] 정확히는 일제강점기 시기 이 지역에 일본인 거주지가 조성되어 모토마치(元町, 원정)로 불렸는데, 해방 이후 일본식 지명 순화 과정을 거치면서 모토마치의 한자의 원(元)자를 살리면서 신라의 고승인 원효의 이름을 따와서 바꾼 것. 이와 관련해서는 일제강점기 이 지역에 있던 용산선의 역인 원정역(용산선) 문서 참조.[4] 생가에서 묘소까지 약 500m 정도 된다.[5] 성저십리에 오래 살던 서울토박이들은 자부심이 커서 웬만하면 이사 자체를 안가려고 하므로 세금 올라갈 일이나 재개발 문제 빼면 부동산 가격이 별 의미가 없다. 그리고 효창공원 앞이 상술한 것처럼 이봉창 의사의 고향이다. 그래서 당시에도 나라를 위해 목숨까지 바친 의사들을 늦게나마 고국에 모신 곳을 함부로 손대려 드냐며 반대 의견도 많았고, 굴러온 돌 주제에 박힌 돌 빼냐는 비난이 꽤 있었다.[6] 문효세자의 묘인 효창원은 1944년 서삼릉으로 이장하였다.[7] 비슷한 예로, 명성황후의 능인 홍릉이 있던 곳은 명성황후 능이 현재의 홍릉(홍유릉)으로 이장한 후에도 홍릉이라는 명칭으로 불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