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344c3c> 서울특별시 | 배봉산 보루 · 북한산성[A] · 불암산성[A] · 아차산 일대 보루군[A] · 아차산성 · 탕춘대성 · 호암산성 | ||||
경기도 | 남한산성 · 당항성 · 도기동 목책성 · 독산성 · 문수산성 · 반월성 · 북한산성[B] · 불암산성[B] · 아차산 일대 보루군[B] · 이성산성 · 파사성 · 죽주산성 · 행주산성 · 호로고루 | |||||
인천광역시 | 강화산성(강화석수문)ㆍ강화중성 ·강화외성ㆍ정족산성 · 계양산성 | |||||
충청북도 | 단양 적성 · 덕주산성 · 삼년산성 · 상당산성 · 온달산성 · 장미산성 · 충주산성 | |||||
충청남도 | 공산성 · 부여 가림성 · 부여 나성 · 부소산성 · 영인산성 | |||||
전북특별자치도 | 동고산성 · 미륵산성 · 위봉산성 · 우금산성 | |||||
전라남도 | 자미산성 · 마로산성 · 검단산성 · 봉대산성 | |||||
광주광역시 | 무진고성 | |||||
경상북도 | 가산산성 · 가야산 산성 · 금돌성 · 금오산성 · 명활성 · 주산성 | |||||
대구광역시 | 달성 · 용암산성 · 초곡산성 · 팔거산성 | |||||
경상남도 | 고성 만림산 토성 · 분산성 · 우불산성 · 화왕산성 · 갈마봉산성 · 자마산성 · 제덕토성 | |||||
부산광역시 | 금정산성 | |||||
울산광역시 | 관문성 | |||||
강원특별자치도 | 영원산성 · 정양산성 | |||||
[A]: 경기도와 겹침. [B]: 서울특별시와 겹침. | ||||||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읍성 조창성 차단성・관문 왜성 | }}}}}}}}} |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경주 포석정지
1.#26 경주 원성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7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서울 삼전도비
1.#126 진도 용장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하동 고소성
1.#176 경주 법흥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서울 태릉과 강릉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여주 파사성
1.#276 서울 연세대학교 언더우드관
[26] 사적 제520호 서울 용산신학교와 제521호 서울 원효로 예수성심성당으로 분리지정[F] 사적 제516호 경산 임당동과 조영동 고분으로 통합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부여 정림사지
1.#326 합천 옥전 고분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파주 오두산성
1.#376 속초 조양동 유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01 괴산 미륵산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451 화성 마하리 고분군
1.#476 경주 황성동 고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호~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01 보령 충청수영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56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대구 팔거산성
| }}}}}}}}}}}} |
1. 개요
火旺山城. 화왕산에 세워진 돌로 쌓은 산성. 1963년 1월 21일 사적 제64호로 지정됐다.2. 상세
경상남도 창녕군 창녕읍 옥천리에 위치한 삼국시대 가야 비지국(비화가야)의 산성으로 전해지고 있으며, 조선시대까지 사용된 성채이기도 하다. 면적은 총 185,724㎡다.이 성이 언제 쌓은 성인지 확실하지 않으나, 전설에 의하면 고대 가야 때부터 지은 성이라고 알려져 있다.[1] 조선 태종 10년(1410년)에 보수했다는 기록이 조선왕조실록(태종실록)에 쓰여져 있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에서는 성종 시기에 황폐화되었다가 임진왜란 때 다시 이 성이 보수되었다고 전한다.
곽재우의 활동 중심지이기도 해서, 임진왜란 시기 곽재우가 이끄는 의병들이 이곳에서 일본군과 싸우기도 했었다.
[1] 실제로 창녕군은 가야 비지국의 중심지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