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3-12-12 21:34:12

금돌성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44c3c> 서울특별시 배봉산 보루 · 북한산성[A] · 불암산성[A] · 아차산 일대 보루군[A] · 아차산성 · 탕춘대성 · 호암산성
경기도 남한산성 · 당항성 · 도기동 목책성 · 독산성 · 문수산성 · 반월성 · 북한산성[B] · 불암산성[B] · 아차산 일대 보루군[B] · 이성산성 · 파사성 · 행주산성 · 호로고루
인천광역시 강화산성(강화석수문)강화중성 ·강화외성정족산성 · 계양산성
충청북도 단양 적성 · 덕주산성 · 삼년산성 · 상당산성 · 온달산성 · 장미산성 · 충주산성
충청남도 공산성 · 부여 가림성 · 부여 나성 · 부소산성 · 영인산성
전북특별자치도 동고산성 · 미륵산성 · 위봉산성 · 우금산성
전라남도 자미산성 · 마로산성 · 봉대산성
광주광역시 무진고성
경상북도 가산산성 · 가야산 산성 · 금돌성 · 금오산성 · 명활성 · 주산성
대구광역시 달성 · 용암산성 · 초곡산성 · 팔거산성
경상남도 고성 만림산 토성 · 분산성 · 우불산성 · 화왕산성
부산광역시 금정산성
울산광역시 관문성
강원특별자치도 영원산성
[A]: 경기도와 겹침. [B]: 서울특별시와 겹침.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읍성 틀 바로가기
}}}}}}}}}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1호
금돌성
今突城
<colbgcolor=#008837><colcolor=#fff> 소재지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 수봉리 산98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수량 / 면적 3,227,107㎡
지정연도 1985년 8월 5일
건축시기 삼국시대
파일:금돌성2.jpg
<colbgcolor=#008837> 금돌성

1. 개요2. 역사3. 외부 링크4.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1호

[clearfix]

1. 개요

파일:금돌성.jpg

今突城. 경상북도 상주시 모동면에 있는 삼국시대 신라의 백제정벌 때 전진기지로 활용된 성곽, 산성. '백화산성(白華山城)' 이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1985년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1호로 지정됐다.

2. 역사

또 태자와 대장군 유신, 장군 품일과 흠춘 등에게 명하여 정예병사 5만 명을 거느리고 응원하도록 하고, 임금은 금돌성에 가서 머물렀다
삼국사기 신라본기 제5 태종무열왕 7년조

삼국시대 축조된 것으로 추정되며, 이후 전략적 중요성의 감소로 방치되었다가 붕괴된 것으로 보인다. 1978년 국방유적 보수사업에 따라 무너진 성벽에 대해 보수가 이루어졌다. 지리적 지형을 이용하여 쌓은 천연 요새이며 길이는 2~3㎞, 너비(폭)는 약 4m이다. 골짜기를 내려오는 성벽의 일부는 약 30㎝ 정도의 아랫부분만 남아있다.

백화산 정상부의 능선과 골짜기를 따라 쌓은 성으로, 신라 김유신 장군이 백제군과 격전한 곳이라고 전한다. 역사·지리적으로 고구려·백제·신라의 세력이 서로 맞부딪친 곳에 있으며, 삼국시대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성이라 할 수 있다.

3. 외부 링크


4. 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31호

백화산 정상부의 능선과 골짜기를 따라 쌓은 성으로, 신라 김유신 장군이 백제군과 격전한 곳이라고 전한다.

성은 완전하게 무너진 것을 1978년에 국방유적 보수사업으로 80m의 성벽을 복원하였다. 무너진 성벽은 약 4m 폭으로 쌓여 있었으며, 총 연장 둘레는 2∼3㎞이다. 골짜기를 내려오는 성벽의 일부는 약 30㎝ 정도의 아랫부분만 남아있다. 복원된 성벽은 밑부분의 폭이 360㎝이며, 150㎝ 정도의 높이에 군사들이 서서 활동할 수 있는 단을 설치하고, 거기서 다시 아랫폭 125㎝, 윗폭 85㎝의 성벽을 150㎝ 높이로 쌓아 올렸다.

역사·지리적으로 고구려·백제·신라의 세력이 서로 맞부딪친 곳에 있으며, 삼국시대의 역사적 상황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성이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