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0-28 06:56:22

경교장


<nopad>
[[대한민국 임시정부|
파일:대한민국 임시정부 국기.svg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330066><colcolor=#fff>문서한성정부 · 대한국민의회 · 연통제 · 교통국 · 삼균주의 · 독립신문 · 수립 기념일 · 한인애국단 · 한국독립당 · 법통 논란 · 대일선전성명서
군사기구광복군사령부 · 육군주만참의부 · 한국광복군
사건국제공산당 자금사건 · 김립 피살 사건 · 위임통치 청원 사건 · 국민대표회의 · 사쿠라다몬 의거 · 훙커우 공원 의거 · 단파방송 밀청사건
인물김구 · 안창호 · 지청천 · 김원봉 · 박은식 · 김규식 · 이승만 · 송병조 · 윤기섭 · 이시영 · 유동열 · 신익희 · 이상룡 · 양기탁 · 이동녕 · 이동휘 · 홍진 · 조소앙 · 여운형 · 오영선 · 최동오 · 이봉창 · 윤봉길 · 문일민 · 김철
청사상하이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항저우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전장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창사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충칭대한민국임시정부청사 · 경교장
역대 수반 · 지역별 임시의정원 구성}}}}}}}}}
경교장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wiki style="margin:-10px"<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c516d> 파일:투명김구.svg김구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bgcolor=#f5f5f5,#2d2f34><colcolor=#4C516D,#ddd> 일생 일생 · 평가
가족 아버지 김순영 · 어머니 곽낙원 · 아들 김신 · 증손자 김용만
역대 선거 제1대 대통령 선거
사건사고 동학 농민 혁명 · 치하포 사건 · 105인 사건 · 3.1 운동 · 김립 피살 사건 · 옥관빈 피살사건 · 사쿠라다몬 의거 · 훙커우 공원 의거 · 8.15 광복 · 신탁통치 오보사건 · 남북연석회의 · 백범 김구 암살 사건
관련 단체 신민회 · 대한민국 임시정부 · 한인애국단 · 한국국민당 · 한국독립당 · 한국광복군 · 백의사 · 대한민주청년동맹
저서 백범일지
기타 피 묻은 적삼 · 경교장 · 묘소/기념관 · 대장 김창수 · 드라마 김구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465호
서울 경교장
서울 京橋莊 | Gyeonggyojang House, Seoul
{{{#!wiki style="margin: 0 -12px; border-right: 2px solid transparent; border-left: 2px solid transparent"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1px; margin-top: -6px; margin-bottom: -5px"
주소 <colbgcolor=#fff,#191919> 서울특별시 종로구 새문안로 29 (평동 108-1)
분류 유적건조물 / 인물사건 / 근대사건
수량 / 면적 465㎡[1]
지정 연도 2005년 6월 13일
시대 1930년대
소유자
(소유 단체)
(주)삼성생명보험
위치
}}}}}}}}} ||
파일:external/www.korea.kr/1.jpg
<colbgcolor=#330066> 1946년 1월 경교장 앞에서 열린 신탁통치 반대 집회
파일:external/blogimg.ohmynews.com/1226529867.jpg
병원 시절 경교장
파일:직접 찍어올린 2023년 경교장.jpg
현재의 경교장
경교장 유튜브 영상
1. 개요2. 역사
2.1. 건축 배경2.2. 해방 공간 시절: 김구의 사저2.3. 김구 사후2.4. 복원 과정
3. 시설

[clearfix]

1. 개요

서울역사박물관 웹사이트의 소개

서울특별시 종로구 평동 강북삼성병원 부지 안에 위치해있는 문화재. 서대문역 부근에 있다.

1945년 8월 15일 광복 이후 중국에서 귀국한 백범 김구가 생전에 사용했던 개인 사저(舍邸)이자 김구가 피살당했던 장소로 잘 알려진 곳이다. 이 점에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마지막 청사라고 불리기도 한다.

한동안 삼성그룹 계열인 강북삼성병원에서 본관으로 사용했다가 2009년 경교장 전체 복원화가 결정되었고, 이후 2013년 3월 2일에 김구가 살던 시절의 모습으로 일반에 개방되었다. 이승만이화장(梨花莊), 김규식의 삼청장(三淸莊) 등과 함께 해방공간 시절의 3대 장소 중 하나이기도 했는데, 특히 이승만김구의 관계가 광복 이후 상호 대립관계에 놓이면서 이화장과 쌍벽을 이루는 공간이 되기도 했다.[2]

2001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129호로 지정받았다가, 2005년 사적 제465호로 승격 지정받았다.

2. 역사

2.1. 건축 배경

일제강점기 때인 1938년 평안북도의 수많은 금광 중 삼성금광(金鑛)으로 벼락부자가 된 친일 기업인 최창학[3]의 개인 소유 자택이었다. 본래는 '죽첨장(竹添莊)' 이라는 이름으로 불렸던 곳이었다.

당대의 문화주택 붐에 힘입어 야심차게 건설했지만 정작 최창학 본인은 바로 뒤에 있던 한옥에 살았다. 개항 이후 서양문물이 들어오면서 서구화된 건축양식이나 생활습관들이 도입되었지만 기존의 살던 방식을 바꾸지 못해 온돌집에 사는 사람들이 많았다. 일본도 사정은 비슷해서 문화주택 내에 다다미방을 마련한 경우가 어느 정도 있었다.

2.2. 해방 공간 시절: 김구의 사저

그러나 해방 후인 1945년 백범 김구가 대한민국 임시정부 요인들과 함께 중국 상하이에서 귀국하게 되면서 분위기를 파악한 최창학이 잽싸게 헌납을 하게 되고 김구와 임정요인들의 거처지로 지정됨에 따라 김구의 개인 사저로 바뀌게 되었다. 이름도 왜색(倭色)으로 아부성이 짙은 죽첨장[4]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했다. '경교(京橋)'는 '경구교(京口橋)' 라는 서대문 근처에 있었던 다리의 줄임 명칭이다.

특히 김구가 이승만과 정부 수립 문제로 관계가 악화되면서 이승만에 맞설 민족 진영의 집결 장소로 부상하게 되었고, 이승만의 사저인 이화장과 사실상 쌍벽을 이루었다. 그와 뜻을 같이했던 김규식의 삼청장(三淸莊)과는 상호 간 우호적인 관계를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2.3. 김구 사후

1949년 6월 26일 김구가 경교장에 찾아 온 안두희의 총에 맞아 숨진 후 소유권이 다시 최창학에게로 돌아왔다.[5] 11월부터 주한 중화민국 대사관이 이곳을 인수함에 따라 초대 대사인 사오위린[6]이 관저로 빌려 쓰다가 1950년 6.25 전쟁이 발발하면서 철수했다. 이후 당시 서울에 상륙했던 미군 특수부대 및 임시의료진이 2달 간 벙커로 사용한 바 있다. 1956년에는 주한 월남대사가 대여 받아 월남대사관으로 변경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었다. 김구의 사후 경교장을 외국 대사관저로 신속히 교체한 것은 김구에 대한 추모, 애도 여론을 정치적 부담으로 여긴 당시 이승만 정부의 의도가 반영되었다는 설이 있다.

파일:Screenshot_20240707_221407_Gallery.jpg
1967년 삼성그룹이 최창학의 후손으로부터 건물을 인수해 삼성의료재단이 공식 소유주가 되었다. 당시 고려병원(現 강북삼성병원) 본관을 뒷면에 붙여 신축하여 경교장을 병원 현관으로 사용했으며, 복원 전 1층 임시정부 국무회의실(귀빈응접실)은 원무과로, 2층 집무실은 야간 당직의사 휴게실[7]로 쓰여 원형을 잃었다. 이 시기에는 경교장이었다는 사실을 말해주는 증거로는 표지석밖에 없었다.

2.4. 복원 과정

이렇게 오랫동안 병원으로 쓰이다가 1990년대 민주화의 연장선상에서 김구의 복권, 재조명과 근대 건축물 철거 문제 등이 이루어지면서 경교장의 복원에 관한 주장들도 높아졌다. 1996년 2월 병원측이 경교장을 철거 및 이전하고 17층짜리 새 건물을 지을 계획안을 서울시청에 냈다가 여론의 반발이 일어 서울시는 이를 유보시켰다.

사망 47주기를 맞던 동년 6월 26일에는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준비위원회가 백범 묘소에서 경교장 복원을 촉구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고 김영삼 대통령과 조순 서울시장에게 복원 및 문화재 지정을,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에게 경교장을 국가로 쾌척하자고 요청서를 냈다. 이에 정부는 삼성 측에 현장보존을 요청하라고 했으나 서울시는 내/외부가 너무 변형이 돼서 문화재 지정이 어렵다고 했고, 삼성 측도 의료발전계획 및 문화재 복원을 동시에 충족하는 쪽으로 갔으면 한다고도 했다.

이에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은 그해 10월부터 서울 등 주요 도시를 돌며 서명운동을 해왔고, 언론에서도 경교장 복원문제 등을 수차례 심층 보도했다. 1997년 3월 17일에는 청원서를 국회에 냈으며 7월에는 국회 문화체육공보위원회가 현장답사 결과 문화재로 지정해야 한다고 했으나 청원심사소위의 심사조차 받지 못한 채 계류 상태로 갔다. 1998년에는 경교장 복원 및 국가지정문화재 촉구를 위해 '백범맞이 굿'을 벌이며 백범 피살 49년 만에 암살 현장에서 처음으로 추도식을 열었다.

1999년 6월 25일에 삼성 측이 백범기념관건립추진위원회와 협의하여 경교장을 용산 효창공원으로 옮기려고 했으나 다음 날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이 관련 청원서가 국회에 계류 상태에 있다고 하여 이전불가 성명을 냈다. 2000년 3월에는 15대 국회의 회기가 종료되어 가자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측이 김대중 대통령에게 탄원서를 냈고, 이를 넘겨받은 문화재청이 5월 23일에 〈근대문화유산의 보존과 활용〉이란 세미나를 열고 서울시로 하여금 지정조사를 하도록 했다.

2001년 4월 6일 서울특별시에서 유형문화재로 지정했고 같은해 8월 15일엔 전국민족민주유가족협의회, 5.18민중항쟁구속자회, 《월간 말》 등 재야단체들과 함께 문화재 지정 기념식을 열었다.[8] 다른 한편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측은 5월 28일 국가보훈처에 원형 복원을 요청했으나 얼마 안 가 보훈처 측은 그들의 소관이 아니라며 거절했고, 8월 16일 김대중 대통령에게 경교장을 국가지정문화재로 바꾸고 '임정기념관' 용도로 복원하자고 공문을 냈으나 10월에 서울시 측은 복원이 어렵다고 했다.

그해 11월에는 각 시민사회단체들이 '경교장복원범민족추진위원회'를 결성해 정부와 삼성그룹 등을 상대로 원형복원을 열성적으로 촉구했고, 2003년에 《비운의 역사현장 아! 경교장》이란 책을 내기도 했다. 같은 해엔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이 2001년 본관 신축 당시 직무유기와 문화재관리법 위반 등의 혐의로 현명관 삼성의료재단 이사장과 이명박 서울시장, 김충용 종로구청장 등을 고발했으나 무혐의 처리됐다.

위와 같은 우여곡절을 거쳐 2005년에 문화재청으로부터 사적으로 지정받아 강북삼성병원이 경교장 일부 중 당시 백범 김구가 생전에 사용했던 집무실이자 암살당했던 장소를 복원함에 따라 김구 기념실로 별도 운영했다가, 2009년에 경교장 전체 복원이 결정되었다. 2013년 3월 2일 복원이 완료되어 무료개방 및 관람으로 일반입장을 확정했고, 현재 입장이 가능하다. 다만, 현재까지 소유주는 삼성의료재단이며 서울특별시는 운영만 하고 있다.(《경교장 복원일지》) 2021년 11월부터 12월까지는 보수 공사를 거쳤다.

현재 경교장의 뒷면은 여전히 병원 건물과 붙어있다. 그래서 2023년 기준 경교장 2층에 강북삼성병원은 배면 복원을 즉각 이행하라고 현수막이 달려 있다.

3. 시설


[1] 보호구역 391.67㎡[2] 이는 훗날 한국 현대 정치사에서 김영삼, 김대중의 사저가 위치했던 상도동동교동의 관계와 비슷하다.[3] 친일인명사전에도 이름이 오른 인물이다.[4] 단순히 분위기의 문제가 아니라 '죽첨(竹添)'은 갑신정변 당시 일본 공사였던 다케조에 신이치로(竹添進一郞)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즉 '죽첨'을 일본식으로 발음하면 '다케조에'가 된다.[5] 이 과정에서 차남 김신은 충정로1가 99의 금화장으로 이사했다. #[6] 김구의 요청으로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고문을 맡은 경력이 있다.[7] 내부에는 경교장 시절 사진 판넬, 백범 친필인 <독립정신>, <백범 전집> 등 백범 관련 서적 및 비디오테이프 등이 비치되어 있었다. #[8] 개최 두달 전 백범사상실천운동연합 측은 서울특별시에 공동행사를 제안했지만, 시 당국은 전례가 없다며 거부했다.[9] 집무실의 창문에는 안두희가 쏜 두 발의 총에 의한 탄흔을 복원해 놓았다.[10] 또한 김구의 피살을 보도한 미국 <라이프> 지의 당시 기사도 전시되어 있는데, 해당 기사는 김구를 '암살자'(assassin)라고 표현했다. (An Old Assassin Dies by Gunfire) 이는 당시 해방 이후 김구와 임시정부를 부정적으로 보았던 구미 언론들의 입장을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