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7-21 03:36:56

안견

{{{#!wiki style="margin: -10px -10px"<tablebordercolor=#fff><tablebgcolor=#fff> 파일:문화부 심볼.svg이달의 문화인물
(1990-1997)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990년
7월
김정희
8월
장영실
9월
김소월
10월
세종대왕
11월
김홍도
12월
신재효
1991년
1월
나운규
2월
정철
3월
한용운
4월
김정호
5월
방정환
6월
정약용
7월
문익점
8월
안익태
9월
허준
10월
주시경
11월
윤선도
12월
이해랑
1992년
1월
이황
2월
정선
3월
박지원
4월
우장춘
5월
신사임당
6월
류성룡
7월
일연
8월
홍난파
9월
고유섭
10월
이윤재
11월
안창호
12월
윤동주
1993년
1월
이이
2월
이인문
3월
장보고
4월
이천
5월
윤극영
6월
원효
7월
지석영
8월
안중근
9월
박연
10월
최현배
11월
장지연
12월
윤백남
1994년
1월
우륵
2월
황희
3월
김유정
4월
홍대용
5월
강소천
6월
이상백
7월
안견
8월
박은식
9월
박승희
10월
이희승
11월
정도전
12월
신채호
1995년
1월
강세황
2월
조식
3월
월터 정
4월
최무선
5월
이원수
6월
김병로
7월
이육사
8월
김구
9월
채동선
10월
김윤경
11월
이수광
12월
곽재우
1996년
1월
김만중
2월
최치원
3월
이순지
4월
서재필
5월
김명국
6월
유일한
7월
도선
8월
심훈
9월
왕산악
10월
정인승
11월
전형필
12월
이제마
1997년
1월
송석하
2월
성현
3월
최윤덕
4월
이중환
5월
초의 (의순)
6월
한호
7월
이세보
8월
박제가
9월
박진
10월
장지영
11월
왕인
12월
송진우
※ 선정 당시 기관명은 문화부(1990~1993) → 문화체육부(1993~1998) → 문화관광부(1998~2005)였다.
이달의 문화인물(1998-2005) }}}}}}}}}


安堅
(?~?)

1. 개요2. 상세

[clearfix]

1. 개요

조선 전기의 화가. 호는 현동자(玄洞子), 본관은 지곡(池谷).

2. 상세

서산시 출생으로 생몰 연도는 미상이며 세종대왕 때 도화서 정4품 호군을 지낸 것으로 보아 세종 때부터 활동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삼강행실도의 밑그림을 그린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초상화, 사군자, 의장도 등 각종 그림에 능했지만 안견이 가장 뛰어났던 분야는 산수화였다. 1447년 안견은 안평대군이 꿈에서 본 광경을 산수화로 그렸는데 몽유도원도이다. 작품에서 안견은 자신만의 독특한 화풍, 현실 세계와 무릉도원으로 나뉜 독창적인 화폭 구성을 보여주어 양팽손, 신사임당, 슈분[1] 등 후대 화가들에게 많은 영향을 주었으며 안평대군은 그림을 보고 감탄하여 그림에 손수 시를 지었다. 이 외에도 안견이 그린 것으로 추정되는 작품들이 여럿 있지만 현재 안견이 그린 것으로 확실시되는 작품은 몽유도원도가 유일하다.

전해오는 바에 따르면 안견은 안평대군의 총애를 받으면서도 언제부턴가 고향으로 돌아가고 싶다고 했는데도 안평대군은 허락하지 않았다. 어느 날 안평대군이 아끼는 귀한 먹이 없어져서 안평대군이 저택의 사람들을 추궁할 때 안견의 품에서 먹이 나왔다. 노한 안평대군은 안견을 쫓아냈는데 얼마 못 가 계유정난이 일어나서 안평대군이 죽자 사람들은 안견이 선견지명이 있었다고 수군거렸다고 한다.

[1] 周文. 무로마치 막부 시기 승려로 일본 화가이며 작품 중 일본 국보가 2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