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3-23 18:28:16

최호(조선)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가수에 대한 내용은 최호(가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정치인에 대한 내용은 최호(정치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청난공신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604년 6월 25일 선조에 의해 책록
분충출기합모적의청난공신 (1등)
홍가신
분충출기적의청난공신 (2등)
박명현1 최호
분충출기청난공신 (3등)
신경행 임득의
1 1608년 임해군의 심복이라는 혐의로 인한 제명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330d0d 0%, #a52a2a 10%, #a52a2a 90%, #330d0d)"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이순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소속 <colbgcolor=#fff,#1c1d1f>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가족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이봉상 · 그 외 후손)
관련 인물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생애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관련 장소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남해 관음포
관련 사건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시전부락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관련 물건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작품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용모 · 창작물
평가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창작물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파일:이순신 서명.svg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 }}}}}}}}}

파일:최호 장군 초상화 .jpg
崔湖
1536년(중종 31) ~ 1597년(선조 30) 8월 27일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수부(秀夫).

임진왜란 때 활약하다 칠천량 해전에서 전사했다. 시호는 충원(忠元).

2. 생애

1536년(중종 31) 전라도 임피현 서삼면 발산리(현 전라북도 군산시 개정면 발산리)에서 최치원의 15대손인 최한정(崔漢禎)의 네 아들 중 막내 아들로 태어났다.# 아버지 최한정은 무인으로 1552년(명종 7) 무과에 급제한 후 북방을 지키는 중요 요직을 두루 거친 유명한 노장군이었다.

현신교위(顯信校尉:종5품 무관의 품계)로서 정로위(定虜衛)에 복무하다가, 39세 되던 1574년(선조 7) 별시 무과에 병과 5위로 급제하면서 수의부위(修義副尉:종8품 무관의 품계) 및 권지(權知) 훈련원 봉사(訓鍊院奉事:종8품)를 제수받아 근무했다. 2년 후인 1576년(선조 9)에는 중시(重試) 무과에 갑과 1위로 장원 급제하였다.#

이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한성부에서 의주까지 2개월 동안 선조 일행의 파천 길을 뒤에서 지켰고 3개월 간 의주를 지켰다. 이후 9월 22일 함경남도 병마절도사로 임명받아 가토 기요마사를 상대로 의주를 수호하는 등 활약한다. 이윽고 선조 26년 4월 18일 1년 만에 서울이 탈환되고 10월 18개월 만에 선조는 서울로 환도하였다. 최호는 함경도와 두만강 일대의 야인들의 약탈 침범 속에서 민심을 안정시키고 치안 유지와 민생고 해결에 3년간 애썼다.

화의의 진행에 따라 싸움이 소강 상태일 때 최호는 휴직을 청원한다. 이미 전란 중에 아버지의 상을 당하였지만 전란 중 병마절도사의 직을 떠나지 못하고 비로소 선조의 윤허를 받았던 것이다. 그러나 정유재란이 일어나기 10개월 전 기복 출사, 즉 상복기를 마치기도 전에 충청도 수군절도사로 명받았다.

이후 충청 수사 부임 3개월에 이몽학의 난을 평정하는데 공을 세웠다. 1597년(선조 30년) 2월 26일 이순신이 파직된 후 원균삼도수군통제사가 되자 그의 휘하에서 종군하다 정유년 7월 16일, 칠천량 해전에서 도주하는 원균을 뒤로 하고 끝까지 왜군에 맞서 싸우다가 이억기 등과 함께 전사했다.

임란이 끝난 6년 후 1604년(선조 37년) 공신 책록에서 이몽학의 난 평정의 공신으로 청난 공신 이등 공신으로 책록되었고, 정2품의 자헌대부에 병조판서, 판의금부사로 추증 되었으며, 계성군으로 봉군 되면서 충원공(忠元公)의 시호를 받았다.

3. 대중매체

4.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