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07 23:19:11

이경록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前 야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이경록(야구선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90deg, #330d0d 0%, #a52a2a 10%, #a52a2a 90%, #330d0d)"
{{{#!wiki style="margin: -10px"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a52a2a><tablebgcolor=#a52a2a> 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이순신
관련 문서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a52a2a><colcolor=#fff> 소속 <colbgcolor=#fff,#1c1d1f>삼도수군통제사 · 선무공신
가족 아내 방수진
장남 이회, 차남 이예, 삼남 이면
맏형 이희신의 아들 이완 · 딸의 시아버지 홍가신
먼 친척 형 이광 · 19촌 이이
후손 (이봉상 · 그 외 후손)
관련 인물 친구 류성룡 · 류성룡의 제자 허균
육군 동료 (이일 · 신립 · 권율 · 이경록)
수군 동료, 부하 (이억기 · 권준 · 김돌손 · 김완 · 김억추 · 나대용 · 무의공 이순신 · 배흥립 · 안위 · 오계적 · 이영남 · 이운룡 · 정운 · 준사 · 최호 · 송희립 · 우치적 · 어영담 · 황세득 · 송여종 · 김인영 · 신호 · 원균 · 배설 · 이언량 · 류형 · 진무성)
주군 (선조 · 선조비 의인왕후 · 분조 광해군)
생애 생애 · 전투 관련 · 여담
관련 장소 이순신이 태어난 곳 한양 건천동 · 이순신 일가의 생가 아산
이순신의 묘소 장군묘 · 이순신의 사당 현충사
명량해전이 벌어진 곳 명량수도 · 노량해전이 벌어진 곳 남해 관음포
관련 사건 탄신일 · 니탕개의 난 · 녹둔도 전투 시전부락 전투 · 이몽학의 난 · 백의종군
임진왜란, 정유재란 해전 (옥포 해전 · 합포 해전/적진포 해전 · 사천 해전 · 당포 해전 · 당항포 해전 · 율포 해전 · 한산도 대첩 · 안골포 해전 · 장림포 해전 · 절영도 해전 · 초량목 해전 · 부산포 해전 · 웅포 해전 · 장문포 해전 · 명량 해전 · 절이도 해전 · 왜교성 전투 · 노량 해전)
관련 물건 쌍룡검 · 백원 주화 · 충무공이순신급 구축함
작품 장계별책 · 난중일기 · 이충무공전서
기록에서의
모습 및 행적
용모 · 창작물
평가 관련 기록 · 평가 · 의문점
창작물 성웅 이순신(1962) · 성웅 이순신(1971) · 난중일기(영화) · 칼의 노래 · 천군(영화) · 명량 · 한산: 용의 출현 · 노량: 죽음의 바다 · 칼의 노래(뮤지컬)
파일:이순신 서명.svg파일:이순신 수결 흰색.svg }}}}}}}}}

李慶祿
1543년(중종 38) ~ 1599년(선조 32)

1. 개요2. 생애3. 대중매체에서

[clearfix]

1. 개요

조선 중기의 무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백수(伯綏).

왕실 종친 출신으로 효령대군의 7세손이다.[1]

이순신의 무과 임관 동기 친구이며[2], 특이사항으로 한반도의 최북단과 최남단인 함경도제주도에서 관직을 지냈다.

2. 생애

이경록은 1543년 회덕 현감(懷德縣監:종6품)과 오위장(五衛將:종2품)을 지낸 이간(李幹)의 아들로 태어났다.

충의위(忠義衛)로 복무하다가 1576년(선조 9) 식년시 무과에 병과(丙科) 3위로 급제하여#[3], 선전관, 호조 좌랑 등을 거쳐 1587년에는 경흥 부사에 임명되었다. 이 때 여진족이 녹둔도를 공격해 백성 160여명이 끌려가자 당시 조산 만호였던 이순신과 함께 여진족 토벌에 나서 절반 이상의 백성들을 구출했으나 이 과정에서 큰 피해를 입었다. 녹둔도 전투 참조. 당시 이경록의 상관인 북병사 이일이 책임을 면하기 위해 피해의 책임을 이순신과 이경록에게 돌렸으나 조정에선 이순신의 변론을 인정해 두 사람에게 백의종군이란 처벌만 내렸다. 이후 다시 여진족이 침범했을 때 화살을 맞는 부상을 입으면서도 이를 격퇴한 공을 인정받아서 1589년 김해 부사로 직책을 옮겼다. 이후 1592년 나주 목사를 거쳐 1593년에는 제주 목사로 임명되었다.

임진왜란 기간 동안 이경록은 제주도[4]를 관리하며 본토에 식량과 가축 등 전쟁 물자를 지원하였다.[5] 제주도의 병력을 선발해 본토에 증원할 뜻을 밝히기도 했으나 당시 조정에선 제주도의 방위 또한 중요하다며 거부하였다. 제주도의 성곽들을 개축하는 일을 지휘하던 도중 병에 걸려 1599년 1월 사망했다. 훗날 인조반정 공신이 되는 아들인 완풍부원군(完豊府院君) 이서의 봉군에 의해 완령부원군(完寧府院君)으로 추봉된다.

3. 대중매체에서

2004년 KBS 대하사극 불멸의 이순신에서는 배우 맹호림이 연기했다.



[1] 다만 전의 이씨 시조 16세로도 나오는데, 청주부읍지에 판관을 지냈다는 기록이 양쪽 다 나오는 것으로 보아 동일 인물로 판단되나, 전의 이씨에서 나오는 이경록의 생몰년은 1541년~1612년으로 되어 있다.[2] 현재로 따지면 같은 출신 같은 기수의 장교 지간이라고 보면 된다.[3] 당시 병과 4위가 다름아닌 이순신이었다.[4] 위에서 녹둔도에서 근무를 했던 것과 연결지어보면, 한반도 최북단에서 최남단까지 내려온 셈이다.[5] 난중일기를 보면 제주도에서 보낸 소나 곡식을 분배한 기록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