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17 17:37:27

금정산

금정산성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72C13E>
파일:산림청 흰색 CI.svg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338E41>
서울/인천
경기
강원
가리산
공작산
대암산
덕항산
명성산
대전/세종
충남
덕숭산
서대산
충북
구병산
도락산
천태산
희양산
대구/경북
운문산
황장산
부산/울산
경남
금산
재약산
지리산(통영)
황석산
전북
방장산
백암산
운장산
장안산
적상산
광주/전남
깃대봉
추월산
팔영산
제주
}}}}}}}}} ||

{{{#!wiki style="margin:-12px -0px"<tablebordercolor=#72C13E>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1~50번
가리산(홍천)
구병산(보은)
구봉산(진안)
달마산
덕룡산
덕항산
도락산
동악산(곡성)
방장산
백암산
51~100번
오서산(충남)
장안산
재약산
조령산
천태산
청화산
축령산(장성)
황석산(함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344c3c> 서울특별시 배봉산 보루 · 북한산성[A] · 불암산성[A] · 아차산 일대 보루군[A] · 아차산성 · 탕춘대성 · 호암산성
경기도 남한산성 · 당항성 · 도기동 목책성 · 독산성 · 문수산성 · 반월성 · 북한산성[B] · 불암산성[B] · 아차산 일대 보루군[B] · 이성산성 · 파사성 · 죽주산성 · 행주산성 · 호로고루
인천광역시 강화산성(강화석수문)강화중성 ·강화외성정족산성 · 계양산성
충청북도 단양 적성 · 덕주산성 · 삼년산성 · 상당산성 · 온달산성 · 장미산성 · 충주산성
충청남도 공산성 · 부여 가림성 · 부여 나성 · 부소산성 · 영인산성
전북특별자치도 동고산성 · 미륵산성 · 위봉산성 · 우금산성
전라남도 자미산성 · 마로산성 · 봉대산성
광주광역시 무진고성
경상북도 가산산성 · 가야산 산성 · 금돌성 · 금오산성 · 명활성 · 주산성
대구광역시 달성 · 용암산성 · 초곡산성 · 팔거산성
경상남도 고성 만림산 토성 · 분산성 · 우불산성 · 화왕산성
부산광역시 금정산성
울산광역시 관문성
강원특별자치도 영원산성
[A]: 경기도와 겹침. [B]: 서울특별시와 겹침.
행정구역은 현재 대한민국 기준
읍성 틀 바로가기
}}}}}}}}}

부산광역시의 산
{{{#!wiki style="margin: -10px -10px"
<table align=center><table width=320><table bordercolor=#ffffff> 금정산
金井山
Geumjeong Mountain
}}}
<colbgcolor=#6ab048> 위치 부산광역시, 양산시
높이 801.5m (고당봉)
산맥 금정산맥
태백산맥의 지맥
좌표 북위 35° 16′ 48″
동경 129° 03′ 02″
면적 51.7㎢
부산(44.38㎢) 경남 양산(7.32㎢)
지도
<nopad>


1. 개요2. 등산
2.1. 범어사 코스2.2. 금강공원 코스2.3. 금백종주 코스
3. 관광4. 교통5. 국립공원 지정 문제6. 금정산성7. 여담

[clearfix]

1. 개요

파일:external/c2.staticflickr.com/10573140295_3ab2d215c2_b.jpg
<colbgcolor=#2E8B57><colcolor=#fff> ▲ 동문과 3, 4망루, 북문을 연결하는 구간에서 찍은 사진
바로 앞에 있는 바위가 나비바위와 부채바위고, 능선 위에 보이는 누각은 제 4망루며, 능선 위에 툭 튀어나온 바위가 의상봉, 의상봉 오른쪽에 큰 바위들이 무명암이다.
파일:external/c2.staticflickr.com/10573262586_dca52f8156_b.jpg
<colbgcolor=#2E8B57><colcolor=#fff> ▲ 의상봉과 무명암, 제 4망루를 가까이에서 찍은 사진


부산광역시 금정구[1], 북구경상남도 양산시 동면에 걸친 높이 801.5m에 달하는, 부산에서 가장 높은 산이며 부산을 대표하는 이다.[2] 옛 동래도호부의 진산이기도 하였으나, 부산 도심이 확장되면서 현재는 도심 한가운데에 있는 산이 되었다. 접근성이 워낙 좋기 때문에 많은 등산객들이 찾는다. 특히 주말에는 시내의 한적한 길의 보행자보다 금정산 등산객이 더 많을 정도이다.

부산 도시철도 2호선양산 도시철도에 의해서 같은 부산의 황령산금련산[3]이나 서울 남산처럼 도시철도에 둘러싸이는 산이다.

바위가 드러나 산세가 야성적이면서도 매력 있는 산이다. 한국에 있는 산성들 중 길이가 가장 긴 금정산성 유적도 이 산의 능선에 뻗어있다. 금정산성은 격동의 시대를 거치며 대부분 구역이 토대만 남아서 복구사업을 하는 중이지만, 낮은 돌담조차도 금정산을 닮아서 야성미 넘치는 풍경의 일부로 존재한다.[4] 한편 금정산이 포함된 금정산맥은 태백산맥의 지맥 중 하나로, 양산 천성산에서 내려와서 부산 내에서 금정산을 거쳐 쇠미산, 백양산, 엄광산, 구덕산을 거쳐 승학산에서 끝난다.

노산 이은상이 1955년에 출판한 시집 <<조국강산>>에서 '금정산'이란 제목으로 아래와 같은 시를 실었다.
돌우물 금빛고기 옛전설따라
금정산 산머리로 올라왔더니
눈앞이 아득하다 태평양물결
큰포부 가슴속에 꿈틀거린다
시에서 언급한 '돌우물 금빛고기'란, 금정산(金井山)이란 지명의 유래가 된 금샘(석정) 전설을 뜻한다.

2. 등산

파일:Geumjeong_sxtono.jpg
<colbgcolor=#2E8B57><colcolor=#fff> ▲ 주봉 고당봉
파일:금정산 장군봉.jpg
<colbgcolor=#2E8B57><colcolor=#fff> ▲ 장군봉
파일:부산 금정산 상계봉.jpg
<colbgcolor=#2E8B57><colcolor=#fff> ▲ 상계봉

주봉은 고당봉(801.5m)[5]이고, 최남단 상계봉(640.2m)[6]을 시작으로 동서로 갈라지며, 서쪽으로는 파리봉(615m)이, 동쪽으로는 망미봉, 대륙봉, 의상봉, 원효봉이 이어진다. 두갈래로 갈라진 산줄기는 북문과 고당봉 일대에서 만나며, 최북단에 위치한 계명봉, 장군봉(727m)[7]까지 이어진다. 고당봉 남쪽 약 10km 지점에는 백양산(642m)이 있다.

파일:금샘.jpg
<colbgcolor=#2E8B57><colcolor=#fff> ▲ 금샘

고당봉으로 가는 길에는 금샘이 있다. 산의 큼지막한 바위 머리의 움푹 패인 곳에 고인 물인데, 사진으로 보면 착시로 작아 보이지만 의외로 꽤 커서 둘레가 3m 정도 된다. 사람이 올라가서 같이 찍힌 사진을 보면 훨씬 커 보인다. 물이 그리 많지도 않고 그냥 고여있는 물일 뿐인데도 가뭄이 들어도 마르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금샘에 얽힌 설화에서 '금정산'과 금정구의 이름 금정(金井, 황금 우물) 및 5대 로 손꼽히며 금정산의 동쪽 기슭에 위치한 범어사 이름이 유래하였다. 금정구의 캐릭터도 여기서 따서 금빛 물고기다.
금정산 석정(金井山石井)【현 서북쪽 산정(山頂)에 있다. 높이가 세 길 가량 되는 돌이 있는데, 그 위에 우물이 있다. 둘레가 10여 척, 깊이가 7촌 가량인데, 물이 항상 가득히 차 있어서, 비록 가물지라도, 마르지 아니하고 빛이 황금과 같다. 그 밑에 범어사(梵魚寺)가 있는데, 세상에 전하기를, "예전에 금빛 고기(金色魚)가 오색 구름을 타고, 범천(梵天)으로부터 내려와서, 그 가운데서 헤엄쳐 놀았으므로, 이 이름을 얻었다."고 한다. 】- 《세종실록지리지

방송국에서 금샘에 고인 물의 성분을 조사해보았더니# 빗물이 고인 물이라고 한다. 즉 지하수, 암반수가 솟아오르는 게 아닌데도 마르지 않고 물이 유지되는 이유는 산에 올라오는 안개 등으로 발생하는 결로 현상 덕분이라고 한다. 아무리 가물어도 부산 앞바다가 마를 일은 없으니 수분을 머금은 바람이 매일 꾸준히 유입되므로, 금샘은 천 년이 넘게 마르지 않는 샘물이란 전설이 계속 이어진 것이다.

날씨가 좋을 때는 대마도지리산 주봉인 천왕봉까지 볼 수 있다. #

대도시에 있는 큰 산답게 등산로는 정말로 다양하다. 특히 북구와 금정구 일대에는 정말 등산로가 많아서, 심지어 요양병원 주차장 뒷편, 아파트 축대 위에도 들머리가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유명한 등산로는 범어사금강공원성지곡수원지호포화명동만덕동만덕고개를 들머리로 삼는 코스다. 대부분 인구밀집지역에서 가깝거나, 조금 떨어졌다고 해도 대중교통(특히 도시철도)으로 접근할 수 있다는 공통점이 있다.[8] 양산(주로 다방면 계석마을)을 들머리로 삼아 오르는 코스도 있다. 산을 걸으며 양산시부산시를 넘나드는 것.

따라서 길을 잃을 염려는 거의 없으나 걷다보면 전혀 엉뚱한 곳에 도착하기도 한다. 이정표를 잘 확인해야 하는데 이정표가 틀린 경우도 적지 않다. 금정산 등산로가 전혀 관리되지 않기 때문에 생긴 일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쉽게 설명하자면, 국립공원에서 탐방로를 지정관리하기 이전의 북한산을 생각하면 된다. 길들이 복잡하게 얽혀 길을 잃고 헤맬 염려는 없으나, 길을 잘못 들어 엉뚱한 곳이 날머리가 되는 경우가 계속 일어났었다.[9] 2023년 6월 기준으로 이정표도 알기 쉽게 설치되었다.

만약 타지역에서 금정산을 오르고자 하는 이들이 있다면 다음과 같은 코스를 추천한다.

2.1. 범어사 코스

고당봉으로 향하는 마지막구간 3백여 m를 제외하면 크게 무리가 없는 코스. 경사도 완만하고 길도 잘 정비되어 있다.

범어사에서 바로 고당봉으로 오를 수도 있으며 북문을 거쳐 오를 수도 있다. 난이도는 북문을 거쳐 오르는 쪽이 조금 더 높은 편이나 큰 차이는 없다. 고당봉을 오른 후 북문을 거쳐 동문까지 걸어가 버스를 타고 하산하거나 걸어서 하산해도 되며, 체력과 시간이 허락한다면 좀 더 길게 걸어도 된다. 다만 북문에서 범어사로 내려오는 길은 계단이 많아 무릎이 안좋은 사람이라면 고당봉 북쪽에서 범어사로 내려오는 길을 추천한다.

북문에서 동문까지 이어지는 능선은 걷는 내내 한쪽으로는 부산시내와 바다를, 다른 한쪽으로는 부산시 북구, 김해시와 낙동강을 조망할 수 있다.

동문까지 이동하여 버스를 이용해 하산할 경우 소요시간은 4시간 내외로 반나절 산행으로 적합하다.

대중교통을 이용할 경우 지하철 1호선 노포역 또는 범어사역에서 90번 버스로 환승하여 범어사에서 내리면 된다.

2.2. 금강공원 코스

금강공원을 들머리로 삼는다. 금강공원 내에는 케이블카 승강장 쪽과 옛 후문 쪽, 두 군데 들머리가 있는데 어느 쪽으로 올라도 결국 같은 곳에서 길이 합류한다. 2 km 조금 넘게 산길을 오르다보면 케이블카 하차장에 닿는다. 여기에서 잘 정비된 길을 따라 걸으면 동문이 나오고, 동문에서 북문까지 능선길을 따라 걷다가 고당봉을 둘러본 후 범어사로 하산하는 코스이다. 보통 5시간 정도 소요된다.
조금 더 편한 길을 찾는다면 203번 버스를 타고 남문에서 하차후 능선을 따라 의상봉 원효봉 고당봉을 거쳐 범어사로 하산해도 된다.

2.3. 금백종주 코스

양산 계석마을을 들머리로 시작해 금정산 장군봉(727m), 고당봉(801m), 원효봉(687m), 대륙봉(520m)과 쇠미산을 거쳐 백양산 불응령(616m), 정상(642m)을 지나 개림초등학교로 내려오는 총 27km에 달하는 코스이다. 소요시간은 10시간 이상

3. 관광

대중교통으로 편리하게 갈 수 있다.

부산 버스 금정1 (지하철 2,3호선 덕천역 - 서문 - 산성마을)
부산 버스 203 (지하철 1호선 온천장역 - 동문 - 남문 - 산성마을 )
부산 버스 90 (지하철 1호선 노포역 - 범어사)

인근에 금강공원동래온천이 있다. 케이블카가 있어 부산시내를 내려다 볼 수도 있다. 2013년 1월 20일 오후 2시 50분, 케이블카를 지탱하는 선 하나가 끊어져 상행선에 탄 8명, 하행선에 탄 38명이 3시간가량 고립되는 사고가 일어났지만 인명피해는 없었다. 케이블카는 2014년에 복구되었다.

또한, 금정산 북동쪽 기슭에는 대한민국 5대 사찰[10]로 손꼽히는 유서 깊은 고찰 범어사가 있다. 범어사 근처에 등나무군생지가 있는데 천연기념물 제176호로 지정되었다. 범어사 북쪽에는 계명봉이 있는데, 정상에 있는 계명봉수대는 조선시대에는 부산의 주요 봉수대로 기능했다.

이 산 안쪽 분지 지역이 금성동인데, 부산 사람들은 산성마을이라고 부른다. 여기에서 대한민국 전통 민속주 제 1호로 지정된 금정산성 막걸리라는 막걸리가 유통된다. 유통기한은 일주일 가량으로 짧은 편인데, 다른 막걸리에 비해 맛이 시큼하여 호불호가 갈린다. 이 외에도 염소고기, 오리고기 등 먹거리촌으로도 유명하다.

만덕동 쪽에 있는 석불사도 암벽에 새겨진 수많은 마애불 등으로 유명하다. 주로 부산 지역 학교에서 소풍으로 많이 가는 곳. 화명동에 있는 대천천 애기소[11]화명수목원[12]도 숨겨진 명소다.

4. 교통

4.1. 시내버스

금정산성 안쪽 공해마을(공해부락)과 죽전마을(죽전부락)로 올라가는 버스로 전설의 부산 버스 203부산 버스 금정1, 부산 버스 90이 있다.

4.2. 케이블카

동래구 온천동 금강공원에서 남쪽 능선 해발 540 m를 잇는 관광용 케이블카가 운행 중이다. 운임은 2024년 8월 21일 성인 기준 왕복 9천 원, 편도 6천 원이다.

5. 국립공원 지정 문제

다른 광역시의 진산들이 이미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듯이(북한산, 계룡산, 무등산, 팔공산[13]) 금정산 국립공원 지정을 추진하는 목소리가 많다. 국립공원으로 지정되면 금정산의 브랜드 가치가 상승하고 관리예산도 전액 국비로 지원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심의위원들은 금정산에 사유지가 많고 산중에 산성마을이 조성된 등 이해관계자가 많은 만큼 공감대를 형성하기가 우선이라고 판단했다. 금정산 전체면적 51.7 km² 중 87%에 달하는 45.02 km²가 사유지라서, 2008년 도립공원 지정 추진 당시에도 주민과 지주들이 크게 반발하여 무산되었다. 인근 지자체인 경상남도양산시도 주민 재산권 문제를 들어 반대하고 있는 상황.

2024년 2월 면적 8%를 차지하는 범어사가 협조하겠다고 밝혀 8월 현재 환경부 환경영향평가협의회 절차를 진행중이며 이르면 2025년 상반기 국립공원으로 지정될 예정이다.

6. 금정산성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사적 제215호
<colbgcolor=#315288><colcolor=#fff> 금정산성
金井山城
소재지 부산광역시 금정구 금성동 43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 성 / 성곽
면적 818,177㎡
지정연도 1971년 2월 9일
제작시기 삼국시대(추정)
위치

부산광역시 금정산에 있는 삼국시대의 성곽으로 전체길이 18.8km로 한국에서 규모가 가장 큰 산성이다. 1971년 2월 9일 대한민국의 사적 제215호로 지정되었다.

바다로 침입하는 적에 대응하기 위해 쌓은 산성으로 부산 전역이 내려다보이는 전략적 요충지다. 언제부터 성을 쌓았는지 정확이 알 수 없으나, 삼국시대 신라에 왜구의 침임이 많았다는 사실로 보아 신라시대 축조했다는 견해도 있고 그 이전부터 있었다는 견해도 있다. 현재의 성곽은 조선시대 숙종 29년 (1703)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겪으면서 방어시설을 강화하기 위해 쌓았다.

일제강점기 시절 많이 훼손되어 1972년부터 복원사업을 시작하여 동, 서, 남, 북문과 1, 2, 3망루가 복원되었다. 현재는 금정산성 일대를 예전모습으로 차례차례 복원하는 중이다. 동서남북으로 망루관문이 각 4개씩 있다. 유적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쯤 가보아도 좋을 것이다.

보통 산성이나 성에는 문에다가 이름을 붙인다. 다만 금정산성에서는 이름이 붙여지지 않았기 때문에 그동안 편의상 방위에 따라 동문, 서문, 남문, 북문으로 불렀으나, 2017년에 각 문에 이름을 붙이기로 결정한 후 시민투표를 했다. 그리고 2017년 7월에 각 문의 이름이 발표되었는데, 동문은 '관해문(關海門), 서문은 '해월문(海月門)', 남문은' 명해문(鳴海門)', 북문은 '세심문(洗心門)'이 되었다. 다만 300년 넘게 동문 서문 남문 북문으로 불렸던 탓에 아직도 각 문들의 새 이름은 잘 쓰이지 않아서 금정산성 공식 홈페이지에서도 이 이름이 언급되지 않을 정도이다. 이 이름들은 시간이 지나야 정착될 것이다.

[clearfix]

7. 여담

<#fff,#1c1d1f> {{{#!folding [ 구 표지석 사진보기 · 닫기 ] 파일:금정산 고당봉 구 표지석.jpg }}}

[1] 구 이름을 이 산에서 따왔으며, 산 명칭의 유래인 금샘도 행정구역상 금정구에 들어간다.[2] 양산시에는 가지산, 천성산 등 금정산보다 더 높은 산들이 있고 범어사금정산성 같은 랜드마크도 부산 쪽에 있기 때문에 양산시의 산이라는 인식은 좀 약한 편이다. 그러나 양산시 내부적으로는 금정산과 오봉산을 잇는 도로명 주소에 '금오로'라는 명칭을 부여하기도 하고, 양산 시내 학교들의 교가 가사에도 자주 등장하는 등을 보아 양산시에서도 굉장히 중요하게 여겨진다.[3] 황령산과 금련산은 부산 도시철도 1호선2호선3호선이 둘러싸고있다.[4] 단, 금정산성은 같은 부산동래읍성처럼 복구할수록 밋밋해진다는 평가도 있다. 옛날의 수십 km에 달하는 돌담만 해도 금정산의 돌을 쌓아서 만든 만큼, 높이는 초라하지만 산을 닮아서 정말 강해 보였다고.(...)[5] 옛날에는 고당봉을 올라가려면 마지막 암릉구간에서 밧줄을 잡고 암벽에 가까운 바위를 올라가야하는 아찔한 산행을 해야했지만, 2000년대 후반에 들어서면서 암릉구간에 데크를 설치해, 전보다 안전하게 올라갈 수 있게 되었다. 고당봉(姑堂峰)이란 이름도 본래 고유어의 음차 표기일 뿐이었고 과거에는 제대로 고정되지 않았다. 고암(故岩)ㆍ고당봉(姑堂峰 / 高堂峰 / 姑黨峰 / 高幢峰)ㆍ고담봉(高潭峰)ㆍ고단봉(高壇峰) 등, 음이 같거나 비슷하고 한자는 다른 표기가 난립했다. 1994년에 부산 금정구청이 '금정산 표석비 건립 추진위원회'를 열어 전문가들을 모아 회의한 끝에 현재의 고당봉(姑堂峰)이란 한글/한자 표기를 확정했다.[6] 예전에는 상학산이라고도 불렀다. 고당봉이 금정산 북쪽을 대표하는 봉우리라면 상계봉은 금정산 남쪽을 대표하는 봉우리라 하겠다. 산 정상 밑에 있는 암릉의 모습이 닭벼슬같이 생겼다고 상계봉(上鷄峰)이란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구만덕으로 해서 올라올 수 있는 등산로가 있다.[7] 금정산 봉우리들 중 가장 북쪽에 있고, 양산시와의 경계에 있어서 부산시민들에게는 그다지 인지도 없는 봉우리지만, 양산시민들에게는 양산에서 고당봉, 범어사 등을 가려면 반드시 거쳐야하는 봉우리라서 인지도가 높다.[8] 성지곡 코스는 제외.[9] 특히 금정산성 종주를 진행 할때 고당봉~서문 구간 이정표가 상당히 부실하게 세워져 있다.[10] 나머지 네 곳은 양산 통도사ㆍ합천 해인사ㆍ순천 송광사ㆍ구례 화엄사다. 공교롭게도 다섯 사찰 모두 남부 지방에 있다.[11] 바다의 이미지가 강한 부산에서 몇 안 되는 네임드 계곡이다. 전설에 따르면 아기를 갖지 못해 정성으로 빌던 부부에게 신이 "아기를 보내주는 대신 돌 지난 후에 다시 데려가겠다."라며 아기를 보냈고, 1년 후에도 여전히 아기에게 아무 일이 없어 부부가 이 계곡에 아기를 데리고 와 신에게 "아기를 데려가지 않고 지켜주셔서 고맙습니다."라고 기도를 올렸는데, 한눈판 사이 아기가 사라져서 '애기소'라 불린다고 한다. 원래는 약 수심 5~6 m에 500 ㎡ 정도 되는 큰 소였지만, 1959년 태풍 사라호 때 상류에서 휩쓸려온 토사 때문에 지금은 크기가 많이 줄어들었고 수심도 얕아졌다. 하지만 아직도 깊은 곳은 깊으니 조심해야 한다. 최근에는 안전요원도 배치되고 있다.[12] 대천천 바로 옆에 있으며, 수목원에서 계속 올라가다보면 서문이 나온다. 예전에는 관리상태가 좋지 않았지만 최근에는 나아졌다.[13] 2023년에 지정되었다.[14] 어차피 이 동네는 동네 자체의 교통망이 열악하고 산속의 평지 넓이가 좁아서 더 확장될 가능성은 낮다. 그리고 부산 시내보다 춥다.[15] 양산시 동면 석산리, 금산리, 가산리, 사송리, 북구 금곡동, 화명1동, 화명2동, 덕천1동 일부, 만덕1동, 동래구 온천1동, 금정구 장전동, 구서동, 남산동, 청룡동 등[16] 금정산성 막걸리에도 아스파탐이 들어 있기에 단맛이 아예 없지는 않다. 하지만 일반적인 막걸리보다 단맛이 훨씬 약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