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04 14:38:37

금련산

금련산
金蓮山 | Geumnyeonsan
파일:attachment/금련산/Geum.jpg
<colbgcolor=#2E8B57><colcolor=#fff> 위치 부산광역시 남구, 수영구, 연제구
좌표 북위 35° 9′ 41.1″
동경 129° 5′ 42.9″
높이 413.6m
산맥 금련산맥

1. 소개2. 교통3. 관련 문서


1. 소개

부산광역시 연제구, 수영구, 남구에 걸쳐있는 금련산맥의 전형적인 야산. 높이는 해발 413.6m로 옆의 황령산보다는 약간 낮다. 부산시민들이 황령산이라고 말하면 실제 황령산뿐만 아니라 옆의 금련산까지 포함해서 말하는 경우가 많다. 두 산의 봉우리는 거리도 멀지 않고 도로로 금방 연결된다. 산자락에 금련산청소년수련원과 폐업한 지 오래인 실내 스키장 스노우캐슬이 있다. 산 정상부에는 송신탑과 헬기 착륙장이 있고 광안리해수욕장광안대교 방면 전망이 좋다. 부산불꽃축제를 감상할 때도 최적의 장소지만 그 날엔 다른 사람들도 다들 노리기 때문에 자리잡기는 매우 어렵다. 마하사[1] 등의 절이 있고 예전에 사찰이 있었지만 없어졌다는 말이 있다.

최근 이 산에 80조원 상당의 구리가 매장되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 하지만 울산지방검찰청에서 구리매장은 확인된 적 없다고 답변이 와서 거짓말일 가능성이 높다. #

첫번째 줄에 위치한 대부분 학교들의 교가를 보면 이 산에서 정기를 받는다.

2. 교통

부산 도시철도 2호선 금련산역 6번 출구에서 등산로 입구로 연결된다. 여담으로 금련산역은 광안역보다 광안리해수욕장 해변가에도 더 가깝기도 하다. 바다을 모두 커버하는 역인 셈.

이 산 밑으로 황령터널이 통과한다. 정확히는 황령산 아래를 지나가지만 금련산도 황령산 바로 옆에 붙은 산이니 비슷하다고 할 수 있겠다.

마을버스연제구 2번연제6번, 남구1번이, 시내버스38번583번이 간다. 다 등산로 앞으로 간다.

그 밖에도 번영로를 구성하는 광안터널수영터널이 이 산 아래를 비집고 통과한다.

3. 관련 문서



[1] 대한불교조계종 14교구 본사 범어사의 말사로 부산 최초의 사찰로 알려져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