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670000"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rowcolor=#670000> 초대 | 제2대 | 제3대 | 제4대 |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
<rowcolor=#670000> 제5대 | 제6대 | 제7대 | 제8대 | |
경종 | 성종 | 목종 | 현종 | |
<rowcolor=#670000> 제9대 | 제10대 | 제11대 | 제12대 | |
덕종 | 정종(靖宗) | 문종 | 순종 | |
<rowcolor=#670000> 제13대 | 제14대 | 제15대 | 제16대 | |
선종 | 헌종 | 숙종 | 예종 | |
<rowcolor=#670000> 제17대 | 제18대 | 제19대 | 제20대 | |
인종 | 의종 | 명종 | 신종 | |
<rowcolor=#670000> 제21대 | 제22대 | 제23대 | 제24대 | |
희종 | 강종 | 고종 | 원종 | |
<rowcolor=#670000> 제25대 | 제26대 | 제27대 | 제28대 |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
<rowcolor=#670000> 제29대 | 제30대 | 제31대 | 제32대 | |
충목왕 | 충정왕 | 공민왕 | 우왕 | |
<rowcolor=#670000> 제33대 | 제34대 | |||
창왕 | 공양왕 | |||
}}}}}}}}}}}} |
헌종 관련 틀 | ||||||||||||||||||||||||||||||||||||||||||||||||||||||||||||||||||||||||||||||||||||||||||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제14대 대왕 헌종 | 獻宗 | |||
은릉으로 추정되는 동구릉 전경. | |||
출생 | 1084년 8월 7일[1] (음력 선종 원년 6월 27일) | ||
고려 개경 개성부 연화궁 (現 경기도 개성시) | |||
즉위 | 1094년 6월 23일[A] (음력 선종 11년 5월 2일) | ||
고려 개경 개성부 정궁 중광전 (現 경기도 개성시 만월동) | |||
사망 | 1097년 4월 10일[B] (향년 12세) (음력 숙종 2년 윤2월 19일) | ||
고려 개경 개성부 흥성궁 (現 경기도 개성시) | |||
능묘 | 은릉(隱陵) | ||
재위기간 | 고려 왕태자 | ||
1093년 4월 5일[4] ~ 1094년 6월 23일[A] (음력 선종 10년 3월 1일 ~ 선종 11년 5월 2일) | |||
고려 제14대 대왕 | |||
1094년 6월 23일[A] ~ 1095년 11월 12일[C] (음력 선종 11년 5월 2일 ~ 헌종 원년 10월 7일) | |||
고려 태상왕 | |||
1095년 11월 12일[C] ~ 1097년 4월 10일[B] (음력 헌종 원년 10월 7일 ~ 숙종 2년 윤2월 19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 개성 왕씨 | |
휘 | 욱(昱) | ||
부모 | 부왕 선종 모후 사숙왕후 | ||
형제자매 | 부왕 기준 4남 3녀 중 장남 모후 기준 1남 2녀 중 장남 | ||
종교 | 불교 | ||
작위 | 왕태자(王太子) → 대왕(大王) → 태상왕(太上王) | ||
묘호 | 헌종(獻宗) | ||
시호 | 회상대왕(懷殤大王) → 정비공상대왕(定比恭殤大王)[10] | }}}}}}}}} |
[clearfix]
1. 개요
고려의 제14대 대왕.휘는 욱(昱). 시호는 처음 숙종(제15대) 대에는 '회상대왕'(懷殤大王)이었으나 예종(제16대) 대에 묘호를 '헌종'(獻宗)이라 하고, 시호를 '공상대왕'(恭殤大王)으로 고쳤다. 이후 고종(제23대) 대에 '정비'(定比)를 추가해 존호는 '헌종 정비공상대왕'(獻宗 定比恭殤大王)이 되었다.
어린 나이에 보위에 올랐으나 숙부의 찬탈로 일찍 태상왕으로 물러났으며, 만 12세라는 어린 나이에 붕어한 비운의 군주이다.
2. 생애
《고려사》<헌종 세가> -총서-에 따르자면, 헌종은 무척 영특했지만 어린 소년에 병약한 것이 흠이었다고 한다. 어릴 때부터 지독한 소갈이라는 병에 걸린 상태였기 때문에 병석 생활이 잦았다. 나이상으로 보아 1형 당뇨병에 시달린 듯하다.
때문에 그가 건강하게 오래 살 것이라 기대하는 신하들이나 종친들은 별로 없었다. 고려에서 형제 상속은 일반적인 일이었기에 신하들이나 종친들 모두 선종이 병약하고 어린 그의 아들 왕욱 대신에 동생들 중 그의 바로 아래 동생이면서 왕재로서 두각을 나타낸 계림공 왕희를 후계자로 지명할 것으로 여기고 있었다.
하지만 선종은 병약한 아들인 왕욱을 후계자로 삼았고, 결국 그가 11세의 어린 나이에 즉위하는데 명군 소리를 듣는 선종이 이런 결정을 한 이유는 알 수 없다. 《고려사》에 따르면 유조를 받들어 헌종이 보위에 올랐다고 하며, 자신의 붕어 1년 전 그를 궁으로 불러들인 뒤 '태자첨사'를 붙여주며 왕위를 승계하려는 모습을 보였다. 이유가 어찌되었던 간에 선종은 이미 자신의 장남에게 보위를 물려주기 위해 사전 작업까지 하는 모습을 보였다.
보위를 이은 헌종은 나이가 너무 어렸던데다가 몸까지 병약한 탓에 모후인 사숙태후가 수렴청정을 하게 된다. 사숙태후는 중화전 전각을 받고, 영녕부 부서를 배치받았으며 군국정사는 모두 중화전에서 처리되었다. 하지만 헌종의 병세는 좋아지기는커녕 날로 악화되어만 갔고 명색이 한 나라의 군주라는 사람 몸 상태가 이 지경이니 나라가 조용할리가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중신이자 외삼촌인 이자의가 자신의 누이동생이자 선종의 후궁인 원신궁주의 아들로 헌종의 이복동생이 되는 한산후 왕윤을 옹립하려는 계획을 추진했다. 이자의는 사숙태후의 사촌으로 당시 인주 이씨 가문의 수장 노릇을 하고 있었고, 중추원사에 황숙이라는 지위로 왕도 어쩌지 못할 권력을 가졌으며, 사병을 양성할 정도로 재력도 상당했다.
한편 그는 헌종이 병환으로 시름하고 있는 틈을 타 반란이 일어날 수 있으니 옥새는 한산후 왕윤이 관리해야 한다고 주장했는데, 나중에 숙종이 되는 선종의 아우이면서 헌종에게는 숙부가 되는 계림공 왕희의 야심을 대놓고 지목한 것이었다.
이는 맹인인 헌종의 누나 수안택주가 점을 쳐서 예지한 결과에 따른 것이었다. 수안택주는 태어날 때부터 앞을 보지 못했지만 대신 점술에 조예가 깊어서 점을 쳤는데 외숙부 이자의가 아닌 숙부 계림공 왕희를 경계해야 한다는 점괘를 보게 되었다. 그래서 결과를 어머니 사숙태후에게 얘기했지만 어머니는 계림공의 야심 자체를 모르고 노골적으로 활동하는 이자의의 동태에만 신경을 곤두 세웠다.
결국 조정의 흐름은 종친 대표인 계림공과 외척 대표인 이자의의 대립 구도로 돌아가기 시작했으며, 병석에 누운 11세의 어린 왕은 이제 안중에도 없었다. 그리고 계림공은 손쉽게 이자의 일파를 조정에서 몰아내버렸고, 이후 두려움에 떨던 헌종은 숙부에게 양위해야 했다.
1095년 이자의가 반란을 일으키자 계림공이 그를 죽이고 일파를 제거했다. 이자의가 선수를 쳤다는 부분에서는 의견이 엇갈리는데 계림공이 자신의 일파를 동원해 먼저 이자의 일파를 숙청하고, 헌종을 퇴위시켰다는 친위 쿠데타라고 보는 추측도 있다.
조정은 계림공 일파가 장악하게 되었고, 섭정하던 사숙태후와 헌종은 아무 실권도 가지지 못했다. 《고려사》의 기록을 보면 이자의가 제거된 후, 지속적으로 숙종의 세력이었던 소태보, 왕국모 등이 2~3번씩 특진을 받아 핵심 관직에 올랐고, 계림공 본인 역시 중서성의 우두머리인 중서령 지위에 오르는 등의 기록이 나타난다. 실권을 잡고 있던 계림공이 왕명을 빌미로 자신의 측근들을 요직으로 승진시켜 우대하는 한편 보위에 오르기 전 권력을 확고히 하기 위한 사전 작업을 진행한 것으로 보인다.
결국 3개월 후 두려움에 떨던 헌종은 자신이 앓고 있던 병을 명분으로 계림공에게 양위하였고, 계림공이 고려의 제15대 임금으로 즉위하니 숙종이었다. 그 후 왕위에서 물러나 상왕이 된 헌종은 부왕 선종이 왕자 시절에 거처했던 흥성궁에서 살기 시작했다. 아래는 헌종의 양위 조서.
朕承 先考遺業 謬卽大位.
年當幼冲 體亦病羸,
不能 撫邦國之權 塞士民之望.
陰謀橫議 交起於權門,
逆賊亂臣 屢干于內寢.
斯皆凉德所致 常念爲君之難.
竊見大叔鷄林公 曆數在躬 神人假手.
咨! 爾有衆 奉纂丕圖.
朕當 退居後宮, 獲全殘命.
짐은 선고(先考) 유업(遺業)을 받들어 외람되게도 대위(大位)에 올랐다.
나이가 어리고 몸도 허약하니 방국(邦國)의 권한(權)을 옳게 통솔하지 못하였고 사민(士民)들의 기대에 보답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음모와 책동이 권문(權門)에서 걷잡을 수 없게 일어나며 역적난신(逆賊亂臣)들이 대궐을 자주 침범하였다.
이는 다 내가 덕이 없는 까닭이다. 임금 노릇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늘 생각하고 있었다.
내 생각에는 나의 숙부 계림공에게로 대세가 기울어져서 신인들이 모두 그를 돕고 있는 듯하다.
아! 너희들은 그를 받들어 국가의 위업을 맡게 하라. 짐은 뒷궁궐에 물러앉아 남은 생명이나 유지하겠다.
《고려사》 <헌종 세가>에 실린 양위 조서.
年當幼冲 體亦病羸,
不能 撫邦國之權 塞士民之望.
陰謀橫議 交起於權門,
逆賊亂臣 屢干于內寢.
斯皆凉德所致 常念爲君之難.
竊見大叔鷄林公 曆數在躬 神人假手.
咨! 爾有衆 奉纂丕圖.
朕當 退居後宮, 獲全殘命.
짐은 선고(先考) 유업(遺業)을 받들어 외람되게도 대위(大位)에 올랐다.
나이가 어리고 몸도 허약하니 방국(邦國)의 권한(權)을 옳게 통솔하지 못하였고 사민(士民)들의 기대에 보답하지 못하였다.
그리하여 음모와 책동이 권문(權門)에서 걷잡을 수 없게 일어나며 역적난신(逆賊亂臣)들이 대궐을 자주 침범하였다.
이는 다 내가 덕이 없는 까닭이다. 임금 노릇하기가 어렵다는 것을 늘 생각하고 있었다.
내 생각에는 나의 숙부 계림공에게로 대세가 기울어져서 신인들이 모두 그를 돕고 있는 듯하다.
아! 너희들은 그를 받들어 국가의 위업을 맡게 하라. 짐은 뒷궁궐에 물러앉아 남은 생명이나 유지하겠다.
《고려사》 <헌종 세가>에 실린 양위 조서.
조서를 고치지도 않고 양위식에서 쓴 것으로 보아 헌종은 이때 이미 껍데기 왕이었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肅宗 二年 閏二月 甲辰 薨于興盛宮 壽十四 在位一年。
숙종 2년 윤2월 갑진일에 흥성궁(興盛宮)에서 죽으니 향년 14세이고 1년 동안 재위했다.
《고려사》 <헌종 세가>
숙종 2년 윤2월 갑진일에 흥성궁(興盛宮)에서 죽으니 향년 14세이고 1년 동안 재위했다.
《고려사》 <헌종 세가>
그는 상왕으로 물러난지 2년 후인 1097년에 만 13세의 어린 나이로 붕어했는데 소갈증으로 인한 소아당뇨 합병증이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붕어하기 직전까지도 병석에 누워 있었다. 실권도 없었거니와 밀려난 왕이라 그런지 묘호도 없었으며, 숙종은 '회상대왕'이라는 시호만 올렸을 뿐이었다. 이후 사촌인 예종이 즉위하면서 원년(1105) 11월 '헌종'(獻宗)이라는 묘호를 올려 태묘에 제사지냈다.
묘호인 '헌'(獻)은 시법상으로는
'聰明叡哲 通知之聰 知質有聖 有所通而無蔽'
라 하여 '총명하며 성인의 자질이 있어 통하는 바가 있고 폐단이 없었던 왕'이라는 뜻이긴 하다. 그러나 글자가 "바치다"라는 뜻을 지닌데다가 이 시호나 묘호를 받은 사람들이 대개 후한의 마지막 황제인 헌제나 서하가 몰락할 때의 황제인 헌종[11]처럼 재위 기간의 끝이 좋지 않은 이들 뿐이라 시호로는 많이 쓰이지 않는 글자다.《동문선》 29권에는 고종(제23대)이 시호 '정비'(定比)를 추가하면서 올린 <책문>이 남아 있는데 마치 헌종이 원해서 양위한 것처럼 썼다.
3. 가족 관계
아버지는 선종 사효대왕, 어머니는 사숙왕후이다.형제로는 남동생 한산후 왕윤과 이름이 실전된 두 명의 형제가 있다. 두 명은 선종의 후궁 원신궁주의 아들이고, 한 명은 모후가 누구인지 조차 알 수 없다. 자매로는 경화왕후와 수안택주와 이름이 실전된 공주가 있었다. 경화왕후는 선종의 제1비 정신현비의 딸이며, 수안택주와 이름이 실전된 공주와는 동복이다.
치세 기간이 짧은데다 병약했고, 어려서 붕어했기 때문에 《고려사》에 혼인에 대한 기록은 없다. 다만 《진주 소씨 족보》에 따르면 소계령(蘇繼笭)의 딸인 회순왕후 소씨(懷純王后 蘇氏)와 혼인했다고 하는데, 소씨 족보 외에는 어떠한 사서에도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당대에 소씨 성의 명문가가 다른 사서에서 발견되지도 않는데다, 조선 시대의 다른 가문들이 그랬던 것처럼 가문의 명망을 높여볼 목적으로 소씨 문중이 족보를 편찬하는 과정에서 조작을 했을 가능성이 높다. 게다가 헌종의 시호에 포함된 '상'(殤)이라는 글자부터가 “일찍 죽었다”[12]는 뜻이라 혼인 전에 사망했을 가능성이 높다. 《고려사절요》에 따르면 14세에 승하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4. 평가
여말선초 시기의 인물이자 한국 성리학의 대표적인 시조로 여겨지는 이제현은 헌종을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 이 내용은 본인의 저서에 적힌 내용이었는데 《고려사》에도 논평이 수록되었다.우(禹)임금이 왕위를 아들에게 전한 것은 후세에 벌어질 일을 염려해서였다. 유복자를 왕으로 세워놓고 죽은 임금의 옷만 걸어두고서 조회를 받아도 천하가 안정을 유지한 것은 애초 장자에게 왕위를 세습한다는 원칙이 정해져 있었기 때문이다.
현종(顯宗)의 세 아들은 형제가 서로 왕위를 전하여 순종(順宗)까지 이르렀으나 순종이 상을 치르면서 과도히 애통해하다가 일찍 세상을 뜨는 바람에 후사를 두지 못해 왕위는 선종(宣宗)에게 이어졌다. 선종이 별세하자 태자가 뒤를 이었는데 이 분이 헌종(獻宗)이었다. 형제끼리 왕위를 서로 전하는 것에 익숙해져 버린 나라사람들이, ‘선종은 동생이 다섯이나 있는데도 어린 아들을 왕으로 세운다.’고 하며 옳은 일을 잘못된 것으로 돌리니 어찌 이다지도 생각이 깊지 못했단 말인가?
만약 주공(周公) 같은 종친이나 국가의 중책을 맡길 만한 신하에게 나라 일을 맡겨 정치를 보좌케 하지 못한다면 나라의 운명이 위태롭고 어지러워질 것은 불을 보듯 빤한 일이다. 후세에 불행하게도 젖먹이 어린 아이에게 대권을 물려주는 이가 있다면 이 일로 경계를 삼아야 할 것이다.
《고려사》 권10, <세가>10 -헌종- '이제현의 논평'
현종(顯宗)의 세 아들은 형제가 서로 왕위를 전하여 순종(順宗)까지 이르렀으나 순종이 상을 치르면서 과도히 애통해하다가 일찍 세상을 뜨는 바람에 후사를 두지 못해 왕위는 선종(宣宗)에게 이어졌다. 선종이 별세하자 태자가 뒤를 이었는데 이 분이 헌종(獻宗)이었다. 형제끼리 왕위를 서로 전하는 것에 익숙해져 버린 나라사람들이, ‘선종은 동생이 다섯이나 있는데도 어린 아들을 왕으로 세운다.’고 하며 옳은 일을 잘못된 것으로 돌리니 어찌 이다지도 생각이 깊지 못했단 말인가?
만약 주공(周公) 같은 종친이나 국가의 중책을 맡길 만한 신하에게 나라 일을 맡겨 정치를 보좌케 하지 못한다면 나라의 운명이 위태롭고 어지러워질 것은 불을 보듯 빤한 일이다. 후세에 불행하게도 젖먹이 어린 아이에게 대권을 물려주는 이가 있다면 이 일로 경계를 삼아야 할 것이다.
《고려사》 권10, <세가>10 -헌종- '이제현의 논평'
논평을 한 이제현은 고려 말 고려가 원나라 부마국 시대일 때 당대 최고의 유학자로 손꼽히던 사람이다. 당시 신진사대부를 비롯한 고려의 젊은 학자들에게 중국의 성리학이 전파되면서 지식인들 사이에 주자의 성리학을 숭상하는 분위기가 강해졌고, 이는 이후 유교 국가인 조선 건국에 결정적 영향을 끼쳤다. 그런데 고려 중기에는 유교가 그리 절대시되지 않았는지, 당시에는 부자 상속이더라도 어린 임금의 제위 등극을 달갑게 여기지 않았다는 기록을 볼 수 있다.
성리학 이론에 충실했던 이제현은 당연히 이에 대해 비판적 의견을 보여주고 있다. '장자 계승의 원칙'은 하나라 시절부터 내려온 원칙임에도 당대 고려 사람들이 어린 헌종의 즉위를 달갑지 아니했고, 이는 생각이 깊지 못한 것이라고 적고 있다. 재밌는 점은 후대의 계유정난을 예상이라도 한듯, 후일 비슷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계해야 한다고 적은 것이다. '주공 같은 종친'이 필요하다고 했는데 헌종-숙종의 뒤를 이어 비슷한 길을 걸었던 세조도 처음엔 이를 표방하긴 했으나, 결국 최후는 그러지 않았다.[13]
헌종의 선배로 백제 제7대 왕인 사반왕과 신라 제40대 왕 애장왕이 있다. 그래도 헌종은 애장왕보다는 나은데 애장왕은 쿠데타를 일으킨 숙부 김언승에 의해 왕궁에서 대놓고 시해당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점이 하나 있다면 애장왕은 헌종(폐위 기준 12세)과는 달리 성년(폐위 기준 22세)까지 왕위에 있었다는 것이다. 조선 단종에게는 선배가 되는데 살면서 겪은 사건도 단종과 80% 이상 같다. 사실상 고려 시대에 대한 기록이 거의 없어 사람들에게는 거의 알려지지 않은 비운의 군주이다. 신하들 중에서 헌종 편에 선 인물은 아무도 없었던 것을 보면 목숨을 바친 신하라도 있었던 단종보다도 몇 배는 더 불쌍한 왕이었다. 차이점은 알아서 죽어줬기 때문에 고려 숙종의 입장에서는 조선 세조의 사례처럼 직접 조카 단종의 목숨을 거두는 수고를 덜 수 있었던 셈이었다. 이미 숙종은 정통성과 지지 기반을 확보했고, 헌종 지지 세력도 없었기 때문에 굳이 헌종을 죽이는 무리수를 둘 필요도 없었다.[14]
5. 기타
- 《동국통감》의 평은 순종, 선종과 함께 재위기간이 짧은 왕으로 특별한 평가는 없다.
- 고려사에 기록된 헌종의 표문에 따르면 소갈로 인해 속은 타들어가고 몸이 바짝 말랐으며 두 다리는 약해지고 두 눈은 흐릿해졌고, 걷는 것도 힘들었다는 등 당뇨병의 증세를 나타내는 기록이 보인다.[15]
6. 관련 유물
7. 같이 보기
8. 둘러보기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高麗史)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세가(世家)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1·2권 | 3권 | 4·5권 | |||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 성종 · 목종 | 현종 · 덕종 | ||||
<rowcolor=#670000,#fedc89> 6권 | 7·8·9권 | 10권 | ||||
정종靖宗 | 문종 · 순종 | 선종 · 헌종 | ||||
<rowcolor=#670000,#fedc89> 11·12·13·14권 | 15·16·17·18·19·20권 | 21권 | ||||
숙종 · 예종 | 인종 ·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
<rowcolor=#670000,#fedc89> 22·23·24권 | 25·26·27권 | 28·29·30·31·32권 | ||||
고종 | 원종 | 충렬왕 | ||||
<rowcolor=#670000,#fedc89> 33·34·35권 | 36권 | 37권 |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충목왕 · 충정왕 | ||||
<rowcolor=#670000,#fedc89> 38·39·40·41·42·43·44권 | 133·134·135·136·137권열전 | 45·46권 | ||||
공민왕 | 우왕 · 창왕 | 공양왕 |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 지(志) ] |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
[ 표(表) ] | ||||||
86·87권 「연표(年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88권 「후비1(后妃一)」 89권 「후비2(后妃二)」 | ||||
90권 「종실1(宗室一)」 91권 「종실2(宗室二)」·「공주(公主)」 | ||||||
태조 | ||||||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 ||||||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성무부인 소생 공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혜종 | 정종 | 광종 | |||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 ||||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 경춘원군 · (문성왕후 소생 공주) |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 ||||
경종 | 성종 | 목종 | ||||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
-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 | }}} | |||
현종 |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 ||||||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 ||||||
덕종 | 정종 | |||||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 |||||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 |||||
문종 | ||||||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 ||||||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 ||||||
순종 | 선종 | |||||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
-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 |||||
숙종 | 예종 | |||||
명의태후 유씨 |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 |||||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승덕공주 · 흥경공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인종 | 의종 | 명종 | |||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 광정태후 김씨 | ||||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 }}} | |||
신종 | 희종 | |||||
선정태후 김씨 | 성평왕후 임씨 | |||||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종 | 고종 | 원종 | |||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 안혜태후 유씨 |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 ||||
수령궁주 |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 ||||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 세자 왕감 · 덕흥군 | 용산원자 | ||||
충혜왕 | 공민왕 | 공양왕 | ||||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 휘의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 순비 노씨 | ||||
석기 · 장녕공주 | -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92권 | |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 ||||||
93권 | ||||||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 ||||||
94권 | ||||||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 ||||||
95권 | ||||||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 ||||||
96권 | ||||||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 ||||||
97권 | ||||||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 ||||||
98권 | ||||||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 ||||||
99권 | ||||||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 ||||||
100권 | ||||||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 ||||||
101권 | ||||||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 ||||||
102권 | ||||||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 ||||||
<rowcolor=#670000,#fedc89> 103권 | 104권 | |||||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 |||||
105권 | ||||||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 ||||||
106권 | ||||||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 ||||||
<rowcolor=#670000,#fedc89> 107권 | 108권 | |||||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 |||||
109권 | ||||||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 ||||||
<rowcolor=#670000,#fedc89> 110권 | 111권 | |||||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 |||||
112권 | ||||||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 ||||||
113권 | ||||||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 ||||||
114권 | ||||||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115권 | 116권 | 117권 | |||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 ||||
<rowcolor=#670000,#fedc89> 118권 | 119권 | 120권 | ||||
조준 | 정도전 |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 }}} | |||
121권 | ||||||
<rowcolor=#670000,#fedc89> 「양리(良吏)」 | 「충의(忠義)」 | |||||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 |||||
<rowcolor=#670000,#fedc89> 「효우(孝友)」 | 「열녀(烈女)」 | |||||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 |||||
122권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방기(方技)」 | 「환자(宦者)」 | 「혹리(酷吏)」 | |||
김위제 · 이녕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 송길유 · 심우경 | }}} | |||
123권 「폐행1(嬖幸一)」 | ||||||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 ||||||
124권 「폐행2(嬖幸二)」 | ||||||
윤수 윤길보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 ||||||
125권 「간신1(姦臣一)」 | ||||||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 ||||||
126권 「간신2(姦臣二)」 | ||||||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127권 「반역1(叛逆一)」 | 128권 「반역2(叛逆二)」 | 129권 「반역3(叛逆三)」 | |||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정지상) |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 }}} | |||
<rowcolor=#670000,#fedc89> 130권 「반역4(叛逆四)」 | 131권 「반역5(叛逆五)」 | |||||
한순 다지 · 홍복원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 |||||
132권 「반역6(叛逆六)」 | ||||||
신돈 | ||||||
133·134·135·136·137권 | ||||||
신우(우왕) (신창(창왕)) | }}}}}}}}}}}} |
[1] 율리우스력 8월 1일[A] 율리우스력 6월 17일[B] 율리우스력 4월 4일[4] 율리우스력 3월 30일[A] [A] [C] 율리우스력 11월 6일[C] [B] [10] 《고려사》 <헌종 세가> 마지막 조 기준.[11] 서하 말제 이전의 군주로 칭기즈 칸에게 처절하게 밟힌 군주.[12] 정확히는 성인이 되기 전에 죽었다는 뜻이다.[13] 사실 주공도 하도 오래 전 인물이라 그가 진짜 《사기》의 기록대로 섭정하고, 순순히 정말 물러났는지도 확실치 않으며, 당시는 봉건제라 주공은 섭정에서 물러나도 자기 영지에서 따로 왕 노릇을 할 수 있었다. 이는 세조를 포함한 많은 이들이 유교에서 말하는 '주공'을 본받겠다고 그리 외쳤건만 정작 지킨 이들이 적은 이유다.[14] 물론 일부에서는 숙종이 몰래 헌종을 사사했을 것이라는 주장도 하지만 일단 공식적인 사인은 병사였다.[15] 숙종에게 정무를 맡긴다는 헌종의 표문을 요에 보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