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왕녀 [[틀:고려의 왕녀/태조 ~ 문종|{{{#!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ackground: #670000; border-radius: 3px; font-size: .8em"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9D00, #FFB200 20%, #FFB200 80%, #FF9D00);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문원대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대종(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안종(고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B200; font-size: .7em" [[문원대왕|{{{#!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670000; font-size: .7em"]]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4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d537; font-size: .7em" | |||
}}}}}}}}}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고려 현종의 제1왕후 원정왕후 | 元貞王后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6bd0e, #f9d537 20%, #f9d537 80%, #e6bd0e); color: #670000; min-height: 31px" {{{#!folding [ 기타 직위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고려 성종의 왕녀 왕녀 김씨 | 王女 金氏 | }}}}}}}}} | |
출생 | 990년대 추정 | ||
고려 개경 현덕궁 추정 (現 경기도 개성시) | |||
사망 | 1018년 4월 29일 (향년 미상) | ||
고려 개경 현덕궁 (現 경기도 개성시) | |||
능묘 | 화릉(和陵) | ||
재위기간 | 고려의 왕녀 | ||
연대 미상 ~ 1009년 6월 16일 | |||
고려 제1왕후 | |||
1009년 6월 16일 ~ 1018년 4월 29일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9d537><colcolor=#670000> 본관 | 부계 개성 왕씨 모계 선주 김씨 | |
부모 | 부왕 성종 모후 문화왕후 | ||
형제자매 | 부왕 기준 2녀 중 장녀 모후 기준 외동딸 | ||
배우자 | 현종 | ||
자녀 | 1명 (조졸 추정) | ||
종교 | 불교 | ||
작호 | 왕녀(王女) → 왕후(王后) | ||
궁호 | 현덕궁(玄德宮) | ||
존호 | 현덕왕후(玄德王后) | ||
시호 | 의혜원정왕후(懿惠元貞王后) | }}}}}}}}} |
[clearfix]
1. 개요
고려 제8대 현종의 제1왕후. 현종의 시호인 원(元)문대왕과 같은 원(元) 자 돌림이다.제6대 성종과 문화왕후의 딸이며, 현종의 5촌 조카이자 외사촌이다. 현종의 제2왕후인 원화왕후[1]와는 이복자매였으며, 제5왕후 원용왕후와는 친사촌 관계였다.[2] 원정왕후는 어머니 문화왕후의 본관을 따랐으며, 어머니의 궁궐이었던 현덕궁(玄德宮)을 물려받아 살아있을 때에는 현덕왕후라는 존호로 불렸다.
2. 생애
현종의 첫 번째 아내로 자신의 이복누이인 원화왕후와 함께 제2차 여요전쟁 당시 거란군을 피해 몽진하는 등 온갖 고초를 겪었는데 제2차 여요전쟁 때 임신 중이었다는 기록이 있으나 자녀에 대한 기록은 없다. 몽진 도중 유산을 했거나 출산한 뒤 얼마되지 않아 요절했을 것으로 보인다. 당시엔 영아사망률 자체도 높았지만, 무엇보다 제2차 여요전쟁 당시 현종의 피난이 단순히 거란군만 피해 내려간 것이 아니라 지방 호족들의 멸시와 하대, 이간질이나 암살 시도 같은 위험에 노출됐기 때문에 원정왕후가 겪은 고초는 결코 가볍지 않았다.이후 1018년 4월 제3차 여요전쟁의 전운이 감돌던 시기에 현덕궁에서 죽었다. 원정왕후의 출생 년도는 미상이나 남편 현종의 당시 연령이 만 26세였고 당시의 조혼 풍습을 감안하면 사망 당시 원정왕후의 나이는 현종과 비슷한 20대, 많이 잡아도 30세 전후일 것이기에 젊은 나이로 사망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 사후 큰 예우를 받아 홀로 현화사에 초상화가 걸리게 되었다.
이복누이인 원화왕후도 왕수(王秀)라는 아들을 낳았으나 <종실 열전>에는 누락되어 있어 원정왕후의 자녀 역시 누락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만약 정상적으로 출생을 했다면 1011년생이다. 현종 21년인 1030년 2월에 사망해 '효혜'(孝惠)라는 시호를 받은 적경궁주(積慶宮主)라는 인물이 있는데 현종의 다른 왕녀들이 받은 시호와 같은 '효'(孝)자 돌림이라 원정왕후의 기록되지 않은 자녀일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고려사》의 잦은 중복과 오류를 고려해 본다면 1030년 7월에 사망한 원화왕후 소생의 적경공주(積慶公主)일 가능성도 배제하지 못한다.
3. 가족관계
본인 | 부모 | 조부모 | 증조부모 |
원정왕후 | 성종 | 대종 | |
태조 | |||
신정왕후 | |||
선의왕후 | |||
태조 | |||
정덕왕후 | |||
문화왕후 | |||
김원숭 | |||
김광의 | |||
화의군대부인 김씨 | |||
화의군대부인 왕씨 | |||
4. 대중매체
- 1973년 KBS 일일 사극드라마 <강감찬>에서는 필름이 남아있지 않아[3] 자세한 것은 알 수 없지만, 당시 발행된 신문의 편성표에 따르면 목종의 비로 아기를 잉태했다는 소문이 있다고 되어있는데 영상을 확인할 길이 없어 드라마상에서 어떻게 진행되었는지 알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