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평장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 <colcolor=#373a3c,#ddd> [내의성] 평장사 |
최언위 | ||
문벌귀족기 (981~1170) | [내사문하성] 평장사 | |
최승로 서희 최량 왕융 한인경 유방헌 위수여 진적 유진 최사위 최사위 김심언 진적 이예균 왕동영 최항 최항 강감찬 강감찬 유방 장영 최항 채충순 유방 이공 이공 서눌 서눌 류소 이단 이단 이단 황보유의 이단 류소 황보유의 박충숙 유징필 황주량 황주량 최충 최제안 황보영 이작충 최충 황보영 김영기 김원충 김원충 이자연 이자연 왕총지 김정준 박성걸 김정준 김원정 | ||
[중서문하성] 평장사 | ||
김원정 최유선 임종일 김의진 왕무숭 이정 문정 김약진 이정공 최석 이정공 김양감 최석 김양감 류홍 왕석 김행겸 류홍 최사제 정유산 이안 소태보 소태보 이자위 김상기 류석 김상기 임개 최사추 김선석 황영 최사추 위계정 김선석 임간 임간 이오 이오 위계정 오수증 최홍사 최홍사 이오 윤관 김경용 임의 임의 김경용 오연총 허경 오연총 이위 임간 허경 이자겸 김연 이자겸 김연 조중장 강증 김연 오수증 조중장 김준 임유문 김준 한안인 이자량 김고 임유문 최홍재 김약온 김약온 척준경 척준경 이수 이수 박승중 척준경 김부일 김향 최홍재 최사전 김향 문공인 최자성 최자성 김부식 이준양 임원애 최유 임원준 이자덕 최유 이중 이중 최진 최진 한유충 왕충 임원숙 이인실 이인실 고조기 김영관 최유청 문공원 유필 최관 유필 김영석 최자영 최윤의 이지무 양원준 최함 최유청 박순충 김영부 이지무 최유칭 김영윤 허홍재 허홍재 | ||
무신정권 (1170~1270) | 임극충 서공 임규 양숙 정중부 윤인첨 윤인첨 한취 이광진 기탁성 민영모 송유인 최충렬 이공승 문극겸 한문준 최세보 이의민 박순필 이혁유 임민비 이광정 조영인 기홍수 임유 최당 최당 우술유 기홍수 이문충 최선 임유 기홍수 김준 차약송 최충헌 최충헌 김봉모 노효돈 이극서 조충 류광식 이연수 김의원 최보돈 최보순 왕규 김취려 최홍윤 금의 이규보 이자성 채송년 최린 기윤숙 김창 최자 김태서 류소 최자 김기손 송순 김기손 김기손 이세재 김기손 이세재 이장용 김순 최온 김지대 류경 | |
원 간섭기 (1270~1356) | 류경 김전 채정 김방경 김방경 원부 장길 유천우 황보기 | |
(도)첨의찬성사·도첨의중호 | ||
유천우 류경 원부 박항 송송례 홍자번 홍자번 한강 한강 조인규 인후 강수형 박구 신사전 홍문계 김련 정가신 강수사 송분 인후 정가신 인후 김혼 차신 송분 한희유 정인경 최유엄 한희유 김지숙 최유엄 임익 이덕손 최수황 류비 김혼 차신 채모 김부윤 김혼 안향 최유엄 류비 오윤부 이지저 민훤 정해 왕유소 설영임 조윤통 류비 이혼 김흔 최충소 이혼 김심 김문연 인후 김심 류청신 이진 류청신 배정 박의 권부 이호 권단 홍선 설영임 설경성 민종유 정지연 최비일 오형 권한공 최성지 김사원 이설 김이용 김이 조연수 오잠 오잠 박허중 오잠 박허중 조련 허유전 박전지 윤보 이호 민종유 송영 권준 김이 한악 임중연 전영보 원충 정방길 강융 임중연 전영보 임자송 원충 전언 채홍철 임중연 조적 채하중 민상정 조위 안문개 홍빈 김인연 정천기 오계유 강윤성 윤환 김륜 권겸 박충좌 유방세 김영후 강윤성 전사의 손수경 안축 윤계종 이군해 류돈 이군해 윤신계 손홍량 윤안숙 염제신 허백 윤신계 이곡 류탁 김인호 조일신 조익청 전윤장 윤시우 김자 류탁 정을보 조유 홍언박 김승택 홍언박 류탁 이공수 강윤충 원호 기륜 강순룡 박새안불화 홍언박 윤환 김경직 김인호 김보 최천택 박수년 허백 황석기 강윤충 권적 | ||
여말선초 (1356~1392) | [중서문하성] 평장사·평장정사 | |
류탁 허백 황석기 김용 황석기 김용 전보문 김일봉 김승택 이승경 정자후 이겸 안우 이공수 김용 경천흥 류탁 정세운 정세운 이방실 | ||
도첨의찬성사 | ||
유인우 김용 이공수 경천흥 황상 이성서 송경 안우경 최영 이인복 이구수 이인복 송경 안우경 최영 이구수 김보 이춘부 이인임 권적 이성서 윤택 안우상 우제 | ||
문하찬성사 | ||
한방신 황상 안우경 최영 강인유 안사기 목인길 지용기 정몽주 지용기 정몽주 배극렴 설장수 조준 권중화 조준 류만수 권중화 윤호 성석린 | ||
고려 검교첨의정승(檢校僉議政丞) 임해군(臨海君) 문정공(文定公) 이진 李瑱 | |
<colbgcolor=#fedc89><colcolor=#670000> 출생 | 1244년 |
사망 | 1321년 |
시호 | 문정(文定) |
봉호 | 임해군(臨海君) |
본관 | 경주 이씨 |
자 | 온고(溫古) |
호 | 동암(東菴) |
[clearfix]
1. 개요
고려 후기에 검교첨의정승, 첨의찬성사, 상의회의도감사, 정당문학 등을 역임한 문신. 삼한공신 이금서(李金書)의 13대손으로, 문하평리 증 상서좌복야 열헌공(悅軒公) 이핵(李翮)의 차남이다. 경주 이씨 익재공파의 파조 문하시중 이제현(李齊賢)의 아버지이다.2. 생애
1264년(원종 5) 국자감시에 장원하였고, 1297년(충렬왕 23) 우사의대부[1], 1298년(충선왕 즉위년) 2월 문한학사[2], 동년 5월 사림학사 시우산기상시[3], 동년 7월 좌승지 비서윤 지병조사 사림학사[4], 1303년(충렬왕 29) 전법판서[5], 1304년(충렬왕 30) 경사교수도감사[6], 1307년(충렬왕 33) 3월 판위위시사 권수밀직부사[7], 동년 8월 정당문학[8]을 거쳐 찬성사[9]를 지냈다. 1314년(충숙왕 1) 상의회의도감사[10], 검교첨의정승[11]을 지냈다.우리나라 성리학의 시조 안향(安珦)의 문인인 이진[12], 권부[13], 우탁[14], 백이정[15], 이조년[16], 신천[17] 등을 6군자라고 한다. 안향 - 6군자 - 이제현 - 이색 - 정몽주로 고려 성리학의 계보가 이어진다.
3. 가족관계
- 부: 이핵(李翮) - 문하평리 증 상서좌복야
- 형: 이인정(李仁挺) - 평리성암공파(評理誠菴公派)의 파조
- 조카: 이부(李榑) - 우사보, 내서사인
- 조카: 이규(李樛) - 우헌납
- 본인: 이진(李瑱) - 검교첨의정승
- 장남: 이관(李琯) - 이암공파(怡庵公派)의 파조. 가락군.
- 차남: 이제현(李齊賢, 1287~1367) - 익재공파(益齋公派)의 파조. 도첨의정승, 우정승, 문하시중.
- 손자: 이서종(李瑞種) - 봉상대부 종부시부령 증 문하시랑
- 증손: 이보림(李寶林, ?~1385) - 정당문학, 밀직부사
- 손자: 이달존(李達尊, 1313~1340) - 보문각 직제학, 전리총랑
- 증손: 이덕림(李德林, 1330~?) - 판서
- 증손: 이수림(李壽林, 1332~1369) - 이부·군부판서
- 손자: 이창로(李彰路) - 봉익대부 개성부윤
- 손녀: 혜비 이씨(惠妃 李氏) - 공민왕 제2비
- 3남: 이지정(李之正) - 호군공파(護軍公派)의 파조
- 동생: 이세기(李世基) - 보문각 대제학, 검교정승
[1] 右司議大夫.[2] 文翰學士.[3] 詞林學士 試右散騎常侍.[4] 左承旨 秘書尹 知兵曹事 詞林學士.[5] 典法判書.[6] 經史敎授都監使. 안향의 유학 진흥책의 일환으로 밀직부사로 치사(致仕)한 이산(李㦃)과 함께 선발되었다.[7] 判衛尉寺事 權授密直副使.[8] 政堂文學.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종2품 재상직(宰相職).[9] 贊成事.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정2품 재상직(宰相職).[10] 商議會議都監事. 약칭은 상의(商議). 재추(宰樞), 즉 재신(宰臣)과 추신(樞臣)들의 합좌기구인 회의도감(會議都監)의 상의사(商議事)로 재추에 준하였다. 초기에는 재추회의에 참여하되 문서 서명권이 없었으나 이후 문서 서명권까지 갖게 되어 재추와 구별이 없게 되었다.[11] 檢校僉議政丞. 검교(檢校)는 실직(實職)의 정원으로 말미암아 승진하지 못한 관료에게 승진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산직(散職) 또는 고위 관료의 공훈에 대한 포상을 위한 훈직(勳職)을 의미한다. 첨의정승(僉議政丞)은 고려 최고의 의사결정기관인 첨의부의 정승으로 종1품 재상직(宰相職)이다. 문하시중이 관제 변화에 따라 첨의중찬, 도첨의시중, 첨의정승 등으로 불렸다.[12] 검교첨의정승. 고려말 대학자이자 문하시중을 지낸 이제현의 아버지.[13] 첨의정승. 이제현의 장인.[14] 성균좨주.[15] 첨의평리 상의회의도감사. 이제현의 스승이자 사돈.[16] 정당문학. 고려말 권신 이인임의 조부.[17] 판밀직사사.[18] 안동권씨 성화보에는 검교시중(檢校侍中)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