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문하시중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 <colcolor=#373a3c,#ddd> 광평시중 |
김행도 | 박질영 | 류덕영 | 공훤 | 왕철 | 권직 | ||
문벌귀족기 (981~1170) | 문하시중 | |
최승로 | 박양유 | 한언공 | 김승조 | 최숙 | 류윤부 | 위수여 | 유진 | 최사위 | 유방 | 강감찬 | 서눌 | 황주량 | 최제안 | 최충 | 이자연 | 김원충 | 왕총지 | 김원정 | 박성걸 | 최유선 | 이정 | 문정 | 이정공 | 소태보 | 최사추 | 위계정 | 윤관 | 김경용 | 이위 | 김인존 | 이공수 | 김부식 | 김약온 | 임원후 | 왕충 | ||
무신정권 (1170~1270) | 정중부 | 두경승 | 이의민 | 조영인 | 최충헌 | 이항 | 이연수 | 김취려 | 최종준 | 최항 | 김준 | 이장용 | |
원 간섭기 (1270~1356) | 김방경 | |
(도)첨의중찬 · 도첨의시중 · 도첨의정승 | ||
김방경 | 류경 | 송송례 | 원부 | 허공 | 김방경 | 홍자번 | 조인규 | 홍군상 | 홍자번 | 홍규 | 홍자번 | 조인규 | 정가신 | 조인규 | 김혼 | 송분 | 홍자번 | 설공검 | 염승익 | 송분 | 한희유 | 한강 | 한희유 | 송분 | 홍자번 | 한희유 | 채인규 | 한희유 | 안향 | 한희유 | 한희유 | 김혼 | 정인경 | 최유엄 | 김지숙 | 최유엄 | 최유엄 | 이혼 | 류청신 | 홍규 | 류청신 | 권부 | 김이용 | 김이용 | 민지 | 배정 | 김태현 | 윤보 | 최유엄 | 김심 | 민지 | 김이 | 김이 | 윤석 | 정방길 | 윤석 | 김심 | 한악 | 윤석 | 강융 | 권한공 | 조적 | 한악 | 윤석 | 채하중 | 이능간 | 기철 | 채하중 | 한종유 | 왕후 | 김륜 | 김영후 | 김영후 | 인승단 | 노책 | 김영돈 | 왕후 | 노책 | 노책 | 손수경 | 손수경 | 이암 | 이제현 | 손기 | 송서 | 조일신 | 정천기 | 송서 | 조일신 | 이제현 | 조익청 | 홍빈 | 조익청 | 인승단 | 채하중 | 염제신 | 염제신 | 류탁 | 채하중 | 채하중 | 이능간 | 이제현 | 홍언박 | 홍언박 | 윤환 | ||
여말선초 (1356~1392) | 문하시중 · 도첨의정승 · 도첨의시중 | |
홍언박 | 윤환 | 이제현 | 염제신 | 염제신 | 이암 | 홍언박 | 류탁 | 염제신 | 류탁 | 류탁 | 김일봉 | 김일봉 | 경복흥 | 경복흥 | 류탁 | 경복흥 | 김보 | 이춘부 | 이인임 | 이춘부 | 이인임 | 윤환 | 경복흥 | 염제신 | 경복흥 | 이인임 | 윤환 | 이인임 | 홍영통 | 이자송 | 조민수 | 임견미 | 최영 | 이성림 | 임견미 | 이성림 | 이인임 | 이성림 | 반익순 | 반익순 | 이성림 | 최영 | 이성계 | 최영 | 우현보 | 조민수 | 이성계 | 이색 | 이성계 | 이림 | 심덕부 | 이성계 | 정몽주 | 이성계 | 이성계 | 심덕부 | 배극렴 | 이성계 | ||
고려 국왕 · 무신정권 집권자 고구려 (좌우보 · 국상 · 대막리지) · 백제 (좌우보 · 상좌평) 신라 (대보 · 시중 · 병부령 · 상대등) · 발해 대내상 · 태봉 시중 · 고려 문하시중 조선 영의정 · 대한제국 내각총리대신 · 임시정부 부수반 · 대한민국 국무총리 | }}} }}}}}}}}} |
고려 평장사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670000,#fedc89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fedc89,#670000> 고려 초기 (918~981) | <colcolor=#373a3c,#ddd> [내의성] 평장사 |
조맹 최언위 | ||
문벌귀족기 (981~1170) | [내사문하성] 평장사 | |
최승로 서희 최량 왕융 한인경 유방헌 위수여 진적 유진 최사위 최사위 김심언 진적 이예균 왕동영 최항 최항 강감찬 강감찬 유방 장영 최항 채충순 유방 이공 이공 서눌 서눌 류소 이단 이단 이단 황보유의 이단 류소 황보유의 박충숙 유징필 황주량 황주량 최충 최제안 황보영 이작충 최충 황보영 김영기 김원충 김원충 이자연 이자연 왕총지 김정준 박성걸 김정준 김원정 | ||
[중서문하성] 평장사 | ||
김원정 최유선 임종일 김의진 왕무숭 이정 문정 김약진 이정공 최석 이정공 김양감 최석 김양감 류홍 왕석 김행겸 류홍 최사제 정유산 이안 소태보 소태보 이자위 김상기 류석 김상기 임개 최사추 김선석 황영 최사추 위계정 김선석 임간 임간 이오 이오 위계정 오수증 최홍사 최홍사 이오 윤관 김경용 임의 임의 김경용 오연총 허경 오연총 이위 임간 허경 이자겸 김연 이자겸 김연 조중장 강증 김연 오수증 조중장 김준 임유문 김준 한안인 이자량 김고 임유문 최홍재 김약온 김약온 척준경 척준경 이수 이수 박승중 척준경 김부일 김향 최홍재 최사전 김향 문공인 최자성 최자성 김부식 이준양 임원애 최유 임원준 이자덕 최유 이중 이중 최진 최진 한유충 왕충 임원숙 이인실 이인실 고조기 김영관 최유청 문공원 유필 최관 유필 김영석 최자영 최윤의 이지무 양원준 최함 최유청 박순충 김영부 이지무 최유칭 김영윤 허홍재 허홍재 | ||
무신정권 (1170~1270) | 임극충 서공 임규 양숙 정중부 윤인첨 윤인첨 한취 이광진 기탁성 민영모 송유인 최충렬 이공승 문극겸 한문준 최세보 이의민 박순필 이혁유 임민비 이광정 조영인 기홍수 임유 최당 최당 우술유 기홍수 이문충 최선 임유 기홍수 김준 차약송 최충헌 최충헌 김봉모 노효돈 이극서 조충 류광식 이연수 김의원 최보돈 최보순 왕규 김취려 최홍윤 금의 이규보 이자성 채송년 최린 기윤숙 김창 최자 김태서 류소 최자 김기손 송순 김기손 김기손 이세재 김기손 이세재 이장용 김순 최온 김지대 류경 | |
원 간섭기 (1270~1356) | 류경 김전 채정 김방경 김방경 원부 장길 유천우 황보기 | |
(도)첨의찬성사·도첨의중호 | ||
유천우 류경 원부 박항 송송례 홍자번 홍자번 한강 한강 조인규 인후 강수형 박구 신사전 홍문계 김련 정가신 강수사 송분 인후 정가신 인후 김혼 차신 송분 한희유 정인경 최유엄 한희유 김지숙 최유엄 임익 이덕손 최수황 류비 김혼 차신 채모 김부윤 김혼 안향 최유엄 류비 오윤부 이지저 민훤 정해 왕유소 설영임 조윤통 류비 이혼 김흔 최충소 이혼 김심 김문연 인후 김심 류청신 이진 류청신 배정 박의 권부 이호 권단 홍선 설영임 설경성 민종유 정지연 최비일 오형 권한공 최성지 김사원 이설 김이용 김이 조연수 오잠 오잠 박허중 오잠 박허중 조련 허유전 박전지 윤보 이호 민종유 송영 권준 김이 한악 임중연 전영보 원충 정방길 강융 임중연 전영보 임자송 원충 전언 채홍철 임중연 조적 채하중 민상정 조위 안문개 홍빈 김인연 정천기 오계유 강윤성 윤환 김륜 권겸 박충좌 유방세 김영후 강윤성 전사의 손수경 안축 윤계종 이군해 류돈 이군해 윤신계 손홍량 윤안숙 염제신 허백 윤신계 이곡 류탁 김인호 조일신 조익청 전윤장 윤시우 김자 류탁 정을보 조유 홍언박 김승택 홍언박 류탁 이공수 강윤충 원호 기륜 강순룡 박새안불화 홍언박 윤환 김경직 김인호 김보 최천택 박수년 허백 황석기 강윤충 권적 | ||
여말선초 (1356~1392) | [중서문하성] 평장사·평장정사 | |
류탁 허백 황석기 김용 황석기 김용 전보문 김일봉 김승택 이승경 정자후 이겸 안우 이공수 김용 경천흥 류탁 정세운 정세운 이방실 | ||
도첨의찬성사 | ||
유인우 김용 이공수 경천흥 황상 이성서 송경 안우경 최영 이인복 이구수 이인복 송경 안우경 최영 이구수 김보 이춘부 이인임 권적 이성서 윤택 안우상 우제 | ||
문하찬성사 | ||
한방신 황상 안우경 최영 강인유 안사기 목인길 지용기 정몽주 지용기 정몽주 배극렴 설장수 조준 권중화 조준 류만수 권중화 윤호 성석린 |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고려사(高麗史) | ||||||
{{{#!wiki style="margin: 0 -10px -6px; min-height: calc(1.5em + 6px); word-break: keep-all"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세가(世家)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1·2권 | 3권 | 4·5권 | |||
태조 · 혜종 · 정종定宗 · 광종 · 경종 | 성종 · 목종 | 현종 · 덕종 | ||||
<rowcolor=#670000,#fedc89> 6권 | 7·8·9권 | 10권 | ||||
정종靖宗 | 문종 · 순종 | 선종 · 헌종 | ||||
<rowcolor=#670000,#fedc89> 11·12·13·14권 | 15·16·17·18·19·20권 | 21권 | ||||
숙종 · 예종 | 인종 · 의종 · 명종 | 신종 · 희종 · 강종 | ||||
<rowcolor=#670000,#fedc89> 22·23·24권 | 25·26·27권 | 28·29·30·31·32권 | ||||
고종 | 원종 | 충렬왕 | ||||
<rowcolor=#670000,#fedc89> 33·34·35권 | 36권 | 37권 | ||||
충선왕 · 충숙왕 | 충혜왕 | 충목왕 · 충정왕 | ||||
<rowcolor=#670000,#fedc89> 38·39·40·41·42·43·44권 | 133·134·135·136·137권열전 | 45·46권 | ||||
공민왕 | 우왕 · 창왕 | 공양왕 | ||||
<colbgcolor=#fedc89,#670000><colcolor=#670000,#fedc89> [ 지(志) ] | ||||||
47·48·49권 「천문(天文)」 / 50·51·52권 「역(曆)」 / 53·54·55권 「오행(五行)」 / 56·57·58권 「지리(地理)」 / 59·60·61·62·63·64·65·66·67·68·69권 「예(禮)」 / 70·71권 「악(樂)」 / 72권 「여복(輿服)」 / 73·74·75권 「선거(選擧)」 / 76·77권 「백관(百官)」 / 78·79·80권 「식화(食貨)」 / 81·82·83권 「병(兵)」 / 84·85권 「형법(刑法)」 | ||||||
[ 표(表) ] | ||||||
86·87권 「연표(年表)」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후비·종실·공주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88권 「후비1(后妃一)」 89권 「후비2(后妃二)」 | ||||
90권 「종실1(宗室一)」 91권 「종실2(宗室二)」·「공주(公主)」 | ||||||
태조 | ||||||
신혜왕후 유씨 · 장화왕후 오씨 · 신명순성왕태후 유씨 · 신정왕태후 황보씨 · 신성왕태후 김씨 · 정덕왕후 유씨 · 헌목대부인 평씨 · 정목부인 왕씨 · 동양원부인 유씨 · 숙목부인 · 천안부원부인 임씨 · 흥복원부인 홍씨 · 후대량원부인 이씨 · 대명주원부인 왕씨 · 광주원부인 왕씨 · 소광주원부인 왕씨 · 동산원부인 박씨 · 예화부인 왕씨 · 대서원부인 김씨 · 소서원부인 김씨 · 서전원부인 · 신주원부인 강씨 · 월화원부인 · 소황주원부인 · 성무부인 박씨 · 의성부원부인 홍씨 · 월경원부인 박씨 · 몽량원부인 박씨 · 해량원부인 | ||||||
태자 왕태 · 문원대왕 왕정 · 증통국사 · 대종 왕욱 · 안종 왕욱 · 왕위군 · 인애군 · 원장태자 · 조이군 · 수명태자 · 효목태자 왕의 · 효은태자 · 원녕태자 · 효성태자 왕림주 · 효지태자 · 태자 왕직 · 광주원군 · 효제태자 · 효명태자 · 법등군 · 자리군 · 의성부원대군 · 안정숙의공주 · 흥방궁주 · 대목왕후 · 문혜왕후 · 선의왕후 · (정덕왕후 소생 공주) · 순안왕대비 · (흥복원부인 소생 공주) · (성무부인 소생 공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혜종 | 정종 | 광종 | |||
의화왕후 임씨 · 후광주원부인 왕씨 · 청주원부인 김씨 · 궁인 애이주 | 문공왕후 박씨 · 문성왕후 박씨 · 청주남원부인 김씨 | 대목왕후 황보씨 · 경화궁부인 임씨 | ||||
흥화궁군 · 태자 왕제 · 경화궁부인 · 정헌공주 · 명혜부인 | 경춘원군 · (문성왕후 소생 공주) | 효화태자 · 천추전부인 · 보화궁부인 · 문덕왕후 | ||||
경종 | 성종 | 목종 | ||||
헌숙왕후 김씨 · 헌의왕후 유씨 · 헌애왕태후 황보씨 · 헌정왕후 황보씨 · 대명궁부인 유씨 | 문덕왕후 유씨 · 문화왕후 김씨 · 연창궁부인 최씨 | 선정왕후 유씨 · 궁인 김씨 | ||||
- | 원정왕후 · 원화왕후 | - | }}} | |||
현종 | ||||||
원정왕후 김씨 · 원화왕후 최씨 · 원성태후 김씨 · 원혜태후 김씨 · 원용왕후 유씨 · 원목왕후 서씨 · 원평왕후 김씨 · 원순숙비 김씨 · 원질귀비 왕씨 · 귀비 유씨 · 궁인 한씨 · 궁인 이씨 · 궁인 박씨 | ||||||
평양공 왕기 · 검교태사 왕충 · 효정공주 · 천수전주 · 인평왕후 · 경숙공주 · 효사왕후 · 효경공주 · 경성왕후 · 아지 | ||||||
덕종 | 정종 | |||||
경성왕후 김씨 · 경목현비 왕씨 · 효사왕후 김씨 · 이씨 · 유씨 | 용신왕후 한씨 · 용의왕후 한씨 · 용목왕후 이씨 · 용절덕비 김씨 · 연창궁주 노씨 | |||||
상회공주 · (유씨 소생 공주) | 애상군 왕방 · 낙랑후 왕경 · 개성후 왕개 · 도애공주 | |||||
문종 | ||||||
인평왕후 김씨 · 인예순덕태후 이씨 · 인경현비 이씨 · 인절현비 이씨 · 인목덕비 김씨 | ||||||
대각국사 왕후 · 상안공 왕수 · 도생승통 왕탱 · 금관후 왕비 · 변한후 왕음 · 낙랑후 왕침 · 총혜수좌 왕경 · 조선공 왕도 · 부여후 왕수 · 진한후 왕유 · 적경궁주 · 보령궁주 | ||||||
순종 | 선종 | |||||
정의왕후 왕씨 · 선희왕후 김씨 · 장경궁주 이씨 | 정신현비 이씨 · 사숙태후 이씨 · 원신궁주 이씨 | |||||
- | 한산후 왕윤 · 경화왕후 · (사숙태후 소생 공주) · 수안택주 | |||||
숙종 | 예종 | |||||
명의태후 유씨 | 경화왕후 이씨 · 문경태후 이씨 · 문정왕후 왕씨 · 숙비 최씨 | |||||
상당후 왕필 · 원명국사 징엄 · 대방공 왕보 · 대원공 왕효 · 제안후 왕서 · 통의후 왕교 · 대령궁주 · 흥수궁주 · 안수궁주 · 복령궁주 | 승덕공주 · 흥경공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인종 | 의종 | 명종 | |||
폐비 이씨 · 폐비 이씨 · 공예태후 임씨 · 선평왕후 김씨 | 장경왕후 김씨 · 장선왕후 최씨 | 광정태후 김씨 | ||||
대령후 왕경 · 원경국사 충희 · 승경궁주 · 덕녕궁주 · 창락궁주 · 영화궁주 | 효령태자 왕기 · 경덕궁주 · 안정궁주 · 화순궁주 | 왕선사 · 왕홍기 · 왕홍추 · 왕홍규 · 왕홍균 · 왕홍각 · 왕홍이 · 연희궁주 · 수안궁주 | }}} | |||
신종 | 희종 | |||||
선정태후 김씨 | 성평왕후 임씨 | |||||
양양공 왕서 · 효회공주 · 경녕궁주 | 창원공 왕지 · 시령후 왕위 · 경원공 왕조 · 대선사 경지 · 충명국사 각응 · 안혜태후 · 영창공주 · 덕창궁주 · 가순궁주 · 정희궁주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강종 | 고종 | 원종 | |||
사평왕후 이씨 · 원덕태후 유씨 | 안혜태후 유씨 | 순경태후 김씨 · 경창궁주 유씨 | ||||
수령궁주 | 안경공 왕창 · 수흥궁주 | 시양후 왕이 · 순안공 왕종 · 경안궁주 · 함녕궁주 | ||||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 ||||
제국대장공주 · 정신부주 · 숙창원비 김씨 | 계국대장공주 · 의비 · 정비 · 순화원비 홍씨 · 조비 · 순비 허씨 | 복국장공주 · 조국장공주 · 경화공주 · 명덕태후 홍씨 · 수비 권씨 | ||||
강양공 왕자 · 소군 왕서 · 정녕원비 · 명순원비 | 세자 왕감 · 덕흥군 | 용산원자 | ||||
충혜왕 | 공민왕 | 공양왕 | ||||
덕녕공주 · 희비 윤씨 · 화비 홍씨 · 은천옹주 임씨 | 휘의노국대장공주 · 혜비 이씨 · 익비 한씨 · 정비 안씨 · 신비 염씨 | 순비 노씨 | ||||
석기 · 장녕공주 | - | 세자 왕석 · 숙녕궁주 · 정신궁주 · 경화궁주 | }}}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folding [ 열전(列傳)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92권 | |
홍유 배현경 신숭겸 복지겸 · 유금필 · 최응 · 최언위 (최광윤 최행귀 최광원) · 왕유 왕자지 · 박술희 · 최지몽 · 왕식렴 · 박수경 · 왕순식 이총언 견금 윤선 흥달 선필 태평 · 공직 · 박영규 | ||||||
93권 | ||||||
서필 · 최승로 최제안 · 쌍기 · 최량 · 한언공 · 류방헌 · 김심언 · 최항 · 채충순 | ||||||
94권 | ||||||
서희 서눌 서공 · 유진 · 강감찬 · 최사위 · 황보유의 장연우 · 양규 (양대춘) · 지채문 지녹연 · 하공진 · 김은부 · 주저 · 강민첨 · 곽원 · 왕가도 · 김맹 · 류소 · 윤징고 · 위수여 · 전공지 · 이주헌 · 이주좌 · 안소광 · 조지린 | ||||||
95권 | ||||||
최충 최유선 최사제 최약 최윤의 · 이자연 이자량 이자인 이혁유 이자현 이자덕 이예 이공수 이지저 이오 이광진 · 박인량 박경인 박경백 박경산 · 황주량 · 류신 · 왕총지 · 위계정 · 소태보 왕국모 고의화 · 문정 · 정문 · 김원정 · 손관 · 최사량 · 김선석 · 임의 임원후 임극충 임극정 임부 임유 임익 임항 · 김한충 | ||||||
96권 | ||||||
최사추 · 김인존 · 윤관 윤언순 (윤언식 윤언민 윤언이) 윤인첨 윤세유 윤상계 · 오연총 | ||||||
97권 | ||||||
김부일 김부의 · 고령신 · 김황원 이궤 · 곽상 곽여 · 유재 호종단 신안지 · 김경용 (김인규) · 최홍사 · 한안인 · 이영 · 한충 · 임개 유녹숭 · 김준 · 류인저 · 강증 · 허경 · 문관 · 정항 정서 · 김극검 · 김약온 | ||||||
98권 | ||||||
김부식 김돈중 김군수 · 정습명 · 고조기 · 김정순 · 정극영 · 박정유 · 최사전 · 김향 · 최자성 · 김진 · 임완 · 최기우 · 김수자 · 최유 · 이숙 이위 · 허재 | ||||||
99권 | ||||||
양원준 · 최유청 최당 최린 최선 최종준 최온 최문본 최평 최옹 · 이공승 · 신숙 · 한문준 · 문극겸 · 류공권 류택 · 조영인 · 왕세경 · 이순우 · 임민비 · 최척경 · 함유일 · 염신약 · 이지명 · 유응규 유자량 · 현덕수 · 최균 최보순 최윤개 · 김거공 · 한유한 | ||||||
100권 | ||||||
두경승 · 우학유 · 노영순 · 조위총 · 방서란 · 박제검 · 기탁성 · 홍중방 · 경대승 · 진준 · 최세보 · 박순필 · 이영진 · 백임지 · 이준창 · 최충렬 · 정세유 정숙첨 정안 · 정국검 이유성 · 정방우 · 정언진 | ||||||
101권 | ||||||
민영모 민식 · 송저 · 김광중 김체 · 안유발 · 최여해 · 최우청 · 왕규 · 차약송 기홍수 · 정극온 · 류광식 · 권경중 · 김태서 김약선 김미 · 문한경 권세후 백돈명 · 노인수 · 김의원 | ||||||
102권 | ||||||
금의 · 이규보 이익배 · 유승단 · 김인경 김승무 · 이공로 · 이인로 오세재 조통 임춘 · 조문발 · 이순목 이수 · 김창 · 송국첨 · 최자 하천단 · 채송년 채정蔡楨 · 손변 · 권수평 · 이순효 장순량 · 송언기 · 김수강 · 김지대 · 이장용 | ||||||
<rowcolor=#670000,#fedc89> 103권 | 104권 | |||||
조충 조변 · 김취려 김문연 김변 · 이적 · 채정蔡靖 · 박서 송문주 · 김경손 김혼 · 최춘명 · 김희제 · 이자성 · 김윤후 · 김응덕 | 김방경 김구용 김제안 김흔 김순 김영돈 김영후 김사형 박구 · 한희유 · 나유 나익희 · 원충갑 · 김주정 김심 김종연 김석견 | |||||
105권 | ||||||
류경 류승 류돈 류만수 · 허공 허종 허관 허금 허부 허유 · 홍자번 홍승서 홍영통 · 정가신 · 안향 안우기 안목 · 설공검 · 유천우 · 조인규 조서 조연 조덕유 조린 조연수 조위 | ||||||
106권 | ||||||
백문절 백이정 · 박항 · 곽예 · 주열 · 이주 이행검 · 장일 · 김구 · 이승휴 이연종 · 김훤 김개물 · 정해 정오 정포 정공권 · 조간 · 심양 · 추적 이인정 채우 · 김유성 곽린 · 윤해 윤택 · 이영 · 엄수안 · 안전 · 최수황 · 박유 · 홍규 홍융 | ||||||
<rowcolor=#670000,#fedc89> 107권 | 108권 | |||||
한강 한악 한수 한방신 · 원부 원충 원호 원선지 원송수 · 김련 · 김부윤 · 정인경 · 권단 권부 권준 권렴 권용 권적 (권고) 권화 권근 · 민지 민상정 | 민종유 민적 민사평 민변 민제 · 김지숙 김인연 · 정선 · 이혼 · 최성지 최문도 · 채홍철 · 김이 · 이인기 · 홍빈 · 조익청 · 배정지 · 손수경 | |||||
109권 | ||||||
박전지 · 오형 · 이진 · 윤신걸 박효수 · 허유전 · 박충좌 · 윤선좌 · 이조년 이승경 · 이곡 · 우탁 · 안축 안종원 안보 · 최해 · 장항 · 이성 · 조렴 왕백 · 이백겸 · 신군평 | ||||||
<rowcolor=#670000,#fedc89> 110권 | 111권 | |||||
최유엄 · 김태현 김광재 · 김륜 김경직 김희조 김승구 · 왕후 왕중귀 · 한종유 · 이제현 이달존 이보림 · 이능간 | 염제신 · 이암 이강 · 홍언박 홍사우 류연 · 류탁 · 경복흥 · 김속명 · 이자송 · 조돈 조인옥 · 최재 · 송천봉 · 홍중선 · 김도 · 임박 · 문익점 | |||||
112권 | ||||||
이공수 · 류숙 류실 · 이인복 · 백문보 · 전녹생 · 이존오 · 이달충 · 설손 설장수 · 한복 · 이무방 · 정습인 · 하윤원 · 박상충 · 박의중 · 조운흘 | ||||||
113권 | ||||||
안우 김득배 이방실 · 정세운 · 안우경 · 최영 · 정지 · 윤가관 · 김장수 | ||||||
114권 | ||||||
윤환 · 이성서 · 이수산 이념 · 이승로 · 황상 · 지용수 · 나세 · 김선치 · 전이도 · 구영검 · 오인택 · 김보 · 변광수 · 정지상 · 임군보 · 나흥유 · 목인길 · 김유 · 양백연 · 지용기 · 하을지 · 우인열 · 문달한 · 김주 · 최운해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115권 | 116권 | 117권 | |||
이색 · 우현보 · 이숭인 | 심덕부 · 이림 · 왕강 · 박위 · 이두란 · 남은 | 정몽주 · 김진양 · 강회백 · 이첨 · 성석린 | ||||
<rowcolor=#670000,#fedc89> 118권 | 119권 | 120권 | ||||
조준 | 정도전 | 윤소종 윤회종 · 오사충 · 김자수 | }}} | |||
121권 | ||||||
<rowcolor=#670000,#fedc89> 「양리(良吏)」 | 「충의(忠義)」 | |||||
유석 · 왕해 · 김지석 · 최석 · 정운경 | 홍관 · 고보준 · 정의 · 문대 · 조효립 · 정문감 | |||||
<rowcolor=#670000,#fedc89> 「효우(孝友)」 | 「열녀(烈女)」 | |||||
문충 · 석주 · 최루백 · 위초 · 서릉 · 김천 · 황수 · 정유 · 조희참 · 정씨 · 손유 · 권거의 노준공 · 신씨 · 윤구생 · 반전 · 군만 | 유씨 · (현문혁의 처) · (홍의의 처) · (안천검의 처) · (강화부 세 여인) · 최씨 · 배씨 · 문씨 · 김씨 · 안씨 · 이씨 · (권금의 처) | |||||
122권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방기(方技)」 | 「환자(宦者)」 | 「혹리(酷吏)」 | |||
김위제 · 이녕 (이광필) · 이상로 · 오윤부 · 설경성 | 정함 · 백선연 · 최세연 · 이숙 · 임백안독고사 · 방신우 · 이대순 · 우산절 · 고용보 · 김현 · 안도치 · 신소봉 · 이득분 · 김사행 | 송길유 · 심우경 | }}} | |||
123권 「폐행1(嬖幸一)」 | ||||||
유행간 · 영의 · 김존중 · 정세신 · 백승현 · 강윤소 · 염승익 · 이분희 이습 · 권의 채모 이덕손 · 임정기 (민훤) · 주인원 · 이지저 고종수 김유 · 인후 인승단 · 장순룡 차신 노영 · 조윤통 | ||||||
124권 「폐행2(嬖幸二)」 | ||||||
윤수 윤길보 (송화) · 이정 김문비 이병 · 원경 · 박의 · 박경량 · 전영보 · 강윤충 · 배전 · 민환 · 윤석 · 손기 · 정방길 임중연 강융 · 신청 박청 · 왕삼석 양재 조신경 최노성 윤현 안규 · 최안도 이의풍 김지경 이인길 · 노영서 박양연 송명리 · 김흥경 · 반복해 · 신원필 | ||||||
125권 「간신1(姦臣一)」 | ||||||
문공인 · 박승중 · 최홍재 · 최유칭 · 박훤 · 송분 · 왕유소 · 송방영 · 오잠 석주 · 김원상 · 류청신 · 권한공 · 채하중 · 신예 전숙몽 · 이춘부 · 김원명 · 김횡 · 지윤 | ||||||
126권 「간신2(姦臣二)」 | ||||||
이인임 · 임견미 · 염흥방 · 조민수 · 변안열 · 왕안덕 | ||||||
{{{#!wiki style="margin: -16px -11px" | <rowcolor=#670000,#fedc89> 127권 「반역1(叛逆一)」 | 128권 「반역2(叛逆二)」 | 129권 「반역3(叛逆三)」 | |||
환선길 · 이흔암 · 왕규 · 김치양 · 강조 · 이자의 · 이자겸 · 척준경 · 묘청 (정지상) | 정중부 이광정 송유인 · 이의방 · 이의민 · 정방의 · 조원정 석린 | 최충헌 최이 최항 최의 | }}} | |||
<rowcolor=#670000,#fedc89> 130권 「반역4(叛逆四)」 | 131권 「반역5(叛逆五)」 | |||||
한순 다지 · 홍복원 (홍차구 홍군상 홍선 장위 류종) · 이현 · 조숙창 · 조휘 · 김준 · 임연 · 조이 김유 이추 · 한홍보 · 우정 · 최탄 · 배중손 | 조적 · 조일신 · 김용 · 기철 · 노책 · 권겸 · 최유 · 홍륜 · 김문현 · 김의 | |||||
132권 「반역6(叛逆六)」 | ||||||
신돈 | ||||||
133·134·135·136·137권 | ||||||
신우(우왕) (신창(창왕)) | }}}}}}}}}}}} |
李藏用
(1201 ~ 1272)
1. 개요
무신정권 후반, 원 간섭기 초기 고려의 재상이다. 자는 현보(顯甫), 자호(自號, 스스로 지은 호)는 낙헌(樂軒), 개명 전 이름은 인기(仁祺)다.2. 생애
본관은 인천으로 이자연의 6세손이다. 고종 7년(1220) 과거에 급제하고 서경사록으로 등용된다. 이후 교서랑 겸 직서관을 시작으로 관직이 여러 번 바뀌어 국자대사성 추밀원승지에 이른다.고종 40년(1253) 대사성으로 국자시를 주관해 김중위, 김명 등 98명을 뽑았다. 고종 43년(1256) 이보, 이세재 등과 함께 추밀원부사가 되었고 고종 45년(1258) 종2품의 정당문학으로 승진한다. 원종이 즉위한 뒤에는 원종 원년(1260) 류경과 함께 과거를 주관해 위문경 등 33명을 급제시킨다. 재상으로 참지정사, 수태위 감수국사 판호부사, 중서시랑평장사 등을 역임하고 원종 4년(1263) 수태부 판병부사 태자태부에 이른다.
2.1. 원종 호종
원종 5년(1264)[1] 왕을 따라 원나라에 입조한다. 원 세조 쿠빌라이가 원종에게 직접 입조하라는 조서를 내리니 여러 재상이 쿠빌라이의 뜻을 의심하며 친조(親朝)는 불가능하다고 진언한다. 그러나 이장용은 홀로왕께서 알현하시면 곧 화친이요, 거부하시면 곧 불화를 낳을 것입니다.[2]
라며 원종에게 친조를 권한다. 무신 김준이 "부름에 응했다가 만일 변고가 있으면 어찌 할 것인가?"[3]라고 반박하자
나는 반드시 무사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만약에 변고가 있다면 처자식이 죽임을 당해도 감수하겠습니다.[4]
라고 말한다. 결국 왕의 친조가 결정되고 이장용은 원종을 호종해 원나라에 간다. 고려사의 이장용 열전에는 영녕공 왕준, 사승상(史丞相), 한림학사 왕학과의 일화가 남아있다.
청화후 왕경의 아들로 승화후의 동생인 영녕공은 당시 원나라에 인질로 있었는데, 고려에 1령(領)당 1천명의 병사가 총 38령이 있으니 본인을 고려에 돌려보내주면 그 병력을 원나라 조정을 위해 사용하겠다고 했다. 사승상이 이장용을 불러 영녕공이 말한 바를 물으니 그것은 태조 시기의 이야기로 전쟁과 흉년으로 많이 줄었다고 답한다. 또 영녕공과 함께 고려에 보내주면 직접 점검하고 영녕공이 맞으면 자기 목을, 자기가 맞으면 영녕공의 목을 벨 것을 청하니 옆에 있던 영녕공은 아무 말도 하지 못했다.
이어서 승상은 호구의 수로 고려의 군세를 헤야려 보려고 고려 주·군의 호구가 몇이나 되는지를 이장용에게 묻는다. 이장용이 모르겠다고 답하니 승상은 그래도 일국의 재상인데 인구가 몇인지도 모르냐며 망신을 주려 한다. 이장용은 역으로 창문을 가리키며 창문의 창살이 모두 몇 개인지 아냐고 묻는다. 승상이 모른다고 하니 이장용은
우리나라 주·현 호구의 수는 관련 부처가 관장하는 것인데, 비록 재상이라 할지라도 어찌 모두를 알 수 있겠습니까?[5]
라고 답해 승상의 입을 다물게 한다.
또 한림학사 왕학이 이장용을 자기 집 연회에 초대했다. 가인이 중국어로 오언(吳彦)의 시를 두 곡 부르는데 이장용이 작은 소리로 음절에 맞는 시를 읊는다. 왕학은 통역을 거치지도 않고 곡조를 해석한 이장용이 음율에 조예가 깊은 것을 알고 존경한다.
이는 황제의 귀에도 들어갔고 황제는 이장용을 '아만멸아리간(阿蠻滅兒里干)', 즉 화술의 달인(#)이라고 불렀다. 만나는 여러 사람들도 이장용을 '해동현인(海東賢人)'이라고 존경했으며 초상을 그려간 사람도 있었다. 고려의 여러 재상이 걱정한 것과 다르게 원종 등은 무사히 귀국했고 이장용은 호종한 공으로 '문하시랑 동중서문하평장사 경원군개국백 식읍 1천호 식실봉 1백호'에 이르고 태자태사가 더해진다.
2.2. 일본 원정 예견
원종 8년(1267) 감수국사를 겸해 신종, 희종, 강종 실록의 편찬을 감독한다. 한편 이 해에 원나라에서 병부시랑 흑적(黑的)이 사신으로 와서 일본을 초유(招諭)하게 한다. 이장용은 이를 먼저 알고 왕에게는 알리지 않은 채 흑적에게 비밀리에 장문의 글(원문)[6]을 보내 일본이 입조하지 않으면 그대로 둘 것을 권한다. 이장용은 일본의 대 몽골 강경 대응이 계속되면 고려에 큰 걱정거리가 될 것을 우려해 미리 막으려 한 것인데, 보고도 없이 따로 글을 올린 게 문제가 되어 원종은 이장용이 다른 뜻을 품지는 않았나 의심해 불고죄로 유배보내버린다. 자신을 접대하던 기거사인 반부도 불고죄로 눈앞에서 끌려나가니 사실관계를 파악한 흑적이 이장용에게서 받은 글을 돌려줌으로 이장용 등은 죄를 면하게 된다.2.3. 2차 입조
원종 9년(1268) 문하시중에 임명된다. 당시 고려의 수도는 개경이 아닌 강도였는데 이장용은 일찍이 개경으로 환도할 것을 주장해왔다. 당시는 아직 무신 김준이 집권하던 시기로 김준 등 무리는 항쟁을 주장하며 개경으로 가기를 꺼렸다. 이장용은 대안으로 원나라(수도 대도, 여름 수도 상도)처럼 수도를 따로 둬서 여름에는 개경으로, 겨울에는 강도로 이동하자고 제안한다. 이 의견은 받아들여져서 개경에 임시 관청 출배도감(出排都監)이 설치된다. 때마침 원나라에서는 고려가 섬에서 나오겠다고 약속하고도 이를 지키지 않은 점, 내속한 나라로서 호구조사, 역참과 다루가치 설치를 이행하지 않은 점을 들며 김준과 이장용에게 보고서를 들고 오라고 독촉한다. 김준은 수도를 옮기는 작업에 바쁘다는 핑계로 나가지 않고 이장용만이 소환에 응해 또 원나라에 다녀온다.4월, 원나라에 불려간 이장용은 쿠빌라이 칸(이하 황제)으로부터 출병 독촉을 받는다. 앞서 밝혔던 출도, 호구, 역참, 다루가치 문제에 더해 4년 전 영녕공 왕준과의 3만 8천 병력 이야기를 꺼내 말문을 연다. 황제는 불응하면 침략하리라 으르면서도 친절하게 어디 먼 나라가 아니라 입조하지 않는 남송, 일본을 칠 것임을 알려준다. 원정에 쓸 것이라며 고려에서는 쌀 3~4천석을 실을 수 있는 전함 1천척도 건조하게끔 한다. 한편 성길사황제 때 하서국의 왕이 딸을 바치며 회회 정벌을 돕겠다고 해놓고 불응하니 멸망시켰다는 고사(...)를 언급하며 이장용을 협박한다.
이장용은 4년 전과 같이 전쟁과 질병으로 병력이 많이 손실됐다고 주장해봤지만 "(고려에는) 죽는 사람만 있고 태어나는 사람은 없는가?"[7], "너는 나이가 많아 잘 알텐데 말이 노망든 것 같구나?"[8]라고 면박을 주자 이장용은 "(몽골군이) 돌아간후 태어나고 자란 이들이 있긴 하나 모두 유약하여(어려서 약하며) 충군은 감당할수 없습니다."라며 여몽 전쟁이 다 끝난후 태어난 자들 뿐이라 아직 어리다고 대답하며 또 넘어간다. 이때 옆에 있던 영녕공이 또 병력 이야기를 하며 자신이라면 데려올수 있다고 하자 이장용은 황제 앞에서 논쟁하는 것은 옳지 않으니 그냥 사람을 보내 확인해보라고 또 직접 검사를 할 것을 청했고, 황제도 영녕공에게 이미 끝난 말이라며 말을 막으며 사실상 그 자리에선 이장용의 편은 들어준다. 그리고 6월에 이장용은 몽골인 오도지 등과 함께 고려에 돌아와 전함과 병력의 수를 조사하게 된다.[9]
2.4. 원종 폐위
원종 10년(1269) 6월, 이번에는 반역 모의 사건에 연루된다. 김준 다음으로 집권한 임연이 재추들을 모아 원종 폐위를 모의하는 자리에서 (원종을) 양위시키자고 발언한 것. 사서에서는 이장용이 아무도 말하지 못하는 자리에서 돌이킬 수 없다고 생각했다고 두둔한다. 원종은 폐위됐고 안경공 왕창이 새로운 왕으로 즉위한다. 당시 세자 왕심이 원나라에서 입조한 뒤 돌아오는 길이었는데, 부왕이 폐위됐다는 급보를 들은 뒤 그 길로 다시 원나라에 입조한다. 임연은 원나라가 두려워 이장용을 사신으로 보내 세자를 타일러 돌아오도록 설득하게 한다.영종 즉위년(1269) 8월 황제의 생일을 축하한다는 명분으로 원나라에 간 이장용은 황제 앞에서 임연이 원종을 폐위시킨 일 등을 상세히 고한다. 원에서는 원종을 복위시키고 입조하게 했는데, 고려로 돌아가던 이장용과 마주쳐 알현하게 된다. 이장용은 왕을 따라 요양에 갔는데 동경행성에서 원종을 불러세우고 폐위됐던 이유를 묻는다. 원종은 자기가 병이 있어 양위했던 것이라고 둘러댔는데 동경행성에서는 거짓임을 알고 연경(대도)에 갈 때 이장용과 함께 갈 것을 청한다. 왕은 이장용의 진술이 자신과는 달랐다는 것을 짐작하고 그를 믿지 못해 함께 가는 것을 꺼렸으나 이장용은 왕을 쫓아가서 다시 한 번 임연의 모반을 진술한다. 결국 원종은 몽골군의 호위를 받고 귀국하게 된다.
뒤에 몽골의 단사관 부카가 "임연 등이 왕을 폐립할 때에 함께 모의한 자가 여전히 조정에 있으니, 그 죄를 바로잡지 않고서 어찌 악을 벌한다고 할 수 있겠는가?"[10]라며 이장용을 저격하니, 이장용은 "당시 죽지 못한 것을 어찌 죄가 아니라 하겠습니까?"[11]라며 처벌을 받아들인다. 원종 12년(1271) 1월 문하시중 이장용은 참지정사 최영과 더불어 면직된다. 이듬해 원종 13년(1272) 1월 28일(음력)에 사망했으며, 충렬왕 원년(1275) 복권되어 문진(文眞)의 시호가 추증된다. 생전의 유언에 따라 화장된다.
3. 가족관계
문벌귀족 인천 이씨는 이자겸의 몰락 뒤에도 여전히 대를 이어가며 권문세족으로 요직을 차지하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부친 이경(李儆)은 청렴하고 검소하며 욕심이 적었으며 일처리를 잘해 관직이 추밀원사(樞密院使)에 이른다.슬하에 아들은 없었다. 딸은 관직이 전법판서(典法判書)에 이른 박휘(朴暉)에게 시집간다. 외손자 박전지(朴全之)는 이후 연흥군(延興君)에 봉해진다.4. 대중매체
- 2012년 MBC 드라마 《무신》에서 최우의 동생 최향의 심복 무장으로 등장한다. 최향이 최우에게 실각한 후에는 최춘명과 함께 고려 고종의 최측근이 되어 고종을 끝까지 보필하며 다음 왕인 원종까지 보필한다.
[1] 동인지문오칠에서만 계해년(1263년)이라고 한다.[2] 王覲則和親, 否則生釁[3] 旣就徵, 萬一有變, 乃何?[4] 我以爲必無事也. 脫有變, 甘受孥戮.[5] 小國州郡戶口之數, 有司存, 雖宰相, 焉能盡知?[6] 요약하면 '일본은 바다 멀리 있어 애초에 중원의 질서에 잘 따르지 않았고 예를 모른다. 이번 초유가 잘되면 몰라도 잘못되면 대국의 위엄이 손상될 것이다. 일본에서 알아서 입조할 때 받아 주면 될 것이고 아니라면 내버려 두는 것이 옳다.'는 내용이다.[7] 死者尙有, 獨無生者乎?[8] 爾乃年老諳事, 說何妄耶?[9] 덧붙여 이후 1차 일본 원정에 동원된 고려 병력이 3만 이하였던 것을 생각하면 이장용의 말이 사실이라 결국 요구치를 완화한 듯 하다.[10] 林衍廢立時, 與謀者, 尙在朝列, 不正其罪, 何以懲惡?[11] 當時不能死, 豈非罪乎?[12] 죽산 박씨(竹山 朴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