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8 15:14:28

아랍어

아라빅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고등학교 제2외국어 교과의 하위 영역에 대한 내용은 제2외국어과/아랍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현대 표준 아랍어(푸스하)에 대한 내용은 현대 표준 아랍어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구어체 아랍어(암미야)에 대한 내용은 아랍어 방언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아랍어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아프리카아시아어족
Afroasiatic Languages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2px -12px; letter-spacing: -0.5px;"
<colbgcolor=#8e912a> 셈어파 <colbgcolor=#8e912a><colcolor=#FFF> 동셈어군 아카드어 · 아시리아어 · 에블라어
북서셈어군 아람어(서신아람어 · 투로요어 · 아시리아 신아람어 · 칼데아 신아람어 · 만다야어 · 시리아어 · 사마리아 아람어 ) · 가나안어(히브리어 · 사마리아 히브리어 · 페니키아어 · 퓨니크어) · 아모리어
남서셈어군 아랍어 ( 현대 표준 아랍어 · 아랍어 방언 · 이집트 아랍어 · 하사니야어 · 차드 아랍어 · 수단 아랍어 · 주바 아랍어 · 중앙아시아 아랍어 · 마그레브 아랍어 ) · 몰타어
남부셈어군 사바어 · 하드라마우트어 · 라지흐어 · 소코트라어 · 메흐라어 · 하라시스어 · 그으즈어 · 암하라어 · 티그리냐어 · 티그레어
이집트어파 콥트어 · 고전 이집트어
베르베르어파 누미디아어 · 관체어 · 카빌어 · 리프어 · 실하어 · 샤위아어 · 투아레그어 · 제나가어 · 시와어 · 가다메스어 · 타마지트어
차드어파 하우사어 · 론어 · 볼어 · 바데어 · 부라어 · 투막어
쿠시어파 소말리어 · 오로모어 · 아파르어 · 베자어
오모어파 월라이타어
  • 표시가 된 것은 사멸된 어군 혹은 언어
}}}}}}}}}

파일:UN 엠블럼(하얀색).svg 유엔 공식 언어
파일:영국 국기.svg
English
영어
파일:프랑스 국기.svg
Français
프랑스어
파일:스페인 국기.svg
Español
스페인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Русский
러시아어
파일:중국 국기.svg
中文
중국어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العربية
아랍어
*영어: 옥스퍼드 철자법을 따른 영국식 영어.
*중국어: 간체자로 표기된 표준 중국어.
*아랍어: 현대 표준 아랍어.

파일:UNESCO_logo_white.png 유네스코 공식 언어
[[영어|
파일:영국 국기.svg

English
영어]]
[[프랑스어|
파일:프랑스 국기.svg

Français
프랑스어]]
파일:스페인 국기.svg
Español
스페인어
[[러시아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Русский
러시아어]]
파일:중국 국기.svg
中文
중국어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العربية
아랍어
[[힌디어|
파일:인도 국기.svg

हिन्दी
힌디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Português
포르투갈어
[[이탈리아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Italiano
이탈리아어]]
[[마인어|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Bahasa Indonesia
인도네시아어]]

파일:WIPO 로고.svg 세계지식재산기구 공식 언어
특허협력조약 국제 공개어
[[영어|
파일:영국 국기.svg

English
영어]]
[[프랑스어|
파일:프랑스 국기.svg

Français
프랑스어]]
파일:스페인 국기.svg
Español
스페인어
[[러시아어|
파일:러시아 국기.svg

Русский
러시아어]]
파일:중국 국기.svg
中文
중국어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العربية
아랍어
파일:독일 국기.svg
Deutsch
독일어
[[일본어|
파일:일본 국기.svg

日本語
일본어]]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Português
포르투갈어
[[한국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국어]]

파일:지구 아이콘_Black.svg 세계의 언어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argin:0 auto; text-align:left''
관련 문서: [[:분류:개별 언어]] · [[언어 관련 정보]]
<colbgcolor=#eee,#000>·종류 (위키에 문서가 등재되어 있는 언어만 가나다순 정렬) ※ 원어민 5천만 명 이상 언어는 굵게 표시함.
갈리시아어객가어 · 게일어 · 광동어 · 구자라트어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나바호어 · 네덜란드어 · 네팔어노르웨이어
덴마크어 · 독일어
라다크어 · 라오어 · 라트비아어 · 라틴어 · 라파누이어 · 러시아어로망슈어롬바르드어 · 루마니아어 · 룩셈부르크어 · 류큐어 · 르완다어 · 리구리아어 · 리투아니아어
마라티어 · 마오리어 · 마인어 · 마케도니아어 · 맨어 · 몰타어 · 몽골어 · 미얀마어 · 민어(언어)
바스크어 · 반달어 · 베네토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벵골어 · 불가리아어
상어(언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 세부아노어 · 소닝케어 · 소말리어 · 소토어 · 스반어 · 스와힐리어 · 스웨덴어 · 스코트어 · 스페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시칠리아어
아디게어 · 아람어 · 아랍어 · 아르메니아어 · 아이누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아이티 크레올어 · 아제르바이잔어 · 아파르어 · 아프리칸스어 · 알바니아어 · 암하라어 · 에스토니아어 · 영어 · 오어 · 오크어 · 요루바어 · 우르두어 · 우즈벡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이보어 · 이디시어 · 이탈리아어 · 일본어
자메이카 파트와 · 자바어 · 저지 독일어 · 조지아어 · 줄루어 · 중국어
차모로어 · 체코어 · 축치어 · 츠와나어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캄보디아어 · 코르시카어 · 코만치어 · 코사어 · 콘월어 · 콥트어
타밀어 · 타지크어 · 태국어 · 텔루구어 · 통가어 · 튀르키예어 · 티베트어
펀자브어 · 페로어 · 페르시아어 · 포르투갈어 · 폴란드어 · 풀라어 · 프랑스어 · 프랑코프로방스어 · 프리지아어피에몬테어 · 피지어 · 핀란드어 · 필리핀어
하와이어 · 하우사어 · 한국어 · 헝가리어 · 히브리어 · 힌디어
기타 관련 문서통역 · 번역 · 사전}}}}}}}}}
아랍어
اللغة العربية[1]
Arabic language
<colcolor=#fff><colbgcolor=#8e912a> 유형 굴절어
어순 서술어-주어-목적어 (VSO)
서자방향 우횡서 (오른쪽부터 가로쓰기)
문자 아랍 문자
점자 아랍 점자
주요
사용 지역
파일:아랍 연맹 깃발.svg 아랍 문화권
원어민 약 360,000,000명
계통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
서셈어군
중부셈어
남서셈어
아랍어



<colcolor=#fff><colbgcolor=#8e912a> ISO 639-1 AR
ISO 639-2 ARA
ISO 639-3 ARA[방언]
글로톨로그 arab1395

1. 개요2. 언어별 명칭3. 사용 지역4. 음소
4.1. 자음4.2. 모음4.3. 음소 배열론
5. 문자6. 문법
6.1. 형태론6.2. 어순6.3. 어휘
7. 방언표준어8. 단어9. 대한민국에서의 아랍어
9.1. 대학수학능력시험 아랍어Ⅰ 관련9.2. 고등교육9.3. 취업9.4. 한국의 아랍어 전문인력9.5. 공인 시험9.6. 관련 사이트
10. 덕질11. 구사자
11.1. 캐릭터
12. 기본 회화13. 들어보기14. 여담15. 관련 문서16. 둘러보기

[clearfix]

1. 개요

아랍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2조
이 사람은 팔레스타인 출신이며, 표준 아랍어를 구사하고 있다.[3]
ناموّيكي، شَجَرَةُ الْمَعْرِفَةِ الَّتِي تَزْرَعُونَــهَا مَعًا [4]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아랍어서아시아북아프리카를 비롯한 중동 지역에서 주로 쓰이는 언어로, 아프리카아시아어족 셈어파에 속한다. 형태론적으론 어근을 바탕으로 접사들을 끼워넣어 단어와 문장을 만드는 굴절어에 속한다.

모어 화자 수는 중국어, 영어, 스페인어, 힌디어 다음으로 많은 세계 5위이다.[5]

2. 언어별 명칭

<colbgcolor=#8e912a,#8e912a> 언어별 명칭
아랍어 اللغة العربية
히브리어 ערבית
페르시아어 زبان عربی
튀르키예어 Arapça
러시아어 Арабский язык
영어 Arabic language
포르투갈어 Língua árabe
스웨덴어 Arabiska
스페인어 Idioma árabe
프랑스어 Langue arabe
중국어 阿拉伯語 / 阿拉伯语
일본어 アラビア語
라틴어 Lingua Arabica
태국어 ภาษาอาหรับ
힌디어 अरबी भाषा
한국어 아랍어

3. 사용 지역

사용자 수가 약 2억 600만 명으로 규모 면에서 세계 5위인 언어다. UN 공용어이며, 아랍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는 아래와 같이 (소말릴란드, 서사하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등 미승인 국가들을 빼면) 25개 국가다.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 수 순으로는 영어(55개국), 프랑스어(29개국) 다음 전 세계 3위. 아랍어 다음으로 많은 언어는 스페인어(21개국).

아랍어는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 중국어, 튀르키예어, 페르시아어, 베트남어, 인도네시아어, 태국어와 함께 사용자 수가 늘어나고 있는 언어이고 인도에서도 아랍어를 배우는 사람들의 수가 늘어난다. 싱가포르에서는 2010년부터 아랍어를 의무 교육과정 중에 선택과목으로서 배울 수 있다. 이스라엘에서도 아랍계를 중심으로 아랍어가 널리 사용된다.

한편 이슬람교의 영향으로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브루나이, 파키스탄, 방글라데시, 몰디브, 이란 등 무슬림 비중이 높은 나라들은 아랍어를 주요 외국어로 가르친다. 이 중에서 이란은 아랍어를 영어를 제치고 제1외국어로 지정했다.

2018년에 들어서면서 서유럽에서도 아랍계 주민들이 늘어나면서 아랍어를 교육시키려는 움직임이 있다. 프랑스에선 아랍어를 정규과정에서 가르치자는 목소리가 나왔다. # 벨기에는 아랍계 이민자들이 많다보니 학교에서 아랍어를 가르친다.
파일:아랍어 사용국가 지도.svg
아랍어가 쓰이는 국가
아랍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국가
시리아 · 레바논 · 요르단 · 팔레스타인 · 사우디아라비아 · 예멘 · 오만 · 아랍에미리트 · 바레인 · 카타르 · 이집트 · 리비아 · 튀니지 · 모리타니 · 쿠웨이트
아랍어를 주요 공용어로 사용하는 국가
이라크 (쿠르드어) · 수단 (영어) · 차드 (프랑스어) · 에리트레아 (영어, 티그리냐어) · 지부티 (프랑스어) · 소말리아 (소말리어) · 코모로 (프랑스어, 코모로어) · 알제리 · 모로코 (베르베르어) · 서사하라 (스페인어) · 이스라엘 (히브리어)
파일:1280px-Arabic_Dispersion.svg.png
아랍어 화자 분포
다수
소수

지도에는 안나와 있거나 잘 보이진 않지만 중앙아프리카공화국 북동부, 부르키나파소 북부, 감비아에서도 소수의 아랍어가 사용되며 중앙아시아에도 소수의 아랍계 이주민 후손들은 중앙아시아 아랍어를 쓰는 사람들도 있다.

아랍권은 현대 표준 아랍어아랍어 방언(암미야)이 같이 쓰이고 있는데, 아랍어 방언은 표준 아랍어와 차이가 매우 큰 편이고 양층 언어 현상이 매우 뚜렷하다. 그래서 아랍권 국가들은 일반적으로 표준 아랍어를 학교에서 의무적으로 가르친다.

4. 음소

4.1. 자음

양순 순치 치경 후치경 경구개 연구개 구개수 인두 성문
<colbgcolor=white,#1f2023> m n
파열 b t / tˤ d / dˤ k q ʔ
파찰 d͡ʒ
마찰 f θ ð / ðˤ s / sˤ z ʃ x ɣ ħ ʕ h
접근 j
[ruby(접근, ruby=설측)] l
전동 r
[ruby(연구개, ruby=양순)]
접근 w

아랍어의 자음 중에는 연구개음, 구개수음, 인두음, 성문음이 다양하게 분화되어 있는데, 인두 마찰음 [ħ]과 성문 마찰음 [h]을 변이음 관계로서가 아니라 별개의 두 음소로 갖추고 있는 언어는 아랍어와 베르베르어파, 쿠시어파 일부를 제외하면 시리아어, 아람어, 고전 히브리어, 그으즈어, 고전 이집트어 등 주로 고대 아프리카아시아어족 계열뿐이다.[6] 세계적으로 드문 인두음화(Pharyngealized consonants, 인두를 이용한 음가)[7]도 존재한다.[8] 반면 비음은 비교적 적은 편이다.

4.2. 모음

전설 후설
U R U R
<colbgcolor=white,#1f2023> i / iː u / uː
a / aː

모음 a는 무거운 자음, 즉 خ غ ص ض ط ظ ق 뒤에선 /a/, 나머지 자음 뒤에선 /ae/로 소리나는 경향이 있다.ل ر은 예외.

현대의 많은 구어체 아랍어에서는 현대 표준 아랍어(푸스하)의 장모음 음소 3개가 5개(/aː/, /iː/, /uː/, /eː/, /oː/)로 분화하여, 단모음 3개, 장모음 5개의 체계를 갖추고 있다. 단모음에서 모음 [i], [u]의 조음 위치가 조금씩 내려가서 [e], [o]로 변화하는 경우도 빈번하다. 푸스하와의 대조를 통해 대표적인 세 암미야의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푸스하 /a/ /i/ /u/ /aː/ /iː/ /uː/
레바논 아랍어 [æ] [ɪ] [ʊ](비강세 음절)
[ɪ](강세 음절)
[ɛː](전구자음[17]과 함께)
[ɔː](기타 자음과 함께)
[eː](어말)
[iː](어말에서는 단모음화) [uː](어말에서는 단모음화)
이집트 아랍어 [æ] / [ɑ] [e](어두, 어중)
[i](어말)
[o] [æː] / [ɑː] /iː/ [iː]
/eː/ [eː]
/uː/ [uː]
/oː/ [oː]
히자즈 아랍어 [a] [ɛ](어두, 어중)
[i](어말)
[ɔ](어두, 어중)
[u](어말)
[aː] /iː/ [iː]
/ɛː/ [ɛː]
/uː/ [uː]
/ɔː/ [ɔː]

4.3. 음소 배열론

현대 표준 아랍어의 음절 구조는 (C1) - V - (C2) - (C3)로 분석 가능하다. 즉 음절 시작 자음은 1개까지, 음절 끝 자음은 2개까지 허용된다. 현대 표준 아랍어의 경우 음절 시작 자음이 없는 음절을 아랍어 화자가 발음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한편 음절 시작 자음이 2개 이상인 경우는 현대 표준 아랍어에는 외래어를 제외하면 없으나 요르단 아랍어 등 많은 방언에서는 고유어 어두 자음군이 있다.[18]

5. 문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 문자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1. 기본 문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 문자 문서
번 문단을
자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랍 문자
(어말형-어중형[19]-어두형/독립형)
명칭 발음
ا اـا 알리프 (ʾalif, أَلِف) /aː/
ب ببب 바 (bāʾ, بَاء) /b/
ت تتت 타 (tāʾ, تَاء) /t/
ث ثثث 사/타 (thāʾ, تَاء) /θ/
ج ججج 짐 (jīm, جِيم) /d͡ʒ/
ح ححح 하 (ḥāʾ, حَاء) /ħ/
خ خخخ 하 (khāʾ/ḵāʾ, خَاء) /x/
د د ـد 달 (dāl, دَال) /d/
ذ ذ ـذ 달 (dhāl/ḏāl, ذَال) /ð/
ر ر ـر 라 (rāʾ, رَاء) /r/
ز ز ـز 자이 (zāy, زَاي) /z/
س سسس 신/씬 (sīn, سِين) /s/
ش ششش 신 (shīn/šīn, شِين) /ʃ/
ص صصص 사드 (ṣād, صَاد) /sˤ/
ض ضضض 다드 (ḍād, ضَاد) /dˤ/
ط ططط 타/따 (ṭāʾ, طَاء) /tˤ/
ظ ظظظ 자/다 (ẓāʾ, ظَاء) /ðˤ/
ع ععع 아인 (ʿayn, عَيْن) /ʕ/
غ غغغ 가인 (ghayn/ḡayn, غَيْن) /ɣ/
ف ففف 파 (fāʾ, فَاء) /f/
ق ققق 카프/까프 (qāf, قَاف) /q/
ك ككك 카프 (kāf, كَاف) /k/
ل للل 람 (lām, لاَم) /l/
م ممم 밈 (mīm, مِيم) /m/
ن ننن 눈 (nūn, نُون) /n/
ه ههه 하 (hāʾ, هَاء) /h/
و و ـو 와우 (wāw, وَاو) /w/, /uː/
ي ييي 야 (yāʾ, يَاء) /j/, /iː/
ء ء 함자 (hamzah, هَمْزة) /ʔ/
ة ة ـة 타 마르부타 (tāʾ marbūṭah, تاء مربوطة) /h/, /t/, /ẗ/
ى ىىى 알리프 마크수라 (ʾalif maqṣūrah, الف مقصورة) /ā/ /y/, /ỳ/

5.2. 다중 문자 및 확장 문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 문자 문서
번 문단을
자모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아랍 문자
(어말형-어중형-어두형/독립형)
명칭 발음
أ أـأ 알리프 함자 (أَلِف هَمْزة) /ʔ/
ؤ ؤـؤ 와우 함자 (وَاو هَمْزة) /ʔ/
ئ ئئئ 야 함자 (يَاء هَمْزة) /ʔ/
آ آـآ 알리프 마드다 (أَلِف مَدَّة) /ʔaː/
ــَـ 파트하 (fat·ḥah, فَتْحَة) /a/
ــُـ 담마 (ḍammah, ضَمَّة) /u/
ــِـ 카스라 (kasrah, كَسْرَة) /i/

이상에 규정되지 않은 비표준 다중 문자 및 확장 문자가 외래어나 다양한 구어체 아랍어 표기에 사용되기도 한다. 정리하면 이하와 같다.

6. 문법

아랍어는 프랑스어, 스페인어, 러시아어와 같은 굴절어다. 문장에서 문법적인 기능은 그 기능을 나타내는 단어의 형태를 통해서 나타낸다는 것이다.

영어를 할 수 있다면 비교적 쉬운 문법은 여기나(문자나 발음에 대한 설명 제공), 여기를 참조할 것. 더 자세한 사항은 이 페이지를 참조할 수 있다.

아랍어는 일상적 글쓰기에서 단모음을 잘 표기하지 않는 관행이 유명하다. 한국인에게는 발음이 불완전하게 표기되는 비슷한 상황은 일본어가 더 친숙하다. 아랍어로 쓰인 일상적인 글에서 단모음은 일본어의 한자마냥 언어에 대한 지식을 기반으로, 문장 구조나 문맥 등으로 어떻게 읽을지를 추측해야 한다. 정확한 단모음을 읽기 어려운 상황이거나, 아주 정확하게 읽어야 할 때 일본어 후리가나마냥 타슈킬 같은 모음을 더 유추할 단서가 될 수 있는 부호를 표기하는 상황이다.

단모음이 표기되지 않는 아랍어 어절은 종종 단독으로 쓰이면 읽을 수 있는 경우의 수가 두 가지 이상일 수 있는데, 이때 문장에서 어떻게 쓰이는지를(주어인지, 목적어인지 등의 다양한 요소) 알면 정확한 발음을 알 수 있다. 모든 모음을 표기하지 않는 것이 아니라 장모음은 표기하기 때문에 글을 읽기가 극단적으로 힘들지는 않다. 일본어보다 표기되지 않은 발음이 흔하게 문법 규칙을 따라가므로 더 규칙적이고, 그래서 일본어의 한자와 달리 새로운 단어도 기존 패턴 지식으로 모음 발음의 추측이 가능한 부분이 있다.

6.1. 형태론

모든 명사, 형용사에 남성/여성형이 따로 있다. 다행히 아랍어의 남성/여성형은 다른 언어에 비해 상당히 쉽다. 여성은 거의 다 ة 가 붙는데, ة 앞의 모음은 반드시 "a"이기 때문에 회화에서 종종 생략된다.[22] 예외인 경우는 원래부터 여성인 명사(딸, 엄마 등등), 신체 중 쌍으로 된 것 등이 있다. 다만 수사에서는 반대로 ة 가 붙은 형태가 남성형이다. 그리고 أساتذة (교수들) 처럼 ة가 접미되었는데도 남성인 단어가 몇 개 있다.

정작 문제는 복수. 단수와 쌍수는 규칙이기 때문에 그다지 큰 문제가 없으나 복수는 대부분이 불규칙하다. 거기다 문장 위치에 따라서 주격, 속격, 대격으로 격변화도 일어난다. 명사+형용사, 명사+명사 등으로 조합할 때마다 성, 수, 격, 한정/비한정을 서로 같이 맞춰야 하는 것도 주의점. 그나마 다행이라면 사물 복수는 여성 단수 취급한다. 형용사도 남성 복수에서는 불규칙 변화하는 경우가 많다는 것은 덤이다. 형용사의 경우에는 명사의 뒤에 위치해서 수식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그리고 명사 + 명사로 구성된 경우에는 뒤에 오는 명사가 소유격으로 바뀐다. 명사+명사+명사 순으로 오는 경우에도 뒤에 오는 두 번째 명사와 맨 뒤의 세 번째 명사도 소유격으로 바뀐다.

아랍어는 명사가 전치사와 같이 쓰일 때 전부 소유격으로 바뀐다.

명사는 주격, 속격(소유격), 대격(목적격)으로 격변화한다. 주격과 속격의 용법은 그 용법이 몇 개 없고, 나머지 경우는 전부 대격이다. 그래서 어떤 격을 취해야 할지 모를 때에는 일단 대격을 찍어버리면 의외로 잘 맞출 수 있다.

동사 역시 기본적으로 동사에 인칭대명사가 쓱 하고 붙어서 동사 하나의 패턴이 14가지가 된다. 다행히 동사 패턴은 법칙이 있는데, 법칙을 외우지 않고 무조건 외우겠다고 덤비면, 아랍어 동사 변화는 100개가 넘는다. 능동/수동이 있고, 파생형 1~15형이 있으며[23] 강동사, 1근 약동사, 2근 약동사, 3근 약동사가 있으며, 1근 함자동사, 2근 함자동사, 3근 함자동사가 있으며, 중자음동사가 있다. 여기에 1-3근 약동사와 2-3근 약동사도 있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하는 동사 변화의 경우의 수를 대충 계산해도 109(활용형의 개수)x10(파생형)x8(1,2,3근 약동사, 1,2,3근 함자동사, 강동사, 중자음동사) = 8720... 게다가 4자음 동사라고 어근이 4개인 동사들이 있는데, 이들은 파생형이 1~4형이 있다. 공식을 외워서 적용할 방법이 아니라 '나는 닥치고 동사 변화를 그냥 달달달 외워버릴 거야'라고 생각한다면...말리지는 않겠다. 아랍어 동사 변화가 얼마나 휘황찬란한지 확인하고 싶다면 여기 참조.

그러나 일상회화(구어체)나 방언에서는 문법이 많이 단순화되고, 실제로 이용되는 시제나 변화는 대체로 정해져 있다. 예를 들자면 한가지 동사는 현재시제에서 대략 6가지의 인칭 변화를 가지는데, 실제 구어에서 일부 동사는 능동태 동명사(영어로 치면 ~ing)의 형태로 사용되어 남자/여자 2가지 변화만 신경 써도 된다. 또한 대부분 교재가 각기 다른 동사형에 따른 동사변형을 일일이 다 열거해놓는데, 실제로는 몇몇 케이스를 제외하고 대부분 비슷하게 동사 변형된다.

예)
영어: I eat, he eats, she eats...
프랑스어: je mange, ils mangent, vous mangez...
표준 아랍어: نحن نأكل، أنتم تأكلون، أنا آكل...[24]
이집트 아랍어(방언): 먹다의 동명사 형태인 aakul만으로 나(ana) 당신(inta), 우리(ihna) 등 모든 인칭을 나타낼 수 있다.

원래 아랍어 문법에서는 품사를 명사, 동사, 불변사로 구분한다. 그러나 이렇게 배우면 매우 어렵기 때문에 대체로 서양의 문법 체계에 맞추어 정리된 문법 체계로 배운 후, 중급~고급 단계에 들어가서 명사, 동사, 불변사로 구분하는 원래 아랍어 문법 체계를 다시 배우는 편이다. 예를 들어 초급~중급 단계에서 전치사라고 뭉뚱그려 배웠던 것들을 중급~고급 단계 들어가서는 명사를 다른 명사와 연결형을 이루고 이를 대격을 취하는 것인지, 처음부터 불변사인지 구분해서 배우는 식.

품사를 명사, 동사, 불변사로 구분하며 3개로 구분하는 언어는 지구상의 메이저한 언어들 중에서는 아랍어밖에 없다고 한다.

6.1.1. 어근

아랍어는 어근이라고 해서 단어의 기본형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서 'كتب' 는 '(글을, 글자 등을)쓰다' 라는 (1형)동사이자 어근이다. 그리고 كاتب(작가 - 글을 쓰는 사람)[25], كتاب(책), مكتب(책상 - 글을 쓰는 장소), مكتوب(편지, 서한) 이런식 으로 어근을 기준으로 다른 단어들이 파생되어서 단어가 형성된다. 동사도 마찬가지로 كَتَبَ(kataba)로 읽으면 ‘그는 쓴다’라는 뜻으로, 끝에 ت를 붙여 كَتَبت(katabtu)라고 읽으면 ‘나는 썼다’라는 의미로 사용되는 식이다. 그래서 모음을 표시하지 않는 아브자드의 특성을 살려서 읽을 수 있는데, 삼근자음 뒤ت가 붙으면 이건 1인칭 단수 과거형 동사로 추측할 수 있다 이런 식이다. 또한 이런 식으로 단순히 1차원적으로 파생되는 것 뿐만이 아니라 ضرب(때리다.) → ضرّاب(권투 선수)같은 연상(?)으로 인해 파생된 단어도 존재한다. 이러한 이유로 아랍어 사전의 대부분은 한국어 사전의 ㄱ, ㄴ, ㄷ, ㄹ 식 나열이 아닌 어근을 기준으로 작성되어 있기 때문에[26] 찾고 있는 단어의 어근을 파악해서 어근을 먼저 찾은 다음에 그 밑에 파생형을 찾아야 하는 색다른 방식이다.[27] 어찌 보면 한국어 사전에서 용언을 찾을 때 기본형으로 바꿔서 찾아야 하는 것과 비슷하다.

좀 더 편한 이해를 위해 실제 아-한 사전의 순서의 대략적인 예시를 보여 주자면
كتب ~을 쓰다 어근(1)
كاتب 작가 어근(1)에서 파생된 명사
كتاب 어근(1)에서 파생된 명사
مكتب 책상 어근(1)에서 파생된 명사
كلب (개가) 미치다, 미쳐 날뛰다, 발광하다 어근(2)
كلّب الكلب 개를 길들이다, 훈련시키다 어근(2)에서 파생된 동사
بيت الكلاب 개의 집, 개의 굴 어근(2)를 이용한 응용 단어
كلب[28] 미친, 탐욕스러운 어근(2)에서 파생된 형용사
كلبش 수갑, 족쇄, 쇠사슬 어근 (2)에서 파생된 명사

이런 식이다. 이것을 만약 일반적인 사전의 방법으로 정리를 한다면
بيت الكلاب 개의 집, 개의 굴 어근(2)를 이용한 응용 단어
كاتب 작가 어근(1)에서 파생된 명사
كتاب 어근(1)에서 파생된 명사
كتب ~을 쓰다 어근(1)
كلب (개가) 미치다, 미쳐 날뛰다, 발광하다 어근(2)
كلب[29] 미친, 탐욕스러운 어근(2)에서 파생된 형용사
كلبش 수갑, 족쇄, 쇠사슬 어근(2)에서 파생된 명사
كلّب الكلب 개를 길들이다, 훈련시키다 어근(2)에서 파생된 동사
مكتب 책상 어근(1)에서 파생된 명사

이런 식으로 정리가 된다. 어근 중심의 사전 배열 방식은 전 세계 언어 중에서 셈어파에만 존재한다고 한다.

6.2. 어순

한국어와 아랍어의 동사문 구조는 어순이 일치하는 구석이 전혀 없기 때문에 학습 초기 - 특히 회화에서 이 부분에 적응하기 위해 시간이 많이 걸리는 편이다. 아랍어의 어순은 기본적으로 VSO 형태다. 이 형태를 동사문이라고 한다. 그러나 SVO 형태도 많이 사용하며, 이 형태는 명사문이라고 한다. 그리고 VOS 형태를 취하는 경우도 있다.

아랍어에서는 어순에 따라 동사와 주어의 일치 문제가 달라진다. 먼저 VSO 형태일 경우, 동사는 주어의 성, 인칭에만 일치시키며, 수에는 일치시키지 않아도 된다. 원래 아랍어의 기본 어순은 VSO 형태로,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사용한다. SVO 형태일 경우, 동사는 주어의 성, 수, 인칭 모두에 일치시켜야 한다. SVO 형태는 아랍이 서구의 영향을 받으며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목적어가 대명사일 경우 목적격 접미인칭대명사를 사용하여 동사 뒤에 접미시켜 VOS 형태가 되는데, 이 경우는 동사를 주어에 일치시키지 않고 3인칭 남성 단수 형태를 취한다.[30]

아랍어는 형용사를 뒤에 위치시켜서 수식한다. 그리고 남성명사, 여성명사에 따라 형용사도 형태가 바뀐다.

그 외 아랍어 문법 관련 내용은 여기

6.3. 어휘

푸스하 어휘의 대부분이 고전 아랍어에서 유래되었지만, 중세에 들어서면서 페르시아어, 라틴어, 그리스어, 튀르크어족의 언어에서 유래한 단어 상당수를 차용했고[31] 근대에는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등 다른 언어에서 유래된 어휘도 많이 늘어나고 있다. 또한 암미야는 현지 언어와 접촉 및 영국, 프랑스 등의 지배로 인해 영어나 프랑스어, 베르베르어, 콥트어 등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이 있다. 이집트에서 쓰이는 아랍어 방언에는 콥트어의 영향을 받은 문법이 나타날뿐만 아니라 콥트어에서 유래된 어휘나 표현이 많이 존재한다.

아랍어는 어근의 뿌리가 다양하다보니 고유어도 한가지 어근을 바탕으로 여러가지 단어들이 만들어진다. 3자음을 기초로 해서 파생되는 단어들이 생겨난다(예컨대, كتب(ktb)라는 3자음이 '글을 쓰다', '책', '편지' 등 여러 단어로 파생되거나 만들어지는 것 등). 그리고 다른 언어에서도 일부 차용한 것을 바탕으로 새로운 단어도 생겨나고 있다. 3자음을 기초로 해서 단어를 파생하는 방법을 쓰는 언어는 아랍어, 히브리어가 대표적이다.

아랍어가 이슬람 문화권, 무슬림들의 주요 언어이기 때문에 아랍어는 스와힐리어, 페르시아어, 튀르키예어, 쿠르드어, 마인어, 알바니아어, 보스니아어, 우르두어 등에도 영향을 줬다. 그리고 아랍어의 영향으로 이들 언어에는 아랍어에서 유래된 어휘들이 많고 아랍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예컨대 종교와 관련된 어휘 등).

7. 방언표준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아랍어 방언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현대 표준 아랍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흔히 푸스하라 불리는 현대 표준 아랍어는 1500년 전에 만들어진 문법이 지금까지 바뀐 게 토씨 하나 없을 정도로 답답하다. '쿠란은 하늘이 내린 책이니 수정을 금한다'는 샤리아 때문에 쿠란의 텍스트는 표준화된 이후로는 전혀 변하지 않았고, 현대 표준 아랍어도 쿠란에 사용된 7세기 무렵의 고전 아랍어를 바탕으로 표준화했기 때문이다. 그 덕에 아랍어 문어체는 쿠란 문체를 기준으로 표준화가 이루어져, 나라간 시대간 차이의 벽이 매우 낮다.

그러나 구어체 아랍어는 현지언어[32]기층어의 영향과 영어, 프랑스어 등 상당수의 어휘 차용, 시대상에 따른 변화로 인해 지속해서 달라져 문어체 아랍어와는 상당히 달라졌다. 그래서 '뭐 이런 답답한 인종이 다 있냐'라면서 혀를 치는 아랍어 교수들도 있고, 학생은 더 좌절한다. 그 방언들이라는 것도 서쪽으로 모리타니에서 동쪽으로 오만, 간혹 말레이시아까지 쓰이기에 방언차가 극심하다. 더군다나 이런 동네에서 표준 아랍어는 뉴스 같은 데서나 들을 수 있을 뿐 일상생활에 방언을 아주 적극적으로 사용한다. 더구나 표준 아랍어를 못 알아듣는 사람도 간혹 있어 방언을 모르고서는 입말로 의사소통하기가 쉽지 않다.

만약 현대 표준 아랍어가 없었다면 아랍어의 여러 방언들 역시 이집트어, 요르단어, 카타르어 등 각각의 개별 언어로 분화되었을 것이다. 라틴어유럽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로 각각 분리된 것과 같은 이치.[33] 이집트 쪽 아랍어와 카타르 및 요르단 쪽 아랍어를 현지인들은 듣고 구분할 수도 있다고. 아랍어를 오랫동안 배운 한국인 목사가 아랍어를 하자 요르단에서 이집트 촌뜨기 아랍어[34]라고 단번에 알아봐서 놀란 적도 있다. 국내에선 주로 요르단, 이집트 쪽으로 배우는데, 국내에서 아랍어를 가르치는 교수들이 대부분 이집트, 요르단에서 배웠기 때문이다.

여러 방언 중에서는 이집트 방언이 비교적 사용자가 많고 널리 알려졌다. 아랍어 사용국 중에서 이집트 인구가 가장 많거니와, 이집트 방송이 중동권 전역으로 방송되기 때문에 다른 방언 화자들도 이집트어 방언을 흔히 알아듣기 때문이다.

원래 아랍어는 무함마드가 속한 쿠라이시 부족이 사용하던 언어, 그리고 방언연속체 관계인 친척 언어들의 총합이었다.[35] 어떤 한 방언이 전체 아랍어의 표준이 아니었다. 그러나 이슬람 정복 이후 현지인들에게 이슬람이 전해지면서 현지 언어들을 모두 사어로 만들고 쿠라이쉬 기준의 아랍어가 표준어 내지는 공용어로 갈음되었다. 이슬람이 퍼지기 전 중동 지역에서 공용어로 쓰이는 아람어[36]는 거의 쇠퇴하여 현대에는 '시리아어'라는 이름으로 시리아의 몇몇 기독교인들만 사용한다. 진정한 이집트어라고 할 수 있는 콥트어 또한 입말로서는 17세기에 맥이 끊겼고, 콥트교회의 종교언어로서만 살아남았다. 북아프리카에서 쓰이던 베르베르어도 아랍어로 많이 대체되었고, 아프리카의 몇몇 언어도 아랍어에 밀려 멸종되었다.

다만 사하라 사막의 장벽에 가로막혀 아랍어는 그 이하로 내려가지 못했고, 동쪽의 페르시아어는 어족이 다른데다가, 아랍어 지역보다 문화적으로 훨씬 발달된 지역이었기 때문에 대체할 수 없었다. 하지만 많은 어휘가 페르시아어로 유입되었다.

마찬가지로 오늘날의 튀르키예에 해당되는 아나톨리아튀르크인이 거주하는 아제르바이잔, 중앙아시아 일대도 페르시아 문화권의 영향력이 더 강했기 때문에 아랍어 단어를 많이 차용해오긴 했지만 완전히 대체하지는 못했다. 차용된 아랍어 어휘들도 페르시아어에 차용된 어휘가 다시 튀르크 언어들에 차용된 것이 대부분이다.[37] 스페인 남부는 아랍어권이었으나 레콩키스타 이후 탈이슬람 정책에 따라 아랍어는 완전히 소멸되었다. 현대 스페인어에도 아직 아랍어의 영향이 짙게 남아 있다. 이외에도 튀르키예어를 비롯한 튀르크어계 언어나 페르시아어계 언어에서는 아랍어 단어가 다수 차용되었고, 마인어, 알바니아어, 인도네시아어, 벵골어 등 이슬람권 언어에도 아랍어 단어가 많이 유입되었다.

그러나 아랍어가 유입되거나 모스크, 학교, 마드라사에서 아랍어 공부를 시킨다고 해도 무슬림 대다수가 아랍어를 구사할 수 있는 것은 당연히 아니다. 보통은 아랍어를 할 줄 안다 해도 샤하다를 외우거나 쿠란 경전을 일부 읽는 수준에 그친다. 튀르키예나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 아제르바이잔, 카자흐스탄같이 아랍 문자 대신에 키릴 문자 또는 로마자, 혹은 방글라데시처럼 자체 문자를 쓰는 이슬람 국가에서는 아랍 문자를 능숙하게 읽고 쓸 줄 아는 사람을 두고 똑똑하거나 교양 있다고 취급할 정도이다.

8. 단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분류:아랍어 단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1. 아랍어에서 기원한 단어

화학 용어들 중에 '알'로 시작되는 무언가가 있다면 십중팔구 아랍어 어원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가령 알코올, 알칼리 등. 애초에 화학이라는 뜻의 Chemistry가 연금술이라는 뜻의 Alchemy에서 나왔고, Alchemy는 다시 아랍어 الكيمياء(alkiimiia)에서 나왔다. 이는 중세 아랍권에서 연금술 연구가 활발했기 때문.[38] 그 외에도 알고리즘, 알지브라 등도 있다. 또한 오늘날 사용하는 별의 고유명칭 중 상당수가 아랍어에서 유래한 것이다. 자세한 예는 다음 문단 참고.

8.2. 한국에서 자주 쓰이는 아랍어 출신 외래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의 외래어/아랍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대한민국에서의 아랍어

아랍어는 한국인에겐 상당히 생소하다. 당장 아랍 문자를 보고 대부분의 사람들은 어디까지가 글자인지 모르겠다고들 말하지, 로마자나 키릴문자, 그리스 문자, 한글, 한자, 가나문자처럼 흔히 보이는 문자로 여기기 어려워한다. 난이도도 어려운 언어에 속하므로, 아랍어 독학은 흔치도 쉽지도 않다. 게다가 아랍어는 각 아랍 국가의 문화와도 밀접한 관계에 있어, 아랍의 문화를 접할 기회가 많이 없는 한국인에게 이는 아랍어 독학이 더욱 어려워지는 요소로 작용하기도 한다.

한국어가 모어인 사람들 입장에서 영어와 비교하자면 영어는 일찍 배우고 외국어치고는 한국에서 흔하게 쓰이는 데다 정보도 많다. 그리고 영어와 관련된 교재가 많이 보급되어 있어서 기초적인 부분에서 가깝게 느껴지는 반면, 아랍어는 일찍 배우지 않고 사용자 수가 적으며 정보가 부족해 더 어렵게 느껴진다.

한국에서는 아랍어가 특수외국어에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한국내에서도 아랍에 관련된 것에 관심을 갖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아랍어 책도 늘어나고 있다. 아랍어의 경우, 일반적으로 표준 아랍어를 가르치는 경우가 흔하고 아랍어 방언쪽에선 이집트 아랍어가 널리 알려져서 이집트 아랍어를 가르치는 책이 일부 있다.

아랍어는 어휘, 문법적으로 서양인(유럽)에게나 동양인에게나 비슷하지 않고 꽤나 어렵다. 한국에서 아랍어를 배우러 아랍국가로 가는 경우 이집트나 요르단으로 가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외에도 모로코나 튀니지[39]에서 아랍어를 배우는 경우도 있다.

아랍어책이 많이 있지만, 대개는 기초 아랍어 중심이다보니 아랍어 방언을 배울 수 있는 책이 적거나 중급, 고급이상의 아랍어 교재는 매우 적다.[40] 또한 명지대에서 현대아한사전을 출판했지만, 품절된 상태이다. 그외 다른 아랍어 사전들이 일부 존재하며 네이버 사전, 다음 사전에는 아랍어 사전이 수록돼 있다.

2023년 상반기부터 인터넷에서 한국인이 얻을 수 있는 아랍어에 대한 접근성이 GPT, Claude, Gemini 같은 인공지능 언어 모델에 의해 급격히 증가했다. 아랍어 관련 자료를 해석시키는 것이 좋을 정도로 스스로 맞춤형 학습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지는 못하나, 현대 표준 아랍어는 물론, 2024년 이후에 출시된 언어 모델은 유명한 아랍어 방언까지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미국산 언어 모델의 경우 한국어 성능에 아랍어 성능도 비례하는 편이며, 아랍어 화자 사이의 예절도 간단하게는 알아볼 수 있다. 대강 이 모델이 한국어에 대해 아는 만큼 아랍어에 대해서도 안다고 볼 수 있다. 한국에서 수능 문제를 한국어로도 AI가 잘 풀었다고 하면, 아랍어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나타난다고 할 수 있다.

9.1. 대학수학능력시험 아랍어Ⅰ 관련

2014학년도 아랍어 응시자 도수분포 그래프
파일:2014학년도 아랍어 응시자 도수분포.png
왼쪽 끝이 0점, 오른쪽 끝이 50점이며 나머지는 순서대로 1, 2, 3, 48. 49점은 없었다.

고등학교에서 2005학년도부터 수능 과목으로 선정되었다. 원래는 공부하는 사람도, 가르치는 사람도, 시험보는 사람도 적은 외고생/유학생 특수과목으로 남을 운명이었는데, 2006학년도에 전부 찍어서 1등급이 나왔다는 괴소문이 퍼지면서 1등급 잭팟을 노리려는 학생들이 몰리면서 전설이 시작됐다. 2010년대 아랍어는 다른 제2외국어 파이도 전부 뺏어오며 2017학년도엔 무려 65,153명 응시에 1등급컷 31점이라는, 그야말로 짜고 치는 고스톱판이 되었다. 서울대를 바라보는 최상위권 학생들이 아랍어에서 냄새를 맡고선 아랍어 공부를 시작하면서 2018학년도부터 등급컷이 40점대로 급격히 올라간 상황이지만, 그러든 말든 중위권은 담합을 유지하며 2등급컷은 20점대 초반을 유지하고 있다.

9.2. 고등교육

대학교 학과로는 국내에 대표적으로 다음 학과들이 있다.(가나다순)
학교 학과
단국대학교 중동학전공[41]
명지대학교 아랍지역학과[42]
부산외국어대학교 아랍학과[43]
서울대학교 서아시아언어문명전공[44]
조선대학교 아랍어과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융합인재학부(아랍어통번역모듈)

특수외국어 교육 진흥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어 정부에서 전공 학과에 지원하는 언어 중 하나이다. 비전공자는 한국에서 제대로 배울 수 있는 커리큘럼이나 교육기관이 미비하기 때문에 현지 어학연수를 통해 부딪친다. 전공자라 하더라도 양층언어의 형식을 보이는 아랍어의 특성 상 한국의 교육과정은 문어체 위주의 커리큘럼으로 운영되기에 구어체를 학습하고자 한다면 유학이 필수적이다.

아랍어과 혹은 아랍어과와 같은 커리큘럼을 가지고 있는 5개의 대학교[45] 예하 6개의 학과는 매년 돌아가면서 5개 대학교 연합 친목행사를 벌이고 있다. 참고로 아랍어과에 개신교인의 비율이 매우 높다. '아랍에 선교할 목적'이기 때문이다. 한국외대 아랍어통번역학과는 폐과되었다.

9.3. 취업

취업/문과 문서 참조. 졸업 전 KOTRA 인턴 등 중동 관련 대외활동을 하는 것이 유리하다.
  1. 외교관후보자시험 아랍어 지역전형을 통해 5급 공무원 상당으로 연간 1~2명을 뽑는다. 단, 회화, 번역, 요약하기에서 C1~C2 수준에 달하는 아랍어 능력[46]을 보유해야 하고, 국제법, 국제경제학, 국제정치학 등에 능통해야 하고 토익 800대 영어성적 제출과 PSAT까지 쳐야 한다. 합격수기
  2. KOTRA에 아랍어 전문가 특채가 있다. 단, 경제논술, 아랍어 쓰기능력평가 필기시험을 치러야 하고, 토익과 기타 스펙도 제출해야 한다.
  3. 한국전력공사에서 대졸 이상 아랍어 특채가 있고 2016년 2명을 뽑았다. 우대요건은 경력 1년 이상, 토익 850 이상, 아랍어 중급 이상, 아랍어 석사 이상[47], 회계/재무분야 자격증 등이다.
  4. 삼성그룹, GS그룹, 현대그룹, 한화그룹, 에쓰오일, 정유사 등 아랍어 사용 지역에 진출한 기업의 정규직 사원이라면 아랍어를 잘 하는 사람이 승진에 매우 유리하다. 상사, 건설, 전자, 방위산업체 등이 이들을 필요로 한다.
  5. 한화건설의 경우 신문기사 2014년 현재 20여명의 아랍어 관련학과 전공자가 근무중이며 2013년에는 3명을 채용했다. 한화건설 인력 규모는 2,100여명 정도.
  6. 한국석유공사 등 아랍어를 쓸 일이 있는 공공기관이나 공직에서 정규직으로 일한다면 아랍어를 잘 하는 사람에게 주어지는 기회가 있다.
  7. 경찰에서 외사 특채한다. 2014년 경쟁률 1:1.
  8. 국가정보원의 경우 신분과 활동내용을 밝히는 게 불법이고, 비밀스러운 경로를 통해 채용하는 경우가 많아서 정확한 것은 알 수 없다. 해당 문서를 보면 1970년대에 중동에서 미사일 설계도를 통째로 훔쳐온다든지, 1990년대에 중동에 유학생으로 위장해서 기업 정보를 훔치다가 체포되어 감옥살이를 한 사례 등이 각종 신문기사를 인용하여 소개되어 있다. 때문에 아랍어 능통자에 대한 수요가 높을 것으로 추정된다.
  9. 빅5 병원의 간호사 채용시 중국어, 일본어, 아랍어, 러시아어를 우대한다. 다른 언어는 자격증이 있지만 아랍어는 자격증이 없기 때문에 삼성서울병원의 경우 중학교 이상 정규 교육과정을 마친 사람을 우대한다. 삼성의료원에서는 아랍에미리트 고객을 겨냥해 아예 국제진료센터 전담 아랍어 간호사를 채용하려고 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간호사 중 아랍어 가능자가 없기에, 실제로는 아랍어 통역사를 계약직 채용하는 것으로 대체한다. 세브란스 국제의료원의 경우 시간제 알바 형식으로 통역사를 고용한다.
  10. 한국항공우주산업에서는 이라크 공군을 훈련시킬 때 계약직 통번역 담당을 뽑았다. 월급 300만원이고 공군기지에서 숙식해야 한다.

아랍어 취업은 아랍어 실력에 큰 영향을 받는다. 아랍어 실력이 유럽언어기준 B1급이나 그 이하에 해당한다면 취업 대우가 낮아지기 십상이다. 심한 경우 전공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아랍과 전혀 관계없는 일을 하는 경우도 있다. 반면 유럽언어기준 C1급의 의사소통이 가능하다면 아랍어를 요구하는 거의 모든 직장에 아주 쉽게 취업을 할 수 있다. 이 정도 실력이라면 복수전공 없이 아랍어 단일전공만으로도 취업이 쉽다. 특히 이런 사람이 5년 이상 실무 경험을 쌓으면서 아랍어 계약서, 입찰 서류, 공문서 등 정확한 번역이 중요한 서류를 번역하는 경험을 한다면 평범한 전공자나 비전공자들과는 대체 불가능한 인력이 된다. 이런 서류는 일상 아랍어를 잘 안다 해도 '업계 생리'를 모르면 번역을 할 수 없다. 통번역사에게 외주를 맡긴다 하더라도 아랍권 경험이 있는 실무자가 통번역을 재검토해야 할 정도로 일상 아랍어와 차이가 크다. 그렇다 보니 이런 'C1 + 5년 실무 경험 (입찰 등)' 이상을 갖춘 사람이라면 대기업에서 부장~상무까지 승진하기도 쉽고 억대 연봉까지도 충분히 노려볼 수 있다. 또 어학과 실무 경험을 이용해 현지에서 사업을 하기도 쉽다.

9.4. 한국의 아랍어 전문인력

한국에선 아랍 방면에 아랍어 인력을 쓰지 않아 골머리를 앓는 경우가 꽤 되는데, 이라크 전쟁 이후 파병 한국군 부대가 이라크인들과 친선 축구경기를 하기로 했는데 아랍어를 몰라 영어로 써붙여서 이라크인들이 이를 무시하면서 엉망이 된 실화도 있다. 당시 한국군 담당은 "영어가 통할 줄 알았는데"라는 따위 변명이나 하다가 소환되었다는 소문도 있다. [48]

반면 아랍어를 쓰지 않는 지역인데 아랍어 인력을 보내 모두가 피곤해지는 경우도 있다. 이런 경우는 크게 세 가지이다. 아예 무지해서 페르시아어우르두어처럼 아랍 문자를 차용해 쓰는 언어를 두고 글자가 비슷하니 무조건 아랍어라고 생각해버리는 경우와[49], 같은 중동권이니 당연히 아랍어를 쓴다고 생각하는 경우,[50] 그리고 이슬람권이니 무조건 아랍어를 안다고 생각해 아랍어 인력을 보내는 경우가 있다. 물론 이들도 아랍어를 약간은 할 줄 아는 경우는 많다. 이슬람의 경전인 쿠란은 아랍어로 되었고, 아랍어 본이 실려있지 않으면 쿠란으로 인정하지 않기 때문에 제대로된 기도를 하려면 아랍어를 알아야 한다.

그러나 이들 국가의 언어들이 아랍어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해도 아랍어와 문법과 기초어휘가 많이 달라 배우는 데는 어느 정도 시간이 걸리고 난이도도 어느 정도 있기 때문에, 아랍어를 열심히 공부하거나 해외파견근무 등으로 익숙한 사람이 아니라면 보통 주문 외우듯 쿠란을 깡짜로 외워버리고 뜻은 모국어로 외우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그래서 기도할 때 꼭 외워야 하는 부분들, 개경장처럼 매우 중요하거나 자기 마음에 드는 구절 정도 외우는 것이 보통이다.

대표적인 예가 아프간 샘물교회인 피랍 사건 때 외교부에서 아랍어 능력자를 보냈다가 죽쑤고 속칭 국정원 선글라스를 다시 보냈단 이야기는 유명하다. 그밖에 국내 축구 월간지 포포투에서 당시 FC 서울 감독이던 세뇰 귀네슈랑 인터뷰하려고 아랍어를 좀 할 줄 아는 기자를 보냈다가 귀네슈 감독이 영어로 서투르게 "난 아랍어 몰라요."(영어도 그리 잘하지 못한다)라고 말한 탓에 무안해진 일화도 있다. 나중에 통역을 맡은 에네스 카야가 언짢은 듯 무슬림이라면 무조건 아랍어가 통한다고 생각하는 건 가톨릭 신자는 라틴어만 쓴다고 여기는 꼴이라고 핀잔을 주기까지 했다.

9.5. 공인 시험

국내 응시 가능 종류 한정.

9.6. 관련 사이트

10. 덕질

파일:attachment/c0063102_488b4c6c91527.jpg
아랍어 문구와 함께 있는 스즈미야 하루히(...)[51]

아랍어 덕질은 굉장히 힘든 편이다. 아랍 국가 태반이 독재국가거나 이슬람주의가 득세하는 국가라는 특성상 엄격한 검열도 있고 아랍권의 영화 드라마의 국내 인기도 매우 저조해서 한국인도 재미있게 즐길만한 문화 콘텐츠가 많지 않다. 그래서 아랍어를 배우고 싶어하는 동기 부여가 큰 난관이다. 그러나 쿠란에 대해 보다 깊게 알고 싶거나 무슬림이 된다면 꼭 배울 수 밖에 없다.

아기공룡 둘리, 명탐정 코난, 네모바지 스폰지밥 등 대중적인 작품들은 아랍어 더빙이 되어 있으니 이런 작품으로 먼저 접해보는 것도 나쁘지 않다. 그리고 아랍어권에도 연예인은 있으니 괜찮을 지도 모른다. 그리고 이 지역도 텔레비전 방송국들이 꽤 오래전부터 존재해있었고, 알자지라나 MBC같은 위성방송도 매우 활성화되어 있어서 드라마나 영화도 매년 상당한 편수의 작품들이 제작되니,[52] 이 걸로 덕질하는것도 나쁘지는 않다.


레바논의 여성 4인조 걸밴드 4 Cats의 Ya Antar.

TED에서는 아랍어 자막도 지원하니 좋아하는 강연의 아랍어 표현들을 익히는 데 좋다.

아라비안 나이트(천일야화)가 원래 쓰여진 언어는 아랍어가 아닌 페르시아어이다. 아바스 왕조 이후 아랍어로 쓰여졌고, 이를 프랑스어영어로 번역한 것을 다시 한국어중역한 판본이 오늘날 한국에서 접하는 아라비안 나이트이다.

11. 구사자

※아랍어를 모어로 삼는 사람은 제외.

11.1. 캐릭터

단순히 주문이나 마법 스킬명을 아랍어로 외치는 경우와 아랍어권 출신 캐릭터는 제외. 단 캐릭터의 부모나 조부모 중 최소 1명 이상이 아랍인인 경우 볼드체로 표기하여 등재.

12. 기본 회화

다만 이 표에 적힌 대로 발음하면 알리프와 아인을 제대로 발음하지 못 한다는 단점이 있다.
안녕하세요. <colbgcolor=#ffffff,#1f2023>앗살라무 알라이쿰, 마르하반 السَّلاَمُ عَلَيْكُمْ
예, 안녕하세요.[77] 와알라이쿠뭇 쌀람. وَ عَلَيْكُمُ السَّلاَمُ
안녕하세요. (아침 인사) 싸바하 카이리. صَبَاحَ الخَيْرِ
예, 안녕하세요.[78] 싸바하 누리. صَبَاحَ النُّورِ
안녕하세요. (저녁 인사) 마싸알 카이리. مَسَاءَ الخَيْرِ
예, 안녕하세요. [79] 마싸알 누리. مَسَاءَ النُّورِ
안녕히 주무세요./잘 자요. 투쓰비흐 알라 카이르. تصبح على خير
안녕히 계세요./안녕히 가세요. 일랄 리까[80]/마앗 쌀라마.[81] إلى اللقاء/مع السلامة
하나님[82]은 위대하시다!알라후 아크바르! الله أكبر
내일 만나요! 아라카 가단. أريك غذا
또 만납시다. 아라카 까리반. أريك قريبا
반갑습니다. 타사르라프나. تشرفنا
어서 오세요. 아흘란 أَهْلاً
당신(남/여)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마쓰무카(마쓰무키)?
내 이름은 @@입니다. 이스미 @@. اسمي 00
당신의(남/여) 국적이 어디입니까? 마 진씨야 투카(투키)? ما جنسيتك؟
당신은(남/여) 어디에서 오셨습니까? 민 아이나 안타(안티)? مِنْ أَيْنَ أَنْتَ(أَنْتِ)؟
나는 한국에서 왔어요. 아나 민 쿠리야. أَنَا مِنْ كُورِيَا
나는 한국남자/한국여자입니다. 아나 쿠리윤/쿠리야툰. أنا كوري/أنا كورية
나는 아랍어를 못합니다. 라 아타칼라물 아라비야. لا أتكلم العربية
무슨 일을 하십니까? 마다 우무뤀? ماذا عملك؟
나는 남학생(여학생)입니다. 아나 딸리분(딸리바툰) (أَنَا طَالِبٌ(طَالِبَةٌ
영어를 할 줄 아세요? 할 타타칼람 알인길리지야? هل تتكلم الإنجليزية
한국어를 할 줄 아세요? 할 타타칼람 쿠리야? هل تتكلم الكورية
나는 영어를 조금 합니다. 아타칼라물 인길리지 야타깔릴란. أتكلم الإنجليزية قليلا
나는 미혼(남/여)입니다. 아나 아으잡(아즈바으). (عزباء) أنا أعزب
나는 기혼입니다. 아나 무타자우위즈. أنا متزوج
어떻게 지내십니까? (남자에게) 카이파 할루크? كيف حالك؟
어떻게 지내십니까? (여자에게) 카이파 할루키? كيف حالك؟
어떻게 지내십니까? (남녀 복수에게) 카이파 할루쿰? كيف حالكم؟
잘 지냅니다. 당신(남/여)은요? 비카이린, 알함두 릴라, 와안타(와안티)? بخير، الحمد لله، وأنت(وأنتِ)
당신(남/여)은 어디서 오셨습니까? 민 아이나 안타(안티)? من أين أنت(أنتِ)
당신(남/여)은 몇 살입니까? 캄 우무루카(우무루키)? كم عمرك(عمركِ)
당신의 전화번호는 어떻게 됩니까? 마 라까무 틸리 푸닉? ما رقم تليفونك
당신(남/여)의 주소는 어떻게 됩니까? 마 온와낙(온와나키)?
당신은(남/여) 어디에 살아요? 아이나 타스쿤(타스쿠닌)? (تسكنين) أين تسكن
지금 몇 시입니까? 맛 싸아 알안? ما ساعة الآن
조심하세요. 쿤 하디란. كن حذراً
잊지 마세요. 라 탄싸. لا تنس
알겠습니다. 파힘두. فهمت
감사합니다. 슈크란. شكرًا
천만에요./괜찮아요, 아프완. عفوا
염려 마십시오. 라 바으스.
미안합니다. (남자가 말할 때) 무타잇씸. متأسف
미안합니다. (여자가 말할 때) 무타잇씸파. متأسفة
괜찮아요 (사과의 말에 대해) 라 바으스.
실례합니다. 말씀 좀 묻겠습니다. 이쓰마흐 리 인디 쑤알.
저기요! (식당, 호텔 등에서 종업원을 부를 때) 야! 가르순!
저기요! (아무도 보이지 않을 때) 앗쌀라무 알라이쿰!
여보세요! (전화에서) 알루!
이것은 무엇입니까? 마하다?
무엇을 원하십니까? 마다 투리드?
누구세요? (문 밖에 누가 왔을 때) 만?
어디? 아이나?
왜? 라마? 라마다?
어떻게? 카이파?
이것은 얼마입니까? 비캄 하디?
도와드릴까요? 아이야 키드마?
도와주세요! 싸이드니!
도와주세요! (남녀 복수에게) 민 파들리쿰 싸이두니!
불이야! 나르!
도둑이야! 싸리끄!
의사를 불러주세요! 아뜰루부 리 따비반!
서두르세요!/빨리 하세요! 알라 아즈할!
천천히! 비부뚜인 민 파드릭.
조금만 기다리세요! (남/여에게) 인타디르 깔릴란!/인탄디리 깔릴란!
조금만 기다리세요! (남녀 복수에게) 인탄디루 깔릴란!
언제 만날까요? 마타 아라카?
예. 나암, 인샬라.
예, 물론이지요. 나암, 따비안.
아니요. 라. لا
모르겠습니다. 라 아드리.
이해를 잘 못하겠습니다. 람 아프함.
천천히 말씀해 주십시오. 민 파들릭, 타칼람 비부뜨이.
다시 말씀해 주십시오. 꿈 리 민 자디드.
이해합니다. 아나 아프함.
가능합니다. 뭄킨.
축하합니다. 마브룩. مبروك
즐거운 시간 보내세요. 아타만나 라쿰 와끄탄 뭄티안!
훌륭합니다/정말 굉장해요. 자밀룬 쥣단./아디문 쥣단.
좋은 하루 보내세요. 따바 야우무크.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쿨라 싸나틴 와안타 비카이리.
생일 축하합니다. 아나 우한니우카 비이디 밀라디크.
건배! 마브룩!
물 좀 주세요. 마아 민파들맄. ماء من فضلك
나는 아파요. 아나 마리드.
여기가 아파요. 인디 알라문 후나.

13. 들어보기


Wikitongues의 레바논 아랍어 기록. 이 외에 시리아 아랍어, 이집트 아랍어 등 다양한 방언도 기록되어 있다.


알 자지라의 시사 프로그램 'ما خفي أعظم'. 제목은 '빙산의 일각' 정도의 뜻이 있다. 영어 버전


아랍어권 최고 조회수의 뮤비인 모로코 가수 Saad Lamjarred의 곡 'LM3ALLEM'의 뮤비. 아랍어 유튜브 영상 중 최초로 10억뷰의 조회수를 돌파했다. 정확히는 모로코 방언으로 제작되었다. #


라바바라는 베두인족의 전통 악기를 연주하면서 부르는 노래.


이슬람교의 찬송가인 나쉬드. 제목은 'هبت كالريح'(Habbat Kareeh, 바람처럼 불어닥쳤다)이다. 노력을 강조하는 건전한 내용이다.


노래로 부르는 아랍어 가톨릭 성모송(Ave Maria)


아랍어판 슬램덩크.


아랍어판 스피드왕 번개.


겨울왕국Love Is an Open Door의 현대 표준 아랍어 더빙판 "الحب هو الدار".


겨울왕국Love Is an Open Door의 이집트 아랍어 더빙판.


아랍어판 신 도라에몽오프닝.


아랍어판 드래곤볼 Z 오프닝.

14. 여담

예) فَعَلَ (اُ) -> يَفعُل

15. 관련 문서

16.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ce1126><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메소포타미아 문명 · 미탄니 · 아람 · 신바빌로니아 · 셀레우코스 제국 · 팔미라 제국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아이유브 왕조 · 시리아 아랍 왕국 · 시리아-레바논 · 아랍 연합 공화국 · 시리아 아랍 공화국 · 시리아 민주화 운동 · 시리아 내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바트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자격정지
경제 경제 전반 · 시리아 파운드
국방 자유 시리아군 · 시리아 아랍군 · 시리아 공화국 수비대
문화 문화 전반 · 메소포타미아 신화 · 메소포타미아 음악 · 쐐기 문자 · 만다야교 · 아람어 · 시리아 정교회 · 시리아 가톨릭 · 요리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방언
인물 제노비아 · 이븐 타이미야 · 이븐 카시르 · 라시드 리다 · 미셸 아플라크 · 하페즈 알 아사드 · 바샤르 알 아사드 · 수헤일 알 하산 · 마헤르 알아사드
지리 유프라테스강 · 골란 고원 · 로자바 · 레반트
민족 시리아인(아르메니아계) · 시리아계 브라질인 · 시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시리아계 멕시코인 · 쿠르드족 · 아시리아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ed161f 10%,#fff 10%,#fff 90%,#ed161f 9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a750><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백향목 · 줄무늬하이에나
역사 역사 전반 · 페니키아 · 레바논 아미르국 · 1958년 레바논 위기 · 레바논 내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헤즈볼라 · 레바논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경제 경제 전반 · 레바논 파운드
국방 레바논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후무스 · 레바논 축구 국가대표팀 · 레바논 영화 · 아랍어 · 프랑스어
인물 카림 하비브 · 타이거 루아스
지리 베이루트
사회 레바논 마피아
민족 레바논인 · 레바논계 브라질인 · 레바논계 아르헨티나인 · 레바논계 호주인 · 레바논계 멕시코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cf0921 5%, #fff 5%, #fff 6%, #cf0921 6%, #cf0921 40%, transparent 40%),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0%, #FFF 10%, #FFF 90%, #007b3b 90%)"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cf0921> 상징 <colcolor=#000,#fff>국가
역사 역사 전반
정치·
치안·
사법
정치 전반 · 하심 가문 · 하심 가문 군주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경제 경제 전반 · 요르단 디나르
국방 요르단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만사프 · 마클루바 · 쿠나파 · 후무스 · 요르단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레반트 방언)
인물 압둘라 2세
지리 사해 · 요르단강
민족 요르단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6c35>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사우디아라비아/국장
역사 역사 전반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사우드 왕조 · 네지드 토후국 · 헤자즈 왕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와하비즘 · 사우드 왕조
외교 외교 전반 · G20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 BRICS
사회 사우디아라비아/사회
경제 경제 전반 · 사우디아라비아 리얄 · 사우디아라비아/교통
국방 사우디아라비아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방공군 · 전략로켓군
문화 문화 전반 · 사우디아라비아/성문화 · 사우디아라비아/관광 · 요리 · 사우디아라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사우디아라비아 그랑프리 · 아랍어(사우디 방언) · 케피예
인물 압둘아지즈 이븐 사우드 · 사우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파이살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칼리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파흐드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압둘라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살만 빈 압둘아지즈 알사우드 · 무함마드 빈 살만 알사우드
지리 헤자즈 · 네지드 · 알 하사 · 아라비아 반도 · 아라비아 만 · 네옴
민족 사우디인(방글라데시계) · 히자즈인
기타 사우디 아라비아 관광청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cf0921 15%, #FFF 15%, #FFF 85%, #000 85%)";"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000><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사바 왕국 · 힘야르 왕국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예멘 왕국 · 북예멘 / 남예멘 · 예멘 내전(1994년) / 예멘 통일 · 예멘 민주화 운동 · 예멘 내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경제 경제 전반 · 예멘 리알
국방 예멘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예멘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예멘 방언) · 잠비야
인물 아르와 앗 술라이히 · 알리 압둘라 살레
지리 하드라마우트 · 홍해 · 소코트라 섬 · 마리브
민족 예멘인 · 하드라미인 · 아크담족 · 소코트라인 · 예멘 흑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DB161B 20%,transparent 20%), linear-gradient(to bottom, #fff 14%, #db161b 14%, #db161b 86%, #008000 86%)"
<col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db161b> 상징 <colcolor=#000,#fff>잠비야
역사 역사 전반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오만 제국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부사이드 왕조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경제 경제 전반 · 오만 리알
국방 오만군
교통 오만 항공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관광 · 오만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걸프 방언)
인물 카부스 빈 사이드 알사이드 · 하이삼 빈 타리크 알사이드
지리 걸프 만 · 무산담 반도
민족 오만인(방글라데시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0000 20%,transparent 20%), linear-gradient(to bottom, #00732b 13%, #FFF 13%, #FFF 87%, #000 87%)"
<colcolor=#000,#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ff000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역사 역사 전반 · 딜문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트루셜 스테이트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알나얀 왕조 · 아랍에미리트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 BRICS
경제 경제 전반 · 아랍에미리트 디르함
국방 아랍에미리트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아랍에미리트 축구 국가대표팀 · 아부다비 그랑프리 · 아랍에미리트/관광 · 아랍에미리트 영화 · 아랍어
인물 자이드 빈 술탄 알나얀 · 할리파 빈 자이드 알나얀 · 무함마드 빈 자이드 알나얀 · 무함마드 빈 라시드 알막툼
지리 아부다비 · 두바이 · 무산담 반도
민족 걸프 아랍인(방글라데시계 · 아르메니아계)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55deg, transparent 35%, #CE1126 35%), linear-gradient(25deg, transparent 35%, #CE1126 35%), linear-gradient(147deg, transparent 14%, #fff 14%), linear-gradient(33deg, transparent 14%, #fff 14%), linear-gradient(to right, #fff 2%, transparent 2%, transparent 4%, #fff 4%), linear-gradient(to bottom, #fff 40%, #fff 40%, #fff 60%, #fff 6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ce1126>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딜문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바레인 반정부 시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할리파 왕조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경제 경제 전반 · 바레인 디나르
국방 바레인군
교통 바레인 국제공항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바레인 축구 국가대표팀 · 바레인 그랑프리 · 관광 · 아랍어(걸프 방언)
인물 하마드 빈 이사 알할리파
지리 걸프만 · 마나마 · 사키르 · 무하라크(무하라크섬) · 리파(바레인)
민족 걸프 아랍인(방글라데시계)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8d1b3d> 상징 국가 · 카타르/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딜문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사니 가문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경제 경제 전반 · 카타르 리얄
국방 카타르군
교통 도하 국제공항 · 도하 하마드 국제공항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관광 · 카타르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걸프 방언) · 카타르 그랑프리
인물 하마드 빈 할리파 알사니
지리 걸프만 · 도하 · 루사일 · 알라이얀 · 알호르 · 앗다키라
민족 걸프 아랍인
기타 카타르/외국인 노동자 문제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80deg, #000 3%, #000 3%, #000 6%, #000 6%, #000 15%, transparent 15%), linear-gradient(to bottom, #007a3d 12%, #FFF 12%, #FFF 88%, #cf1126 88%)"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000>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딜문 · 정통 칼리파 시대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카르마트 · 걸프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사바 가문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걸프 협력회의
경제 경제 전반 · 쿠웨이트 디나르
국방 쿠웨이트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쿠웨이트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걸프 방언)
인물 나와프 알아마드 알자베르 알사바
지리 걸프만 · 쿠웨이트(도시) · 수비야(마디낫 알하리르)
교통 쿠웨이트 항공 · 쿠웨이트 국제공항
민족 걸프 아랍인(방글라데시계 · 아르메니아계)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7a3b><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옛 국가 (1955~1981) (1981~2003) · 이라크/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메소포타미아 문명 · 수메르 · 아카드 · 우르 제3왕조 · 바빌로니아 · 미탄니 · 아시리아 · 신바빌로니아 · 우마이야 왕조 · 라흠 왕국 · 아바스 왕조 · 함단 왕조 · 부와이 왕조 · 우카일 왕조 · 장기 왕조 · 잘라이르 왕조 · 흑양 왕조 · 백양 왕조 ·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 · 이라크 왕국 · 이라크 제1공화국 · 바트당 집권 이라크 · 걸프 전쟁 · 이라크 전쟁 · 이라크 연합국 과도 행정처 · 이라크 내전 · 이라크 반정부 시위
정치·
치안·
사법
정치 전반 · 황금 광장 · 바트당 · 쿠르디스탄 민주당 ·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 이라크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김선일 피랍 사건
경제 경제 전반 · 이라크 디나르
국방 이라크군 · 특수 공화국 수비대 · 페슈메르가
문화 문화 전반 · 메소포타미아 신화 · 메소포타미아 음악 · 쐐기 문자 · 만다야교 · 칼데아 가톨릭 · 요리 · 마스코프 · 사문 · 클레이차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프리미어 리그 · 아랍어 방언
인물 길가메시 · 이븐 알하이삼 · 사담 후세인 · 잘랄 탈라바니 · 푸아드 마숨 · 바르함 살리흐 · 압둘 라티프 라시드 · 마수드 바르자니 · 네치르반 바르자니 · 나디아 무라드
지리 유프라테스강 · 티그리스강 · 자그로스 산맥 · 알자지라 · 이라크 쿠르디스탄 · 그린 존 · 마슈리크
민족 이라크인(아르메니아계) · 아시리아인 · 야지디족 · 이라크 흑인 · 이라크계 스웨덴인 · 투르코만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c09300><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수련 · 초원수리
역사 역사 전반 · 고대 이집트 · 프톨레마이오스 왕조 · 파티마 왕조 · 맘루크 왕조 · 이집트 왕국 · 2011 이집트 혁명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이집트 아랍 공화국 여권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BRICS
경제 경제 전반 · 이집트 파운드 · 넥스트 일레븐
국방 이집트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방공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바스부사 · 몰로키야(음식) · 하맘 마슈위이집트 음악 · 이집트 미술 · 이집토마니아 · 이집트 축구 국가대표팀 · 카이로 박물관 · 이집트 대박물관
인물 네페르티티 · 아케나톤 · 투탕카멘 · 람세스 2세 · 클레오파트라 7세 · 히파티아 · 바이바르스 · 메흐메트 알리 · 가말 압델 나세르 · 안와르 사다트 · 호스니 무바라크 · 무함마드 무르시 · 압델 파타 엘 시시 · 하산 알 반나 · 사이드 쿠틉 · 모하메드 살라
지리 나일강 · 시나이 반도 · 사하라 사막 · 홍해
민족 이집트인(아르메니아계)
종교 이집트 신화 · 콥트 정교회 · 수니파 · 살라피즘
언어 고전 이집트어 · 콥트어 · 이집트 아랍어
문자 이집트 상형문자 · 콥트 문자 · 아랍 문자
관광 이집트/관광 · 철도 환경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0><colcolor=#fff> 상징 옛 국가 · 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리비아 왕국 · 리비아 아랍 공화국 · 리비아 아랍 자마히리야(카다피주의 / 자마히리야) · 제1차 리비아 내전 · 제2차 리비아 내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리비아국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리비아 디나르
국방 리비아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쿠스쿠스 · 타진 · 주크라 · 리비아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방언
인물 셉티미우스 세베루스 · 오마르 무크타르 · 무아마르 알 카다피 · 칼리파 하프타르 · 파예즈 알사라지
지리 사하라 사막 · 트리폴리타니아 · 페잔 · 키레나이카
민족 마그레브 아랍인(방글라데시계)
}}}}}}}}} ||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fff 60.9%, transparent 61.1%), linear-gradient(to left, #e70013 15%, #e70013 15%, #e70013 85%, #e70013 85%, #e70013 85%)"
{{{#!wiki style="word-break: keep-all; 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color=#e70013><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역사 역사 전반 · 고대 카르타고 · 아글라브 왕조 · 파티마 왕조 · 하프스 왕조 · 튀니지 혁명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엔나흐다 · 민주적 흐름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튀니지 공화국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튀니지 디나르
국방 튀니지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쿠스쿠스 · 타진 · 라블라비 · 튀니지 영화 · 튀니지 축구 국가대표팀 · 튀니지 농구 국가대표팀 · 튀니지 리그 프로페시오넬레 1 · 아랍어 방언 · 프랑스어
인물 하비브 부르기바 · 벤 알리 · 모하메드 부아지지
지리 사하라 사막 · 카르타고 · 제르바 섬
관광 튀니지/관광
민족 마그레브 아랍인
기타 튀니지 국민4자대화기구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5deg, #007229 10%,transparent 10%), linear-gradient(to bottom, #d21034 10%, #FFF 10%, #FFF 90%, #000 90%)"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007229> 상징 <colcolor=#000,#fff>국기
역사 역사 전반 · 누비아 · 다르푸르 술탄국 · 앵글로-이집트 수단 · 마흐디 운동 · 다르푸르 학살 · 2021년 10월 수단 쿠데타 · 2023년 수단 내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하르툼 대통령궁
외교 외교 전반 · 수단 여권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경제 경제 전반 · 수단 파운드
국방 수단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키스라) · 수단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수단 아랍어) · 카스카라
인물 가파르 니메이리 · 오마르 알 바시르 · 사디크 알마흐디 · 압델파타흐 알부르한
지리 백나일강 · 청나일강 · 다르푸르 · 사하라 사막
민족 수단 아랍인 · 누비아인 · 누바족 · 바까라족 · 베쟈족 · 푸르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2664 33%,#fecb00 33%,#fecb00 66%,#c60c30 33%)"
 
{{{#002664 {{{#!wiki style="margin: -26px -10px -5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2664 33%,#fecb00 33%,#fecb00 66%,#c60c30 33%);"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c60c30><colcolor=#fecb00> 상징 국가
역사 카넴-보르누 제국 · 와다이 술탄국 · 바기르미 술탄국 · 실루크 왕국 ·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프랑스령 차드) · 차드 내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프랑코포니(국제기구) · 이슬람 협력기구
경제 경제 전반 · CFA 프랑/중앙아프리카
국방 차드군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차드 축구 국가대표팀 · 프랑스어 · 카누리어 · 풀라어 · 하우사어 · 아랍어(차드 아랍어) · 차드어군 · 카스카라
인물 프랑수아 톰발바예 · 이센 아브레 · 이드리스 데비 · 마하마트 데비 이트노
지리 은자메나 · 차드 호 · 사하라 사막 · 사헬
민족 카누리족 · 사라족 · 투부족 · 풀라족 · 바까라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1deg, transparent 75%, #12AD2B 75%), linear-gradient(159deg, transparent 75%, #4189DD 75%), linear-gradient(159deg, transparent 24%, #EA0437 24%), linear-gradient(21deg, transparent 24%, #EA0437 24%), linear-gradient(147deg, transparent 16%, #EA0437 16%), linear-gradient(33deg, transparent 16%, #EA0437 16%), linear-gradient(to bottom, #EA0437 50%, #EA0437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BD26><colbgcolor=#EA0437>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민주정의인민전선
외교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아랍 연맹
경제 경제 전반 · 에리트레아 낙파
국방 에리트레아군
교통 에리트레아 항공
문화 문화 전반 · 요리 · 에리트레아 축구 국가대표팀 · 에리트레아 테와히도 정교회 · 티그리냐어 · 티그레어 · 아랍어 · 아파르어
인물 이사이아스 아페웨르키 · 제르세나이 타데세 · 헤녹 고이톰
지리 아스마라 · 홍해 · 마사와
민족 티그리냐인 · 티그레인 · 아파르족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45deg, #fff 5%, #d7141a 5%, #d7141a 6%, #fff 6%, #fff 50%,transparent 50%), linear-gradient(to bottom, #6ab2e7 50%,#12ad2b 50%)"
<colcolor=#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d7141a><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역사 역사 전반(소말리인 귀족제)
정치·사법·치안 정치 전반 · 지부티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아랍 연맹
경제 경제 전반 · 지부티 프랑
국방 지부티군
문화 소말리아 · 지부티 요리 · 지부티 축구 국가대표팀 · 프랑스어 · 소말리어 · 아파르어 · 아랍어
지리 아프리카의 뿔 · 지부티(도시)
민족 소말리인 · 아파르족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color=#fff><colbgcolor=#4189DD> 상징 <colcolor=#000,#fff>국가
역사 역사 전반(소말리인 귀족제) · 소말리아 내전
정치·사법·치안 정치 전반 · 대소말리아주의
외교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아랍 연맹
경제 경제 전반 · 소말리아 실링
국방 소말리아군
문화 소말리아 · 지부티 요리 · 소말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소말리어 · 아랍어 · 빌라오
지리 아프리카의 뿔 · 모가디슈 · 오가덴
사회 소말리아/해적 · 알샤바브
인물 아얀 히르시 알리 · 일한 오마르 · 시아드 바레
민족 소말리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6230 50%,#fff 5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1D1D1D,#e2e2e2
<colcolor=#d30731><colbgcolor=#fff> 상징 국가 · 사막여우
역사 역사 전반 · 누미디아 · 반달 왕국 · 함마드 왕조 · 알제리 독립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민족해방전선 · 민주국민연합 · 알제리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경제 경제 전반 · 알제리 디나르
국방 알제리군 · 알제리 해군
문화 문화 전반 · 언어 · 요리 · 쿠스쿠스 · 타진 · 플리사 · 알제리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방언
인물 프란츠 파농 · 압델아지즈 부테플리카 · 압델카데르 벤살라 · 압델마지드 테분
지리 사하라 사막 · 아틀라스 산맥
민족 마그레브 아랍인(방글라데시계) · 베르베르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15deg, #c1272d 27%, transparent 27%), linear-gradient(115deg, #006233 32%, transparent 32%), linear-gradient(65deg, #c1272d 68%, transparent 68%), linear-gradient(65deg, #006233 73%, #c1272d 73%)"
{{{#!wiki style="margin: 0px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colbgcolor=#006233><col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역사 역사 전반 · 마우레타니아 · 이드리스 왕조 · 무와히드 왕조 · 무라비트 왕조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알라위 왕조 · 틀:역대 모로코 군주(알라위 왕조) · 행정구역 · 다르 알 마크젠 왕궁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아프리카 연합 · 모로코 왕국 여권
경제 경제 전반 · 모로코 디르함
국방 모로코군
교통 다클라 공항 · 엘아이운 하산 1세 국제공항
문화 문화 전반 · 언어 · 요리 · 쿠스쿠스 · 타진 · 님차 · 모로코 축구 국가대표팀 · 마그레브 아랍어
인물 무함마드 6세 · 이븐 바투타
지리 사하라 사막 · 아틀라스 산맥
사회 모로코 마피아
관광 모로코/관광
민족 마그레브 아랍인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5deg, #cf0921 11%,transparent 11%),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0%, #FFF 10%, #FFF 90%, #007b3b 9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cf0921>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올리브 · 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팔레스타인 해방 기구 ·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 파타-하마스 분쟁 · 2023년 이스라엘-하마스 전쟁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팔레스타인/행정구역 · 하마스 · 파타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 팔레스타인 인민당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 팔레스타인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이스라엘-팔레스타인-아랍권 관계 · 영국 방안 · 일국 방안 · 양국 방안 · 삼국 방안
경제 경제 전반 · 이스라엘 신 셰켈 · 요르단 디나르 · 이집트 파운드
군사 팔레스타인 보안군
문화 문화 전반(케피예) · 요리 · 후무스 · 쿠나파 · 마클루바 · 무삭칸 · 팔레스타인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 예루살렘 총대주교(정교회)
인물 아민 알후세이니 · 야세르 아라파트 · 마흐무드 압바스 · 쉬린 아부 아클레
지리 가자 지구 · 요르단강 서안 지구(베들레헴)
민족 팔레스타인인(아르메니아계) · 팔레스타인계 칠레인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55deg, #cf0921 11%,transparent 11%), linear-gradient(to bottom, #000 10%, #FFF 10%, #FFF 90%, #007b3b 90%)"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cf0921>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장
역사 역사 전반(서사하라/역사) · 스페인령 사하라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 폴리사리오 전선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프리카 연합 · 모로코-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관계 · 알제리-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관계 ·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여권
경제 경제 전반
국방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군
문화 페즈 · 요리 · 쿠스쿠스 · 타진 · 아타이 · 아랍어(하사니야어) · 스페인어 · 서사하라 축구 국가대표팀
인물 모하메드 압델아지즈
지리 서사하라 · 사하라 사막 · 모로코 장벽 · 티파리티
민족 마그레브 아랍인 · 무어인 · 베르베르 · 사흐라위인
기타 엘아이운 · 틴두프 }}}}}}}}}

[1] اَللُّغَةُ الْعَرَبِيَّة‎ / al-lugatu l-ʿarabiyya[방언] ARQ(알제리 아랍어), AAO(알제리 사하라 아랍어), XAA(안달루시아 아랍어), BBZ(Babalia 크리올 아랍어), ABV(바레인 아랍어), SHU(차드 아랍어), ACY(키프로스 아랍어), ADF(도파르 아랍어), AVL(북서부 아라비아 아랍어), ARZ(이집트 아랍어), AFB(걸프 아랍어), AYH(하드라미인 아랍어), ACW(히자즈 아랍어), AYL(리비아 아랍어), ACM(메소포타미아 아랍어), ARY(모로코 아랍어), ARS(네지드 아랍어), APC(북부 레반트 아랍어), AYP(북부 메소포타미아 아랍어), ACX(오만 아랍어), AEC(상이집트 아랍어), AYN(사나 아랍어), SSH(Shihhi 아랍어), SQR(시칠리아 아랍어), AJP(남부 레반트 아랍어), ARB(표준 아랍어), APD(수단 아랍어), PGA(수단 크리올 아랍어), ACQ(남부 예멘 아랍어), ABH(타지크 아랍어) 겁나 많네[3] 한국어 해석: 모든 사람은 인종, 피부색, 성, 언어, 종교, 정치적 또는 기타의 견해, 민족적 또는 사회적 출신, 재산, 출생 또는 기타의 신분과 같은 어떠한 종류의 차별이 없이, 이 선언에 규정된 모든 권리와 자유를 향유할 자격이 있다. 더 나아가 개인이 속한 국가 또는 영토가 독립국, 신탁통치지역, 비자치지역이거나 또는 주권에 대한 여타의 제약을 받느냐에 관계없이, 그 국가 또는 영토의 정치적, 법적 또는 국제적 지위에 근거하여 차별이 있어서는 아니된다.[4] na:mu:wi:ki:, šajaratu l-maʕrifati llati: tazraʕu:naha: maʕan[5] 다만 실제로는 아랍어 화자들의 모어는 암미야(아랍어 방언)이고 푸스하(현대 표준 아랍어)는 제2언어다.[6] 가령 콥트어, 현대 히브리어, 암하라어에서는 인두 마찰음과 성문 마찰음의 구별이 사라졌다.[7] 엄밀하게 따지면 아랍어의 인두음화는 구개수(목젖)가 비강쪽 통로(비인두 또는 상인두)를 막아서 조음되는 구개수음화(uvularization)로 인두음화의 하위 분류이다. 한편 인두음인 /ʕ/는 잘 알려진대로 혀뿌리로 목구멍을 좁혀서 발음(하인두음)하는 게 정석이다. 둘이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혀뿌리를 밀어넣어 목구멍을 좁힐 때 대부분 부차적으로 구개수가 비인두를 막는 현상이 같이 일어나기 때문.[8] 인두화 파열음 및 마찰음을 변이음이 아닌 별도의 음소로 갖고 있는 언어는 아랍어, 베르베르어파 외에는 고전 히브리어, 시리아어, 아람어 등 고대 셈어파 계열 일부와 캅카스의 소수 언어들, 칠코틴어(Chilcotin) 등 북아메리카 원주민 언어 일부 정도뿐이다.[9] ر(/r/)의 발음이 스페인어러시아어 등에서 들을 수 있는 혀 떠는 발음이다.[10] /dˁ/, 혀뿌리로 목구멍을 조이면서 내는 'd' 발음이다. 다만 앞선 주석과 같이 정말 혀뿌리로 목구멍을 조이면서 조음하기보다는 이 과정에서 부차적으로 같이 발생하는 목젖의 상인두 폐쇄화(구개수음화)가 더 흔하고 이 방식이 더 쉽다.[11] 최대한 비슷하게 표기하자면 '좌' 정도 될 듯한데 목구멍을 조이면서 발음하는 /ð/(the의 th) 발음이라고 보면 쉽다. (인두음화 유성 치 마찰음 /ðˁ/)[12] 영어에서 소위 'dark L'이라고 부르는 그 발음이다. 영국식 영어 용인 발음에서 어말이나 자음 앞에 l이 오면 이 발음이 되고, 미국식 영어에서는 이 외에도 액센트에 따라 종종 등장한다.[13] 아랍어는 모음 교체나 탈락이 잦으므로 흔한 상황이다.[14] 그 때문에 이런 형태의 발음체계를 가진 아랍어 방언이 통용되는 지역의 인명을 로마자로 표기할 때 이 문자를 g로 옮기는 경우가 있다. 대표적으로 무아마르 카다피(معمر القذافي)의 이름을 Gaddafi로 표기하는 것와 같은 사례가 있다.[15] 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및 이들이 인두음화된 발음을 나타내는 문자가 태양 문자이다. 단 이 규칙에서 파찰음은 예외이다. 따라서 ج는 후치경음이지만 파찰음이기 때문에 태양 문자기 아니다.[16] 특히 예멘 방언에서 이렇다.[17] 양순음, 치음, 치경음, 후치경음, 경구개음[18] Mousa Btoosh, "Constraint Interactions in Jordanian Arabic Phonotactics: An Optimality-Theoretic Approach," Journal of Language and Linguistics 5 no.2 (2006): 192-221.[19] 알리프ا, 달د, 달ذ, 라ر, 자이ز, 와우و, 타 마르부타ة는 어중형이 없다. 함자ء는 어중형과 어말형이 모두 없다.[20] 'پ'는 아랍 문자를 차용한 페르시아어, 우르두어, 위구르어, 쿠르드어 등의 표기에서도 사용된다. 말레이어를 적는 자위 문자에서는 /p/를 나타내기 위해 'ڤ‎'를 사용했다.[21] 오스만어, 위구르어, 카자흐어, 키르기스어 등 튀르크어계의 경우 추가 문자 'ڭ'로 /ŋ/을 표기했고, 자위 문자에서는 추가 문자 'ڠ'로 이를 표기했다.[22] 발음은 없어서 ة 앞의 모음만 발음한다. 다만 이 경우에는 대개 주격쪽에서만 ة가 생략가능하고 대개 격변화할 때는 ة가 소유격, 목적격으로 쓰일 때는 ت로 바뀌거나 발음이 't'가 된다.[23]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파생형은 10형까지여서 강의든 교재든 대체로 10형까지만 다룬다. 그러나 원래 아랍어 동사 파생형은 15형까지 있는데, 거의 사용하지 않는데다 11~15형은 어휘도 적어서 웬만큼 공부해서는 존재 자체를 모른다.[24] 'anā 'ākulu, 'antum ta'kulūna, naħnu na'kulu...[25] 비슷한 모양의 동사로는(자음은 같으나 모음이 달라서 발음이 다르다.) '편지를 주고 받다' 가 있다.[26] 단, 어근을 ㄱ, ㄴ, ㄷ, ㄹ 식 순으로 나열해 놓았다.[27] 물론 그냥 알파벳 순으로 나열해 놓은 사전도 일부 있다.[28] 위의 어근과 비슷해 보이지만 모음이 달라서 발음이 다르다.[29] 위의 어근과 비슷해 보이지만 모음이 달라서 발음이 다르다.[30] 단, 이 법칙은 주어가 대명사가 아닐 경우에만 해당한다. 주어가 대명사일 경우에는 당연히 동사를 모두 주어에 일치시켜야 한다. 아랍어에서 주어가 대명사일 경우, 주어를 따로 쓰는 경우는 강조의 의미다. 일반적으로는 주어가 대명사일 경우 그냥 동사 변화로 나타내며, 별도로 대명사인 주어를 쓰지는 않는다.[31] 이슬람 초창기까지 페르시아나 동로마 제국, 지중해 연안 등은 고대 아라비아 반도보다 학문, 제도, 문화의 측면에서 발전된 지역이었으므로, 아랍인들이 이 지역의 언어에서 어휘를 빌려왔다는 것은 그리 상상하기 어려운 일은 아닐 것이다.[32] 콥트어, 아람어, 베르베르어, 누비아어, 남아라비아어 등[33] 로망스어군 언어들, 즉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루마니아어 등은 모두 라틴어의 각 지역별 방언으로부터 출발했다.[34] 하필 '촌뜨기'인 이유는 애초에 이집트는 아랍인이 아니라 헬레니즘 그리스인들과 콥트인들과 유대인들이 살던 동네였다가 아랍인들이 수백년간 지배하고 나서야 아랍인 정체성을 가지게 된 만큼 이질성이 크고, 요즘은 인구과밀화와 실업률로 고통받아 수많은 이집트인들이 아라비아 반도 산유국의 3D 직업 외국인 노동자로 일하기 때문. 요르단이나 아라비아 반도 산유국에서는 이집트 방언이 촌스럽다는 인식을 가진 사람들이 적지 않다.[35] 물론 표준 아랍어도 누군가 처음부터 인위적으로 만든 게 아니라 7세기에 쓰이던 자연어에 기반한 것이므로 이슬람 이전 시대에도 아랍어는 존재했고, 이슬람 이전 시대의 아랍어를 통칭해서 고대 아랍어라고 부른다. 고대 아랍어는 이미 기원전부터 여러 종류의 문자로 쓰여졌고 고대 아랍어로 쓰여진 금석문이나 문서, 시문 등이 현전하기 때문에, 이슬람 이전 아랍어의 음운, 문법 특성과 변천사에 대해서도 연구가 이루어진 상태이다.[36] 시리아어라고도 하며, 메소포타미아 지방에서는 공용어였다. 예수도 이 언어를 사용했다.[37] 튀르크 언어들은 아랍어보다는 페르시아어의 영향을 매우 크게 받았다. 튀르크 언어들에 차용된 아랍어 어휘들 대부분이 아랍어에서 직접 차용했다기 보다는 페르시아어에 차용된 아랍어 어휘를 다시 차용한 것이다.[38] 단어들 모두 아랍어에서 직접 가져왔다는 건 아니다. 아랍어 방식을 채용하거나 접두어를 넣어서 조어를 하였던 것이고, 그 아랍어 단어 자체도 이전의 고전언어에서 유래된 경우가 많다. 예컨데 앞서 언급한 알-키미아의 경우도 더 거슬러 올라가면 고전 그리스어의 χυμεία(khymeia)가 근원이다.[39] 튀니지는 아랍어가 공용어이지만, 프랑스어도 널리 쓰이기 때문에 프랑스어 어학연수를 하러 튀니지로 가는 경우도 있다.[40] 게다가 아랍권이 양언어현상이 매우 큰 곳이다보니 저학력 화자와는 표준 아랍어를 배워도 아랍어 방언 화자와는 대화가 통하지 않는 경우도 자주 있을 정도다.[41] 외국어대학 아시아중동학부[42] 중동학부 소속[43] 명목상으로는 아랍어만 가르치는 게 아니지만, 아랍어 전공의 비중이 크고, 1982년에 아랍어과로 창설되었을 때부터 아랍어전공 커리큘럼이 동일하기 때문에 아랍어과라고 봐도 무방하다.[44] 2012년에 신설된 인문대학 아시아언어문명학부 내에 있는 전공으로 아랍어와 페르시아어, 히브리어, 튀르키예어를 배울 수 있다. 다만 아랍어만 가르치는 것이 아니기에 '아랍어과'로 보기는 어렵다.[45] 단국대, 명지대, 부산외대, 조선대, 한국외대, 한국외대(글로벌).[46] OPI로 치면 AH 이상[47] 이란어는 학사 이상[48] 근데 사실 미국도 중동 언어 관련 인력이 딸려서 아랍어에 능통한 현지인 병력을 모집하느라 골머리를 앓는다.[49] 글자는 아랍어 글자를 쓰고 아랍어 어휘도 어느 정도 들어가 있지만 완전히 다른 언어이다. 한국이 과거 중국인들의 글자인 한자를 많이 썼다고 해서 한국어가 중국어와 비슷하다고 생각해버리는것과 같다.[50] 이란이나 튀르키예가 이쪽의 경우에 자주 속한다.[51] 2006년 팔레스타인 가자 지구에서 일어난 시위 현장 모습이다. 플래카드의 붉게 쓰인 아랍어 اقفوا قتل الا طفال 는 '아이들을 죽이지 말라; 직역하자면 아이들의 살해를 중지하라' 라는 뜻.[52] 물론 우리나라에선 잘 알려지지는 않는다.[53] 파키스탄계 한국인이다.[54] 한국외대 아랍어학과출신이다.[55] 한국외대 아랍어학과 출신으로 사우디 대사이기도 했다.[56] 이집트에서 유학생활을 한 적이 있고 아랍어통역을 맡은 적도 있었다.[57] 이집트학 전공자로, 이집트학과 관련해서 아랍어는 물론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고전 이집트어까지 배웠다.[58] 영어, 히브리어를 할 줄 알며 아랍어, 독일어, 일본어도 조금 할 줄 안다.[59] 웨일스출신의 전 주한 EU대사로 영어, 웨일스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중국어, 튀르키예어, 러시아어, 그리스어, 네덜란드어, 스웨덴어, 덴마크어, 라틴어를 할 줄 안다.##[60] 포르투갈의 기자이자 NGC 다큐멘터리의 기자로 포르투갈어, 영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 프랑스어, 일부 아랍어를 구사할 줄 안다.#[61] 미 육군 특수부대 그린베레 출신으로 카를로스 곤의 탈출을 도왔고 아랍어 실력이 뛰어난 편이다.#[62] 모국어인 러시아어를 포함해서 영어,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아랍어, 페르시아어를 구사할 줄 안다.#[63] 독일의 정치인으로 모국어인 독일어 이외에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튀르키예어, 아랍어를 할 줄 안다. ##[64] 이스라엘의 정보 기관 모사드의 수장으로 히브리어, 영어, 프랑스어, 아랍어를 할 줄 안다.#[65] CIA의 국장으로 영어를 포함해 프랑스어, 러시아어, 아랍어를 할 줄 안다.[66] 무엇이든 물어보살에 나온 통역가, 능수 능란한 실력으로 세계테마기행에도 출연했다.[67] 우간다의 전 대통령으로 영어, 스와힐리어외에도 아랍어에도 능통했다.[68] 사우디에서 유학생활을 했고, 메다니국립이슬람대학교에서 아랍어와 이슬람 신학을 전공했다.[69] 모국어로 추정되는 페르시아어, 파슈토어외에도 아랍어, 프랑스어, 우르두어/힌디어가 유창했다.[70] 모국어인 한국어를 포함해서 일본어, 중국어, 러시아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페르시아어, 마인어, 타갈로그어들을 매우 능숙하게 구사할수 있다.[71] 네덜란드어를 포함해서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아랍어를 할 줄 안다.[72] 2018년 현재 대통령경호처장. 한국외국어대학교 아랍어과 출신이다.[73] 사우디에서 유학생활을 했었고 무슬림이자 쿠란을 한국어로 번역했다. 아랍어 전문가이기도 하다.[74] 오스트리아의 총리로 독일어를 포함해서 아랍어, 영어, 프랑스어, 스페인어, 히브리어, 헝가리어, 이탈리아어를 구사할 줄 안다.##[75] 이집트 아랍어를 구사하는건 물론, 일상회화도 가능하다.[76] 이란의 외무장관으로 사우디와의 관계개선을 아랍어로 밝혔다.#[77] 위 인삿말에 대한 대답.[78] 위 인삿말에 대한 대답.[79] 위 인삿말에 대한 대답[80] 다음에 만날 때까지.[81] 당신에게 평화가 있기를.[82] 한국의 이슬람교에서는 성공회를 제외한 개신교와 마찬가지로 신의 명칭을 하나님으로 하고 있다.[83] 아랍어로 초를 뜻하는 사니야(ثانية, ṯāniya)의 머릿글자이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