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2 01:10:07

미셸 아플라크

{{{#!wiki style="margin:-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B22222, #cf0921 20%, #cf0921 80%, #B22222)"
{{{#!wiki style="margin: 0 -10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181818,#e5e5e5
<colbgcolor=#017B48><colcolor=#FFF,#1f2023> 사무총장 미셸 아플라크 · 무니프 라자즈
<colbgcolor=#017B48><colcolor=#FFF,#1f2023> 이라크 미셸 아파크 · 사담 후세인 · 이자트 이브라힘 알 두리 · 살라 알 무크타르
시리아 누레딘 알-아타시 · 하페즈 알아사드 · 압둘라 알 아마르 (실질적)
지역 비서 이라크 푸아드 알 리카비 · 탈리브 엘 시비브 · 아메드 하산 알 바크르 · 사담 후세인 · 이자트 이브라힘 알 두리 · 살라 알 무크타르
요르단 압둘라 리마위 · 무니프 라자즈 · 아크람 알 홈시
레바논 아셈 칸소
팔레스타인 라카드 살렘
시리아 함무드 알 슈피 · 시블리 알 아이사미 · 아민 알 하피즈 · 누르딘 알 아타시 · 하페즈 알아사드 · 바샤르 알아사드
국가사령부 위원 자키 알 아르수지 · 만수르 알 아이자미 · 살라 알 딘 알 비타르 · 엘리아스 파라 · 와히브 알-가님 아민 · 알 하피즈 · 아크람 알 호라니 · 살라 자디드 · 주헤이르 모센 · 탈리브 엘 시브 · 칼레드 야슈루티
지역사령부
지역사령부 위원 이라크 모하메드 유니스 알 아메드 · 살라 오마르 알 알리 · 후다 살리 마흐디 암마쉬 · 살리 마디 암마쉬 · 타리크 아지즈 · 쿠사이 후세인 · 아드난 키랄라 · 알리 하산 알 마지드 · 아지즈 살레 알 누만 · 타하 야신 라마단 · 파우지 무트라크 알 라위 · 압드 알 칼리크 알 사마라이 · 압둘라 살룸 알 사마라이
시리아 압둘라 알 아마르 · 리파트 알 아사드 · 모하메드 사에이드 베키탄 · 마완 하바시 · 살림 하툼 · 힐랄 알 힐랄 · 모하메드 알 후세인 · 살샴 이크티야르 · 살라 자디드 · 압드 알 카림 알 준디 · 사미 알 준디 · 모하마드 지하드 알 라함 · 주헤어 마샤카 · 압드 알 카디르 카디르 카두라 · 파루크 알 샤라 · 히크마트 시하비 · 무스타파 틀라스 · 하산 투르크마니 · 무하마드 움란 · 살림 야신
예멘 알리 아마드 나세르 알 다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30px"
{{{#FFF {{{#!folding [ 이하 지도부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1f2023><colbgcolor=#017B48> 지역사령부 장관 <colbgcolor=#017B48> 이라크 푸아드 알 리카비 · 탈리브 후세인 애쉬 샤비비 · 알리 살리 알 사디 · 함디 압둘 알 마지드 · 아메드 하산 알 바크르 · 사담 후세인 · 이자트 이브라힘 알 두리
시리아 함무드 알 슈피 · 시블리 아이사미 · 아민 알 하피즈 · 누레딘 알 아타시 · 하페즈 알아사드 · 바샤르 알아사드
지역사령부 차관 이라크 사담 후세인 · 타하 야신 라마단 · 이자트 이브라힘 알 두리
시리아 파무 알 아슈리 · 무하마드 아즈 주비 · 살라 자디드 · 모하마드 자베르 바즈부즈 · 주헤어 마샤카 · 술레이만 카다 · 모하메드 사에드 베키탄 · 힐랄 힐랄
지역사령부 위원 이라크 1950 푸아드 알 리카비 · 샴스 알 딘 카짐 · 페이살 하비브 카이자라란 · 칼리드 알리 살리 알 둘레이미 · 미드하트 이브라힘 주마 · 압달라 리카비 · 탈리브 엘 시비브 · 카림 마흐무드 샨타프 · 아야드 사이드 트거주
1960 알리 살리 알 사디 · 사둔 함마디 · 하심 자와드 · 함디 압드 알 마지드 · 하니 파키키 · 하미드 칼칼 · 무신 샤이크 라디 · 아부 탈리브 알 하시미 · 아드난 카사브 · 아메드 하산 알 바크르 · 압드 알 사타르 압드 알 라티프 · 무하마드 미다위 · 살리 마디 암마쉬 · 문디르 완다위 · 타히르 야히아 · 알리 압드 알 카림 · 페이크 바자즈 · 타리크 아지즈 · 압드 알 사타르 두리 · 푸아드 샤키르 무스타파 · 카림 마흐무드 샨타프 · 살림 술탄 · 하산 하지 와다이 · 사담 후세인 · 아마드 타하 아주즈 · 무하마드 마주브 · 압둘라 살룸 알 사마라이 · 압드 알 칼리크 알 사마라이 · 하단 알 티크리티 · 압드 알 카림 알 샤이클리 · 무르타다 알 하디티 · 타하 야신 라마단 · 살라 오마르 알 알리 · 이자트 무스타파 · 이자트 이브라힘 알 두리 · 사미르 압드 알 아지즈 나잠 · 압드 알 와합 카림
1970 타이 압드 알 카림 · 아드난 하산 압바스 알 함다니 · 가님 압드 알 잘릴 · 이자트 무스타파 · 풀레이 하산 자심 · 압둘라 파딜 사마라이 · 무하마드 아이시 하마드 · 무히 압드 알 후세인 마샤디 · 타히르 알 아니 · 압드 알 파타 알 야신 · 자파르 카심 함무디 · 히크마트 이브라힘 알 아자위 · 부한 무스타파 · 아드난 키랄라 · 나임 하다드 · 하산 알리 · 사둔 샤키르
1980 사디 마디 살리 · 모하마드 암자 주베이디 · 사미르 무하마드 압드 알 와합 · 압드 알 하산 라히 마훌 알 피란 · 압드 알 가니 압드 알 가푸르 · 카밀 야신 라시드 · 미즈반 키드르 하디 · 알리 하산 알 마지드 · 라티프 누사예프 자심
1990 카다르 압드 알 아지즈 후세인 · 아마드 압드 알 라흐만 · 누리 페이살 샤히르 · 미지르 마티 알 아우와드 · 파우지 칼라프 · 무하마드 함지 알 주바이디 · 무하마드 알 아마드 · 무하마드 짐맘 압드 알 라자크 · 압둘 바키 알 사둔 · 파딜 이브라힘 알 마샤다니 · 사미르 압드 알 아지즈 알 나임 · 아지즈 압둘라 · 아지즈 살레 누마
2000 쿠사이 후세인 · 야야 압둘라 알 아부디 · 우클라 압드 사카르 · 라시드 타안 카짐 · 파딜 마흐무드 가리브 · 무신 쿠다에르 알 카파지
시리아 1960 함무드 알 슈피 · 칼리드 알 하킴 · 누레딘 알 아타시 · 마흐무드 나우팔 · 아마드 아부 살리 · 하마드 우바이드 · 하페즈 알아사드 · 무함마드 랍베 알 타빌 · 아민 알 하피즈 · 살라 재디드 · 시블리 아이사미 · 무하마드 움란 · 압둘 알 카림 알 준디 · 파미 알 아슈리 · 술라이메른 알 알리 · 무함마드 아즈 주비 · 사미 알 준디 · 자밀 시야 · 유수프 주아이인 · 마흐무드 아즈 자유쉬 · 알 왈리드 탈렙 · 하비브 하데드 · 무스타파 루스툼 · 아데센 쉬뮌 · 무스타파 틀라스 · 살림 하툼 · 무함마드 이드 아샤위 · 마완 하바시 · 페이즈 알 주셈 · 히심 헤이자 · 아마드 수와디니 · 케멜 후사인 · 브라힘 막하우스 · 압둘 하미드 알 미크다드 · 하디타드 무라드 · 무하마드 사이드 탈렙 · 아델 네이사 · 하무드 알 카바니 · 아마드 셰이크 카심 · 아니스 칸주
1970 압델 간프 이브라힘 · 나지 자밀 · 압둘 라만 클라이파위 · 압둘 할림 카담 · 압둘라 알 아마르 · 무하마드 알리 알 할라비 · 마흐무드 알 아유비 · 무하마드 하이다르 · 아마드 알 카티브 · 무하마드 탈렙 힐랄 · 다우드 아르 라데위 · 파미 알 유수피 · 압둘 카림 애들 · 모하마드 자베르 바즈부즈 · 자베 알 카프리 · 압달라 알 아마드 · 무이브 슈넨 · 조지 샌드디크니 · 아디브 밀힘 · 이삼 안나이브 · 타하 알 카이라트 · 주헤어 무샤리카 · 리파아트 알 아사드 · 아마드 디야브 · 마흐무드 하디드 · 유수프 알 아사드 · 아마드 알 하산 · 나흐브 하센
1980 아마드 이스칸다르 아마드 · 히크마트 알 시하비 · 나스루딘 나시르 · 압드 알 카디르 카디르 카두라 · 왈리드 함둔 · 타우피크 살라 · 이주딘 나시르 · 마흐무드 주아비 · 사이드 하마디 · 와히브 탄누스 · 압둘 라우프 알 카즘 · 일리아스 알 라티 · 술레이만 카다 · 아마드 카발란 · 압드 알 라자크 아이유브 · 아마드 다르검 · 파예즈 나시르 · 라시드 아크타리니
2000 바샤르 알아사드 · 무하마드 무스타파 메로 · 무하마드 나지 알 오타리 · 파루크 알 샤라라 · 살림 사이드 야신 · 이브라힘 니나이디 · 파루크 아부 샤마트 · 기야브 바라캇 · 왈리드 알 부즈 · 모하마드 알 후세인 · 마제드 샤두드 · 모하메드 새드 베키탄 · 하산 투르크마니 · 히샴 이크티야르 · 오사마 빈 하메드 아디 · 야세르 타우피크 아워리에 · 바삼 얀비에 · 다우드 엘리야 · 하이텀 사타히 · 샤히나즈 파쿠시
2010 와엘 네이더 알 할키 · 모하마드 지하드 알 라함 · 모하마드 암마르 사아티 · 이마드 카미스 · 모하마드 샤반 아조즈 · 힐랄 알 힐랄 · 압둘 나세르 샤피 · 압둘 모티 알 마슈랩 · 페어루즈 무사 · 라칸 알 쇼피 · 유세프 알 아마드 · 나임 알 아마드 · 칼라프 알 미파 · 후세인 아르누스 · 말렉 알리 · 하디아 압바스 · 파드 자셈 알 프레이즈 · 무센 빌랄 · 마디 다크랄라 · 후다 알 홈시 · 야세르 알 쇼피 · 암마르 시발리 · 함무다 사바그 }}}}}}}}}}}}
}}}}}}}}}}}}}}}}}} ||
'''[[아랍 내셔널리즘|{{{#!wiki style="display: inline-flex; width: 40px; border: 1px solid #000; vertical-align: middle"'''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fff><colbgcolor=#ce1126> 역사 <colcolor=#000,#fff>후세인-맥마흔 서한 · 아랍 반란 · 1936년 팔레스타인 대반란 · 중동전쟁,이스라엘 건국 전쟁 · 수에즈 위기 · 6일 전쟁 · 욤 키푸르 전쟁, · 알제리 전쟁 · 북예멘 내전 · 제1차 인티파다 · 제2차 인티파다 · 아랍의 봄(2018년 아랍 시위)
관련 개념 아랍 · 아랍인
관련 국제기구 아랍 연맹
국가 연합 아랍 연합 공화국 · 아랍 공화국 연방 · 아랍 이슬람 공화국 · 아랍 합중국 · 아랍 연방
음악 오 나의 무기여, 오랜 시간이 지나왔구나 · 위대한 조국
사상 아랍 사회주의(나세르주의,카다피주의 · 자마히리야, · 바트주의,아사드주의 · 후세인주의,) · 범아랍주의 · 대소말리아주의
관련 인물 샤리프 후세인 · 파이살 1세 · 가말 압델 나세르 · 무아마르 카다피 · 미셸 아플라크 }}}}}}}}}

1. 개요2. 생애3. 사상4. 여담5. 둘러보기

1. 개요

ميشيل عفلق

시리아, 이라크의 정치인, 아랍 내셔널리즘, 아랍 사회주의의 이론가로 1947년 바트당을 창당한 인물이다. 아랍계 기독교인의 입장에서 무슬림들과 화합할 것을 주장하였으며 모든 아랍인들이 종교를 떠나 단일 국가로 통일해야 하며 단일화된 아랍 국가는 사회 정의 원칙에 기초할 것을 주장한 것으로 유명하다.

2. 생애

1910년 1월 9일 시리아 다마스쿠스의 안티오키아 그리스 정교회 가정에서 태어났다. 시리아의 아랍계 기독교인들은 종파에 따라 서로 견해가 달랐는데 그의 가정은 정교회와 동일한 교리를 믿되 아랍어를 전례 언어로 사용하는 안티오키아 총대교구에 속해 있었다.[1]

파리의 소르본 대학에서 유학한 그는 살라흐 앗딘 알비타르를 만나 친분관계를 쌓았으며 1932년 시리아로 돌아와 공산주의 운동에 참여하였다. 이후 시리아-레바논 공산당이 프랑스 식민 당국에 협조하는 모습을 보이자 아플라크는 공산당과의 관계를 끊고 소르본 대학에서 친분을 쌓았던 살라흐 앗딘 알비타르와 함께 1947년 바트당을 창당하였다.

1989년 6월 23일 사망했다.

3. 사상

그는 정치와 종교가 완전히 분리된 형태의 정부 형태를 지향하였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아랍 세계가 과거 우마이야 왕조, 압바스 왕조와 마찬가지로 종교를 초월하는 하나의 아랍 국가로 통합되어야만 본격적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서구 자본주의공산주의에 모두 비판적이었으며 변증법적 유물론에도 회의적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가 주장한 바트주의는 서구에서 정의한 국제 사회주의 운동의 일부가 아닌 아랍 문화를 반영한 고유의 사회주의가 되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4. 여담

이라크 바트당의 사담 후세인은 그가 사망하기 직전에 비공개적으로 이슬람으로 개종했다고 주장하였으나 확실한 증거는 없다. 그가 이슬람으로 개종했다는 설은 사담 후세인이 자신들을 지지하는 순니파 근본주의자들을 달래고 바트주의의 정당성을 무슬림들 앞에서 홍보하기 위해서 부풀린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5.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ce1126><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역사 · 국가 역사 전반 · 메소포타미아 문명 · 미탄니 · 아람 · 신바빌로니아 · 알렉산드로스 제국 · 셀레우코스 제국 · 팔미라 제국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아이유브 왕조 · 시리아 아랍 왕국 · 시리아-레바논 · 아랍 연합 공화국 · 바트주의 시리아 · 시리아 민주화 운동 · 시리아 내전
정치·치안·사법 정치 전반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자격정지
경제 경제 전반 · 시리아 파운드
국방 자유 시리아군
문화 문화 전반 · 메소포타미아 신화 · 메소포타미아 음악 · 쐐기 문자 · 만다야교 · 아람어 · 시리아 정교회 · 시리아 가톨릭 · 요리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방언
인물 제노비아 · 이븐 타이미야 · 이븐 카시르 · 라시드 리다 · 미셸 아플라크 · 하페즈 알 아사드 · 바샤르 알 아사드 · 수헤일 알 하산 · 마헤르 알아사드
지리 유프라테스강 · 골란 고원 · 로자바 · 레반트
민족 시리아인(아르메니아계) · 시리아계 브라질인 · 시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시리아계 멕시코인 · 쿠르드족 · 아시리아인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color=#007a3b><colbgcolor=#fff> 상징 <colcolor=#000,#fff>국가 · 옛 국가 (1955~1981) (1981~2003) · 이라크/국기 · 국장
역사 역사 전반 · 메소포타미아 문명 · 수메르 · 아카드 · 우르 제3왕조 · 바빌로니아 · 미탄니 · 아시리아 · 신바빌로니아 · 우마이야 왕조 · 라흠 왕국 · 아바스 왕조 · 함단 왕조 · 부와이 왕조 · 우카일 왕조 · 장기 왕조 · 잘라이르 왕조 · 흑양 왕조 · 백양 왕조 · 메소포타미아 위임통치령 · 이라크 왕국 · 이라크 제1공화국 · 바트당 집권 이라크 · 걸프 전쟁 · 이라크 전쟁 · 이라크 연합국 과도 행정처 · 이라크 내전(제1차 이라크 내전 · 제2차 이라크 내전) · 이라크 반정부 시위
정치·
치안·
사법
정치 전반 · 황금 광장 · 바트당 · 쿠르디스탄 민주당 · 쿠르디스탄 애국 연합 · 이라크 대통령
외교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이슬람 협력기구 · 김선일 피랍 사건
경제 경제 전반 · 이라크 디나르
국방 이라크군 · 특수 공화국 수비대 · 페슈메르가
문화 문화 전반 · 메소포타미아 신화 · 메소포타미아 음악 · 쐐기 문자 · 만다야교 · 칼데아 가톨릭 · 요리 · 마스코프 · 사문 · 클레이차 · 이라크 축구 국가대표팀 · 이라크 프리미어 리그 · 아랍어 방언
인물 길가메시 · 이븐 알하이삼 · 사담 후세인 · 잘랄 탈라바니 · 푸아드 마숨 · 바르함 살리흐 · 압둘 라티프 라시드 · 마수드 바르자니 · 네치르반 바르자니 · 나디아 무라드
지리 유프라테스강 · 티그리스강 · 자그로스산맥 · 알자지라 · 이라크 쿠르디스탄 · 그린 존 · 마슈리크
민족 이라크인(아르메니아계) · 아시리아인 · 야지디족 · 이라크 흑인 · 이라크계 스웨덴인 · 투르코만 }}}}}}}}}


[1] 마론파교황수위권을 인정한 중동의 기독교 종파들이 무슬림들에게 매우 적대적이었던 것과는 다르게 정교회는 무슬림들과 충돌이 적은 편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