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 (國旗) 정렬 가나다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가이아나 | 미국 | 볼리비아 | 브라질 | |||||||
온두라스 | 캐나다 | 쿠바 | 파라과이 | 페루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대만 | 대한민국 | 레바논 | ||||||||
베트남 | 북한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시리아 | ||||||
예멘 | 이라크 | 이스라엘 | 인도 | |||||||
일본 | 중국 | 태국 | ||||||||
필리핀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가나 | 가봉 | 남수단 | 레소토 | |||||||
리비아 | 말라위 | 모로코 | 앙골라 | |||||||
우간다 | 이집트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나우루 | 뉴질랜드 | 바누아투 | ||||||||
사모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
팔라우 | 피지 | 호주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그리스 | 네덜란드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
러시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스페인 |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지위상실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소련 | 티베트 | }}}}}}}}}}}}}}} | ||||||||
관련 틀: 국장 · 국가 · 국호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color=#ce1126><colbgcolor=#fff>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기 · 국장 |
역사 · 국가 | 역사 전반 · 메소포타미아 문명 · 미탄니 · 아람 · 신바빌로니아 · 알렉산드로스 제국 · 셀레우코스 제국 · 팔미라 제국 · 우마이야 왕조 · 아바스 왕조 · 아이유브 왕조 · 시리아 아랍 왕국 · 시리아-레바논 · 아랍 연합 공화국 · 시리아 아랍 공화국 · 시리아 민주화 운동 · 시리아 내전 | |
정치·치안·사법 | 정치 전반 | |
외교 | 외교 전반 · 아랍 연맹 · | |
경제 | 경제 전반 · 시리아 파운드 | |
국방 | 자유 시리아군 | |
문화 | 문화 전반 · 메소포타미아 신화 · 메소포타미아 음악 · 쐐기 문자 · 만다야교 · 아람어 · 시리아 정교회 · 시리아 가톨릭 · 요리 · 시리아 축구 국가대표팀 · 아랍어 방언 | |
인물 | 제노비아 · 이븐 타이미야 · 이븐 카시르 · 라시드 리다 · 미셸 아플라크 · 하페즈 알 아사드 · 바샤르 알 아사드 · 수헤일 알 하산 · 마헤르 알아사드 | |
지리 | 유프라테스강 · 골란 고원 · 로자바 · 레반트 | |
민족 | 시리아인(아르메니아계) · 시리아계 브라질인 · 시리아계 아르헨티나인 · 시리아계 멕시코인 · 쿠르드족 · 아시리아인 |
시리아 국기 علم سوريا | |
<colcolor=#fff><colbgcolor=#000> 국가 | [[시리아| ]][[틀:국기| ]][[틀:국기| ]] |
채택일 | 2024년 12월 8일 (시리아) |
비율 | 2:3 |
유니코드 |
1. 역대 국기
[clearfix]
1. 역대 국기
- 1. 시리아 아랍 왕국 국기 (1920년 3월 8일 ~ 7월 4일)
- 2. 시리아-레바논 위임통치령 국기 (1920년 7월 4일 ~ 9월 1일) 이후 위임통치령을 여러 구역으로 나눠 독자적인 국기를 썼다.
- 4. 시리아 공화국 시기의 국기 (1930~1958).
1930년대 프랑스 위임 통치령 시기에 제정되어 독립 후에도 국기로 공식 제정되어 사용되어 왔으며 가로 녹백흑의 3색기 안에 3개의 붉은 별이 새겨져 있었다. 제안 당시 녹색, 흰색, 검은색은 각각 정통 칼리파조, 우마이야 왕조, 아바스 왕조를, 세 개의 별은 시리아를 구성하는 세 지방인 알레포, 다마스쿠스, 데이르에조르를 상징하는 것으로 되어 있었으나, 1936년에 프랑스 위임통치령을 구성하던 알라위국과 자발 드루즈국이 통합되면서 세 별의 의미는 통합 이전의 시리아국, 알라위국, 자발 드루즈국을 상징하는 것으로 재해석되었다. 또한 독립 이후에는 검은색은 어두웠던 과거를, 흰색은 밝은 미래를, 붉은색은 과거의 투쟁에서 흘린 피를 상징하는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였다. 시리아 내전 발발 이후에는 반군인 시리아 임시정부가 아사드 정권을 부정하려는 의미에서 채택해 반군의 상징기로도 사용하고 있다.[1] 아사드 독재정권에 반대하면서 시리아 내전 시기 해외로 망명한 시리아인들은 여전히 현 아사드 정권의 독재정치에 반대하는 의미에서 이 옛 국기를 사용하고 있다. 특히 2024년 12월 알아사드가 쫓겨난 이후에 아직 공식적 국기는 없지만 사실상 옛 가로 녹백흑 삼색기가 대표적인 깃발로 쓰인다.
- 5. 이집트와 시리아가 통합해 구성한 아랍 연합 공화국(1958~1961) 시기에 사용했던 국기
가운데의 별 2개는 이집트와 시리아를 표상한다.[2] 시리아가 1961년 쿠데타로 탈퇴하고 이집트와의 통합 결성 이전의 시리아 공화국 시기의 국기를 다시 쓰게 되면서, 이 국기는 1980년 하페즈 알 아사드 정권 중반에 아랍 통합의 의지를 나타내고자 다시 시리아 국기로 제정될때까지 근 19년간 쓰이지 않았다.
- 6. 시리아 공화국 시기의 국기 (1961~1963).
- 7. 1963년 바트당의 쿠데타 직후 1960년대에서 70년대 초까지 쓰인 국기(1963~1972).
적백흑의 삼색기 안에 초록색 별 3개가 그려져 있었는데, 비슷한 시기에 바트당이 집권했던 이웃나라 이라크도 이 국기를 사용했었다.[3] 다만 1970년대 초반기까지밖에 쓰지 않았던 시리아와 달리 이라크는 1980년대에서 90년대 초까지 이 국기를 사용했었다.
적백흑 가로 삼색기 안에 쿠라이시의 매 문장이 그려져 있었으며 같은 시기 이집트와 리비아도 유사한 국기를 사용했었다[4]. 그러나 1973년 제4차 중동전쟁 종전 뒤인 1977년 이집트가 이스라엘과의 화해 정책을 취하면서 이스라엘과의 평화 조약에 격분한 리비아와 시리아가 이집트와의 관계를 단절하여 아랍 공화국 연방은 해체되었고 이후 리비아는 1977년에 녹색으로만 이뤄진 국기를 제정해 쓰고, 시리아도 1980년 아랍 연합 공화국 시절의 국기를 다시 채택하면서 이 국기는 사라졌다. 한편 이집트는 이스라엘과의 화해 정책으로 인해 아랍 공화국 연방이 깨진 뒤에도 1980년대 초까지 계속해서 이집트 국기로 사용하다가 1984년에 이집트에서 살라흐 앗딘의 독수리 국장을 새 국장으로 제정하고 새 국장이 그려진 국기를 새로 채택하면서 폐지했다.
- 9. 시리아 아랍 공화국의 국기(1980년 3월 30일 ~ 2024년 12월 8일).
- 10. 2024년 12월 8일 바샤르 알아사드의 독재 정권 붕괴 이후 이전 시리아 공화국 시절 때 국기를 비율만 바꿔서 다시 채택하였다.
[1] 알 카에다 계열 반군은 녹백흑 3색기 안에 붉은 글씨로 쓴 아랍어 샤하다가 들어간 깃발을 사용한다.[2] 참고로 별 1개짜리 국기는 북예멘에서 사용했다.[3] 시리아는 1:2, 이라크는 2:3 비율이었다.[4] 문장 안에 국호가 적혀 있고, 이것만 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