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기 (國旗) 정렬 가나다순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메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가이아나 | 미국 | 볼리비아 | 브라질 | |||||||
온두라스 | 캐나다 | 쿠바 | 파라과이 | 페루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시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대만 | 대한민국 | 레바논 | ||||||||
베트남 | 북한 | 브루나이 | 싱가포르 | 시리아 | ||||||
예멘 | 이라크 | 이스라엘 | 인도 | |||||||
일본 | 중국 | 태국 | ||||||||
필리핀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아프리카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가나 | 가봉 | 남수단 | 레소토 | |||||||
리비아 | 말라위 | 모로코 | 앙골라 | |||||||
우간다 | 이집트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오세아니아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나우루 | 뉴질랜드 | 바누아투 | ||||||||
사모아 | 키리바시 | 통가 | 투발루 | |||||||
팔라우 | 피지 | 호주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유럽 ] {{{#!wiki style="margin: -5px 0 -5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그리스 | 네덜란드 | 덴마크 | 독일 | 라트비아 | ||||||
러시아 | 리투아니아 | 스웨덴 | 스페인 | |||||||
아르메니아 | 아이슬란드 | 에스토니아 | ||||||||
오스트리아 | 이탈리아 | 크로아티아 | 튀르키예 | 포르투갈 | ||||||
폴란드 | 프랑스 | 핀란드 | 헝가리 | }}}}}}}}}}}}{{{#!wiki style="display:inline-table; min-width:7em; min-height:2em" {{{#!folding [ 지위상실 ] {{{#!wiki style="margin: -5px 0 -10px" {{{#!wiki style="letter-spacing: -1.3px;" | ||||||
소련 | 티베트 | }}}}}}}}}}}}}}} | ||||||||
관련 틀: 국장 · 국가 · 국호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colbgcolor=#c7042c> 상징 | <colcolor=#000,#fff>국가 · 국호 · 국기 |
역사 | 역사 전반 · 바이킹 · 이교도 대군세 · 크누트 대왕 · 북해 제국 · 칼마르 동맹 · 덴마크-노르웨이 왕국 · 슐레스비히-홀슈타인 문제 · 제2차 슐레스비히 전쟁 | |
지리 | 행정구역 · 북유럽 · 유틀란트반도 · 페로 제도 · 프리지아 제도 · 발트 해 · 그린란드 · 세상의 끝(지명) | |
정치 | 정치 전반 · 덴마크 국왕 · 글뤽스부르크 왕조 · 아말리엔보르 궁전 · 덴마크 총리 · 덴마크 의회 | |
외교 | 외교 전반 · 북유럽 협의회 · 스웨덴-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덴마크-노르웨이 관계 · 스웨덴-덴마크 관계 · 스칸디나비아주의 · 북극이사회 · 유럽연합 · 여권 | |
경제 | 경제 전반 · 덴마크 크로네 · 머스크라인 | |
교통 | 철도 환경 | |
국방 | 덴마크군 · 육군 · 해군 · 공군 · 북대서양 조약 기구 | |
문화 | 관광 · 북유럽 신화 · 루터교회(덴마크 교회·페로 제도 교회) · 한스 크리스티안 안데르센 · 레고(레고랜드) · 덴마크 영화 · 덴마크 드라마 · 덴마크 요리 · 크리스마스 씰 · DR · 덴마크 축구 국가대표팀 · 덴마크 수페르리가 · 아쿠아(밴드) | |
언어 | 고대 노르드어 · 덴마크어 · 페로어 · 그린란드어 | |
기타 | 덴마크인(러시아계) · 노르드족 · 데인족 · 덴마크계 미국인 · 덴마크계 러시아인 · 덴마크계 아르헨티나인 · 덴마크계 캐나다인 · 덴마크계 멕시코인 · 덴마크/인구 · 크리스티아니아 |
덴마크 국기 Dannebrog | |
| |
국가 | [[덴마크| ]][[틀:국기| ]][[틀:국기| ]] |
채택일 | 1219년 6월 15일 ([age(1219-06-15)]주년) |
비율 | 28:37 |
유니코드 | 🇩🇰 |
[clearfix]
1. 개요
2. 역사
덴마크 국기의 기원에 관한 전설로 1219년 에스토니아 십자군을 위해 출병한 발데마르 2세 승리왕(Valdemar Sejr, 1170–1241)이 현재의 탈린인 륀다니세(Lyndanisse)에서 벌어진 전투에서 에스토니아인 이교도들에게 패전 위기에 몰린 절체절명의 상황에서 하늘에 빨간 바탕에 하얀 십자가 그려진 국기가 나타난 것을 보고 승리를 거두었다는 데서 전해졌다고 한다.16세기부터 상선기로 사용된 덴마크 국기는 1785년에 덴마크 육군의 기로, 1842년에 모든 덴마크군의 기로 사용되었다. 이후 19세기 전반 동안 군기가 국가 자체를 대표하는 상징물로 여겨지게 되면서 1830년대까지 덴마크 군기는 비공식적으로 국기의 지위를 누렸다.
1834년 1월 7일 제정된 회람에서 민간인들에 의한 군기의 사용이 금지되었으나, 1848년부터 1850년까지 일어난 제 1차 슐레스비히 전쟁으로 덴마크 국기는 매우 광범위하게 사용되었고, 1854년 7월 7일에는 모든 덴마크 국민이 덴마크 국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개인 사용 금지가 폐지되었다.
1886년 덴마크 전쟁부에서는 헌법 제정일과 군사 전투를 위한 추모일을 비롯해 총 13개의 지정된 날에 덴마크 국기를 게양해야 한다는 규정을 도입했고, 1913년 해군부에서는 자체적으로 국기의 날 목록을 발표했다.
1915년 4월 10일 이후부터는, 국빈 방문 등 특별히 필요한 경우 및 외국 영토로 간주되는 외교 공관이나 외국 선박 등을 제외하고는, 덴마크 영토에 다른 어떤 국기도 게양하는 것이 금지되었다.
3. 다양한 형식의 덴마크 국기
|
덴마크 국기 |
|
덴마크 정부기[비율] |
|
덴마크 왕실기[비율] |
|
전쟁 시 덴마크 국기 및 해군기[비율] |
4. 도안법
<colbgcolor=#f5f5f5,#000000> 도안법 | | |
색상 | 208, 12, 51 #d00c00 | 255, 255, 255 #ffffff |
[1] 기네스북에 "가장 오래된 계속 사용된 국기"로 등재되었다.[비율] 가로세로 비율이 107:56이다.[비율] 가로세로 비율이 107:56이다.[비율] 가로세로 비율이 107:56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