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19 10:44:43

스와힐리어

반투어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2px"
스와힐리어 · 줄루어 · 코사어 · 르완다어 · 소토어 · 팡어 · 링갈라어 · 스와티어 · 은데벨레어 · 쇼나어 · 룬디어 · 코모로어 · 츠와나어 · 체와어 · 헤레로어 · 키쿠유어 · 총가어}}}}}}}}}
스와힐리어
Kiswahili
Swahili language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Maeneo_penye_wasemaji_wa_Kiswahili.png 원어민 범위
공용어 범위
이중언어 범위
<colcolor=#fff,#000><colbgcolor=#22DD22> 유형 교착어
어순 주어-서술어-목적어(SVO)
서자방향 좌횡서(왼쪽부터 가로쓰기)
문자 로마자
아랍 문자(과거)
점자 스와힐리어 점자
주요 사용 지역
(또는 공용어 지정 국가)

[[탄자니아|]][[틀:국기|]][[틀:국기|]]

[[케냐|]][[틀:국기|]][[틀:국기|]]

[[우간다|]][[틀:국기|]][[틀:국기|]]

[[르완다|]][[틀:국기|]][[틀:국기|]]

[[부룬디|]][[틀:국기|]][[틀:국기|]]

[[콩고민주공화국|]][[틀:국기|]][[틀:국기|]]

[[소말리아|]][[틀:국기|]][[틀:국기|]]

[[모잠비크|]][[틀:국기|]][[틀:국기|]]
원어민 약 1800만 명
총 사용자 약 5500만 명
계통 니제르콩고어족
애틀랜틱콩고어파
볼타콩고어군
베누에콩고어
반투제어군
남부 반투제어군
반투어군
중부 반투어군
G 그룹
사바키어
스와힐리어
언어 코드 <colcolor=#000,#fff><colbgcolor=#00FF80> ISO 639 SW
Namuwiki: mti wa maarifa tunakua pamoja.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2. 사용 지역3. 기원4. 문자5. 문법6. 어휘7. 한국에서의 학습8.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외래어 단어9. 스와힐리어를 할 줄 아는 인물10. 대중 매체에서
10.1. 캐릭터10.2. 이름만 스와힐리어에서 따온 것
11. 들어보기12. 기타13. 언어별 명칭14. 관련 문서15. 외부 링크 및 관련 기사16. 참고 자료

[clearfix]

1. 개요

스와힐리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 1조[1][2]
스와힐리어(Kiswahili)스와힐리족의 모어이자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널리 쓰이는 반투어족 언어이다. 탄자니아, 케냐, 우간다, 그리고 모잠비크 북동부 해안에 그 원어민의 수가 제일 많이 분포되어 있다. 해당 세 국가 및 콩고민주공화국, 르완다, 부룬디, 말라위에서 공용어로 지정되어 있으며 또한 아프리카 연합의 공용어이기도 하다. 이에 스와힐리어는 스와힐리어권을 넘어 동아프리카 지역의 링구아 프랑카로 사용되기도 하며 아프리카 대륙에서 가장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토착 언어이다.

2. 사용 지역

원래는 동아프리카의 스와힐리 지역에 사는 스와힐리족의 언어이지만, 동아프리카 지역의 공통어 구실을 하고 있다. 대표적인 사용 국가는 탄자니아케냐로 이들 국가들은 스와힐리어를 국어로 지정했다.[3] 그 밖에 우간다, 콩고민주공화국, 르완다, 부룬디, 말라위, 마다가스카르 등지에서도 교역어로 사용된다. 르완다와 부룬디는 동아프리카 공동체의 회원국들이기 때문에 케냐, 탄자니아와 교류, 교역을 위해 스와힐리어 교육을 의무적으로 실시한다. 모잠비크 내에도 스와힐리어 화자가 소수 존재하고 음와니어라는 스와힐리어의 방언도 쓰인다. 남아공과 보츠와나에선 스와힐리어가 주요 외국어이고 에티오피아의 아디스아바바 대학에 스와힐리어 과정이 설치돼 있다.#

본 항목의 사용 지역 지도에는 표시되지 않았지만, 소말리아의 남부 지역에서도 통용되고 심지어는 아프리카 연합의 공용어로도 지정되었다. 동아프리카 공동체에선 스와힐리어가 영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오만에도 일부 사용자가 거주한다. 코모로는 스와힐리어와 가까운 계통인 코모로어가 아랍어, 프랑스어와 함께 공용어로 지정되었다. 그래서 스와힐리족은 70만 명뿐이지만 스와힐리어를 쓰는 화자는 3000만 명 이상이나 된다. 그러다보니 스와힐리어가 널리 쓰이는 지역들은 스와힐리어권으로 부른다.

케냐와 탄자니아가 영어와 스와힐리어가 공용어이자 널리 사용되고 있어서 스와힐리어와 영어가 섞인 이라는 혼합언어도 존재한다.

스와힐리어가 아프리카에서 영향력이 큰 언어라 스와힐리어를 바탕으로 아프리힐리라는 인공어가 생겨났다.

3. 기원

아프리카 최대 어족인 반투어족에 속하는 언어이지만 아랍어의 영향을 상당히 받았는데, 동아프리카 지역에서 일찍이 아랍 상인들이 진출하고 교역하는 과정에서 문자를 포함한 어휘적 영향이 컸기 때문. 또 스와힐리족 본인들이 교역을 업으로 삼는 사람들이었기에[4] 이들의 언어가 동아프리카 각지에 퍼졌고, 이 과정에서 특정 종족의 민족어보다는 서로 다른 여러 부족 사이의 통용어 구실을 하면서 발전해 왔다. 특히 영어나 프랑스어, 포르투갈어 등 옛 식민지 종주국의 언어를 여러 가지 사정상 그대로 물려받아 공용어로 사용하는 다른 아프리카 국가와 달리 탄자니아는 스와힐리어를 유일한 국어(national language)로 지정했으며, 케냐에서도 스와힐리어는 공용어인 영어와는 별도로 국어(National language)로 지정했다.

4. 문자

과거에는 아랍 문자를 사용했지만 현재에는 로마자를 사용한다.[5] /ŋ/ 발음이 나는 ng'를 제외하면 모두 부호가 붙지 않은 기본 로마자만 사용한다.[6]

5. 문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와힐리어/문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어휘

전술했다시피 종교적인 영향으로 아랍어에서 유래된 어휘[7]가 많이 존재한다. 아랍어는 스와힐리 일대가 아랍과의 교역과 이슬람교를 받아들이면서 아랍어에서 유래된 어휘, 표현들이 많이 쓰이고 있다. 특히, 종교 용어에서 아랍어의 영향이 강하다. 다만, 아랍어의 영향을 강하게 받았다고 해도 전반적으로는 반투어 계통의 어휘도 많이 쓰인다. 그리고 주변 국가의 반투어족 언어에도 스와힐리어와 비슷한 어휘들이 존재한다.

그 외에도 페르시아어,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에서도 유래된 단어들도 존재한다. 특히, 케냐와 탄자니아 등은 영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이 존재하지만, 콩고민주공화국 등 벨기에의 지배를 받았던 곳에서는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가 많이 쓰인다. 케냐에서 쓰이는 어휘는 영어의 영향을 받은 어휘가 많이 쓰인다.[8] 반면, 탄자니아는 독일의 지배를 받았기 때문에 일부 독일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이 쓰인다.[9] 케냐와 탄자니아에서 쓰이는 어휘, 표현이 일부 차이가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큰 차이가 없는 편이다.

스와힐리어가 영향력이 강한 언어이기 때문에 주변 언어들중에는 스와힐리어의 영향을 받는 경우가 많이 있다. 말라가시어는 계통이 다르지만, 스와힐리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이 쓰인다.

7. 한국에서의 학습

한국에서는 한국외대서울대, 단국대, 고신대에서 스와힐리어를 가르치고 일부 책을 발행했다.[10] 온라인 사전 중 네이버 사전다음 사전에도 스와힐리어 사전을 수록했다. 또한,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들 중 하나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학부 동아프리카어 전공에서 전공서로써 수강 가능하다.
서울대에서는 스와힐리어 교양 강좌를 수강한 학생에게 소정의 금액만 지불하면 한국인으로서 평생 한 번 가보기도 힘든 동아프리카 현장 학습을 시켜 줬지만 2014 서아프리카 에볼라 유행 이후로 폐지했다. 서아프리카와 동아프리카는 한국과 동남아시아 이상으로 멀기 때문에 지나친 기우인 듯하다.[11]

고신대에서는 매년 학기마다 학생들 몇 명을 케냐의 데이스타 대학교에 교환 학생으로 보내는데 교환 학생으로 갈 경우 현지 케냐 데이스타대학교에서도 스와힐리어를 수강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 또한 케냐 데이스타대학교에서도 많은 학생이 고신대학교에 교환 학생으로 와 있어 캠퍼스 내 스와힐리어가 심심찮게 들린다.

듀오링고에서 영어로 진행되는 스와힐리어 과정이 베타 버전으로 있다.

ECK교육에서 스와힐리어 강좌를 제공하고 도 발간했다.#

8. 한국어에서 자주 쓰이는 외래어 단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한국어의 외래어/기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스와힐리어를 할 줄 아는 인물

※ 모국어가 스와힐리어인 인물 제외

10. 대중 매체에서

10.1. 캐릭터

※ 단순히 주문이나 마법 스킬명을 스와힐리어로 외치는 것은 제외.
※ 스와힐리어권 출신인 캐릭터 제외. 단 하프나 쿼터인 경우는 등재가 가능하며 볼드체로 표기할 것.

10.2. 이름만 스와힐리어에서 따온 것

11. 들어보기


BBC 스와힐리어 뉴스


문명 4의 OST인 바바 예투. 게임 배경 음악과 달리 실제 스와힐리어 화자가 부르는 것이다.


아기 상어 스와힐리어 버전


Zuchu의 Sukari(설탕). 조회수 7천만 건 이상의 아프리카에서 히트한 음악이다.

12. 기타

일본의 지명인 구마모토는 스와힐리어로 성적인 행위 직전 여성의 그곳을 뜻하는 말이다. 이 때문에 아프리카에서는 일본에 구마모토라는 지명이 있다는 것을 듣고 웃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버락 후세인 오바마 전 미국 대통령의 이름 중 '버락(Barack)'은 스와힐리어에서 따온 것으로 "신의 축복을 받은 자"라는 뜻이다. 영어의 병영을 뜻하는 Barrack이 아니다. 그리고 본 단어는 아랍어 'barakah'에서 온 말이다.[24]

13. 언어별 명칭

영어 Swahili[25] (language)
암하라어 ስዋሂሊ
아랍어 سواحيلى
러시아어 Суахили
중국어 斯瓦希里语/斯瓦希里語[26]
일본어 スワヒリ語
라틴어 Lingua Suahelica

14. 관련 문서

15. 외부 링크 및 관련 기사

16. 참고 자료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9
, 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9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1] 이 사람은 탄자니아 출신이다.[2] 한국어 해석: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그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인간은 천부적으로 이성과 양심을 부여받았으며 서로 형제애의 정신으로 행동하여야 한다.[3] 탄자니아는 법적 공용어는 없고 스와힐리어는 국어이지만, 영어도 널리 쓰인다. 케냐에서는 영어가 공용어 중 하나이다.[4] 아라비아는 기본이고 인도나 심지어 중국까지도 항해했다고 한다. 실제로 중국 도자기가 가끔 발견된다.[5] 단, 스와힐리어 계통의 코모로어는 지금도 로마자와 아랍 문자를 사용한다.[6] 그냥 ng는 /ŋɡ/ 발음.[7] suku(시장), lugha(언어), raisi(대통령/대표), msikiti(모스크), sheria(법), kitabu(책), dunia(세계), kahawa(커피), ijumaa(금요일), rahisi(공식적인), fikiri(생각하다), bahari(바다/해양) 등. 참고로 스와힐리어에서 많이 쓰이는 sheria는 샤리아가 아니라 단순히 '법'만을 의미한다. 스와힐리어에 아랍어 차용 어휘가 들어왔다고 샤리아까지 도입하지는 않았고, 케냐와 탄자니아는 과거 영국 식민지였기에 영미법을 채택하고 있고, 그 외 대다수 국가는 대륙법을 채택하고 있다.[8] skuli(학교) 등.[9] shule(학교) 등[10] 대체로 스와힐리어가 널리 알려져서 일부 외서로 배울 수 있는 것은 물론, 국내에서도 한국어로 된 스와힐리어 교재가 출판될 정도다.[11] 에볼라 유행이 시작된 기니의 수도 코나크리에서 탄자니아의 최대도시 다르에스살람까지 직선거리는 6100 km 정도인데, 이는 서울에서 알래스카앵커리지까지와 비슷하다.[12] 대한민국의 유튜버이다.# 중앙대학교 러시아어학과를 졸업했고 영어, 러시아어, 일본어, 스와힐리어를 할 줄 안다.##[13] 아리랑TV의 아나운서로 영어, 스와힐리어, 프랑스어를 할 줄 안다.#[14] 오바마 행정부 시절의 수단 특사로 스와힐리어를 할 줄 안다.#[15] 영화 라스트 킹에서 이디 아민 역할을 맡기 위해 스와힐리어를 배웠으며 연기를 위해 살을 20kg이나 찌우고 아민에 대한 책과 다큐를 섭렵한 다음 직접 우간다로 가서 아민의 친구와 친척, 심지어는 그의 정적들까지 만나며 자문을 구했다고 한다.[16] 참고로 유명한 Circle of Life는 의외로 스와힐리어가 아니라 줄루어 가사다.[17] 오프닝 Call of the Guard부터 전 가사가 스와힐리어로 되어 있다.[18] 바바예투를 부른다. 그냥 치는 것이 아니라, 이 정도면 간단한 회화도 가능할 수준.[19] 유창한 스와힐리어를 구사하는 장면이 있다.[20] 하레구우에서 본의 아니게 스와힐리어를 배우게 된다.[21] 스와힐리어를 이해한다.[22] 스와힐리어로 '집'이라는 뜻이다.[23] 잠보는 스와힐리어로 '안녕하세요'라는 뜻이다.[24] 아랍어에서는 바라카란 단어를 사람 이름에 쓸 경우 앞에 접두사를 붙여서 무바라크라고 한다. 이집트의 독재자 호스니 무바라크가 대표적이다.[25] 라틴 문자를 쓰는 대다수의 언어가 이렇게 쓴다.[26] Sī wǎ xī lǐ yǔ. 한국 한자음으론 사와희리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