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국|]] 영국-자메이카 관계 관련 문서 [[자메이카|]] | ||
{{{#!wiki style="color: #fff; 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000><colcolor=#fff> 역사 | 킹스턴(포트로얄), 라스타파리 운동 |
외교 | 영국-자메이카 관계, 역대 자메이카 국왕, 자메이카 총독 | |
관련 민족 | 영국 흑인(자메이카인) | |
문화 | 자메이카 파트와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25deg, #000 15%, #ffb81c 15%, #ffb81c 25%, transparent 25%), linear-gradient(155deg, transparent 75%, #ffb81c 75%, #ffb81c 85%, #000 85%, #000 100%, transparent 100%), linear-gradient(to right, #007749 50%,#007749 50%)"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b81c><colbgcolor=#007749> 역사 | 역사(아라와크족 · 포트로열) |
정치·치안·사법 | 인민민족당 · 자메이카 노동당 · 자메이카 총독 | |
외교 | 외교 전반 · 영연방 · 카리브 공동체 · TIAR | |
경제 | 경제 전반 · 자메이카 달러 | |
국방 | 자메이카군 | |
문화 | 문화 전반(레게머리 · 래스터패리교 · 자메이카 파트와) · 자메이카 축구 국가대표팀 · 자메이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 영어 | |
인물 | 마커스 가비 · 바이올렛 브라운 | |
지리 | 대앤틸리스 제도 · 카리브 | |
민족 | 자메이카인 |
- 자메이카 파트와: Patwa, Jumiekan, Jamiekan
- 영어: Jamaican Patois, Jamaican Creole
Namuwiki: di chrii ah knowledge dat wi gruo togedda.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1. 개요
자메이카에서 널리 쓰이는 영어 크레올어로, 자메이카 크레올어라고 불리기도 한다. 자메이카식 영어와는 다르다.2. 특징
자메이카 파트와는 자메이카에서 영어와 함께 많이 쓰이는 언어로 자메이카 파트와 구사자는 320만명이다. 자메이카인들의 대부분은 영어 크레올어인 자메이카 파트와를 일상생활에서 많이 쓰고 있다. 미국, 영국으로 이주한 자메이카인들도 자메이카 파트와를 쓰고 있다.자메이카 파트와는 크레올어중에선 아이티 크레올어, 파피아멘토어, 차바카노어, 톡 피신와 함께 화자수가 많은 크레올어에 속한다.
3. 문법과 어휘
자메이카 파트와는 기본적으로 영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이 포함되어 있지만, 문법은 차이가 매우 큰 편이다. 영어 문법보다 간소한 것도 많이 있다. 어휘에선 영어에서 유래된 어휘가 많지만, 스페인어, 아프리카 토착민들의 언어,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언어(타이노어, 카리브어 등)에서 유래된 어휘도 많이 있다. 표기는 영어와 마찬가지로 로마자를 사용한다.대명사는 mi(1인칭 단수), wi(1인칭 복수), juh(2인칭 단수), unu(2인칭 복수), im(3인칭 남성 단수), shi(3인칭 여성 단수), dem(3인칭 복수), it이 있다. 화자에 따라 세세한 형태는 달라질 수 있다. 이그보어 únù에서 온 unu를 제외하면 영어와 흡사하다.
4. 기타
Grand Theft Auto IV의 등장인물인 야디 갱단원인 리틀 제이콥이 자메이카 파트와를 구사한다.XXXTENTACION의 노래 가사에서 자메이카 파트와가 자주 등장한다. 이는 아버지 쪽 집안의 영향이라고 한다.
씨발이라는 뜻을 지닌 추임새/감탄사인 'Bomboclaat'이라는 단어는 미국에 수출되어 신조어로 쓰이고 있다. 물론 카리브계 미국인들이 사용하는 것이 과반수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