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DEPRECATED] top1 파라미터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습니다! 대신 문서명1 파라미터를 사용해 주세요.
#!if top1 == null && 문서명1 != null
[[지르발어/문법]]{{{#!if 문서명2 != null
, [[지르발어/어휘]]}}}{{{#!if 문서명3 != null
, [[지르발어/친족어와 결혼 문화]]}}}{{{#!if 문서명4 != null
, [[]]}}}{{{#!if 문서명5 != null
, [[]]}}}{{{#!if 문서명6 != null
, [[]]}}}{{{#!if 문서명7 != null
, [[]]}}}
지르발어 guwal[1] | ŋirrma[2] Dyirbal Language | ||
동북쪽 연두색 부분이 지르발어 사용 지역이다. | ||
<colcolor=#fff><colbgcolor=#012169> 유형 | 교착어 | |
어순 | 자유어순 | |
주요 사용 지역 |
퀸즐랜드주 동북부 | |
원어민 | 24명 (2021년) | |
계통 | 파마늉아어족 북동파마늉아어파 지르발어파 지르발어 | |
언어 코드 | <colcolor=#fff><colbgcolor=#012169> ISO 639-3 | DBL |
글로톨로그 | dyir1250 |
1. 소개
{{{#!folding Namuwigi, bala yugu jilbay janbulbiŋu ñurrajinu.
Námuwìgi-∅ | bála | yúgu-∅ | jílbay-∅ | jánbul-bì-ŋu | ñúrrajìnu | |||||||
나무위키-절대CS | 명표.b.4.절대CC | 나무-절대CC | 지혜로운-절대CC | 열매많은-접[자동사화]-관계CC | 대명.2복.여[DAT]/CC | }}}IPA: [ˈnamuˌwiki ˈpala ˈjoko ˈt̻ʲilbaj ˈt̻ʲɛnbulˌbiŋo ˈɲuraˌt̻ʲino] 나무위키, 여러분이 가꾸어 나가는 지식의 나무. 이하 내용은 대부분 로버트 딕슨 박사의 연구인 Dixon(1972)[4]과 Dixon(2022)[5]을 바탕으로 수정 및 보완하여 옮겼다. 문법 내용 특성상 표가 많이 등장하므로 컴퓨터 등의 기기로 읽는 것을 추천한다. 2. 방언지르발어는 크게 마무 부족(Mamu)과 지르발 부족(Jirrbal), 기라마이 부족(Girramay)이 사용하는데, 각각의 부족마다 고유한 방언이 존재한다. 각 방언은 문법이 거의 동일하고, 단어도 70% 가량 일치한다. 각 부족들은 방언들이 서로 유사하다는 것을 인식하지만 분명히 다르다는 것도 인식하고, 각 방언마다 자기 방언만의 규범적인 형태가 존재한다고 여긴다. 또한 각 부족은 일반적으로 자기 부족원끼리만 결혼한다. 지르발 부족은 주로 중부 지방에 거주하였고, 유럽인들의 침략에도 제일 저항적이었기 때문에 지금까지 제일 크게 살아남아 지르발어의 지배적인 방언으로 남았고, 나머지 방언 화자들은 자신들의 방언과 지르발 방언을 상당수 동화시켰다. 이는 지르발어라는 이름에도 반영되었다.사실 세부적으로 보면 지르발어는 다음 10개의 방언으로 구성되어있다.
이하 내용은 기본적으로 지르발 방언으로 적되, 특기할 만한 점은 해당 방언의 내용이라고 표현하겠다. 3. 언어 문화3.1. 시어머니 언어(Mother-in-law language)지르발어에서는 시어머니 언어 또는 회피 담화(Avoidance speech)라는 것이 나타난다.[6][7] 이는 특정 '금기(taboo)된' 친척과 이야기를 나눌 때 '잘응우이(jalŋuy)'라는 형태로 말하는 현상을 이르는데, 이는 지르발인들이 '금기된' 친척에게 강한 회피감을 느끼기 때문이다. 금기된 친척들은 제대로 쳐다보거나 직접적으로 말을 걸 수도 없고, 그들이 화자의 목소리를 들을 수 있을 만큼의 거리에 있다면 화자는 잘응우이를 사용하여야 한다. 이는 평범하게 사용하는 일상 언어, 구왈(guwal[8])과 대조되는 것이다. 또한 잘응우이는 상호 간에 대칭적으로 쓰인다. 우선 금기된 친척에 누가 있는지 살펴보자.첫번째로, 배우자의 부모 중 자신과 다른 성별인 사람은 금기된 친척이다. 또한 이는 대칭적이므로 자녀의 배우자가 자신과 다른 성별인 경우, 그는 금기된 친척이다. 두번째로, 서로 성별이 다른 교차 사촌(cross cousin) 간에는 금기된 친척 사이이다. 교차 사촌은 자신의 부모 항렬에서 한번 성별이 바뀌는 사촌을 이르는데 즉, 고모의 자녀나 외삼촌의 자녀를 의미한다. 더해서 필수적이지는 않으나 배우자의 부모 중 자신과 같은 성별의 사람에게도 사용하기도 하였다. 또한 선택적으로 그 반대나 성별이 같은 교차 사촌 간에도 이루어지기도 하였다. 이해를 돕기 위해 한 지르발 부족 남성을 생각해보자. 그는 그의 장모에게 잘응우이를 써야만 하고 장모도 그에게 잘응우이를 써야 한다. 그리고 그는 장인에게도 잘응우이를 쓰는데, 장인은 그에게 잘응우이를 쓸 수도 있고 구왈을 쓸 수도 있다. 또한 그는 고모의 딸과 서로 잘응우이를 쓰지만, 고모의 아들과는 서로 잘응우이를 쓸 수도 있고 구왈을 쓸 수도 있다. 잘응우이는 음운적이거나 문법적인 부분에서 구왈과 동일하지만, 어휘는 전혀 다르다. 또한 하나의 잘응우이 단어는 구왈의 여러 단어에 대응될 수 있다. 구왈의 'jurral(문지르다)', 'yijil((현자[9]가) 안마하다)', 'baŋgal(손끝으로 칠하다)', 'ñambal(손바닥으로 칠하다)' 등의 단어는 잘응우이의 'jurrmbaybal(문지르다)' 한 단어로 대체된다. 3.2. 친족어와 결혼 문화
참고하십시오.3.3. 지르발어와 종교3.4. 젊은 지르발어(Young Dyirbal)4. 음운예문에서 보이는 슬래시(/)는 지르발어 화자가 구분하는 하나의 음률 단위인 어절을 구분한 것이다. 한국어로 예시를 들면, 일반적으로 "내가 저기에 / 철수랑 장을 보러 갔는데 / 아니 (/) 시식 코너에서 너무 맛있는 걸 파는 거야 / 그래서 어쩔 수 없이 샀어."와 같이 어절을 끊어 읽지 "내가 저기에 철수랑 장을 / 보러 갔는데 / 아니 시식 코너에서 너무 / 맛있는 걸 파는 거야 / 그래서 어쩔 수 / 없이 샀어."라고 끊어 읽지는 않는 편인 것처럼 슬래시는 지르발어 발화에서 이런 '끊어읽는 부분'이 구현되는 것을 표현한 것이다.4.1. 분절음소 | 양순 | 치경 | 권설 | 경구개 | 연구개 | |
비 | <colbgcolor=white,#1f2023> m | <colbgcolor=white,#1f2023> n | <colbgcolor=white,#1f2023> | <colbgcolor=white,#1f2023> ɲ ⟨ñ⟩ | <colbgcolor=white,#1f2023> ŋ | |||||||
파열 | p~b ⟨b⟩ | t~d ⟨d⟩ | t̻ʲ~d̻ʲ ⟨j⟩ | k~ɡ ⟨g⟩ | ||||||||
전동 | r ⟨rr⟩ | |||||||||||
접근 | w | ɻ ⟨r⟩ | j ⟨y⟩ | |||||||||
[ruby(접근, ruby=설측)] | l |
지르발어에서 파열음은 무성음과 유성음이 자유변이(free variation) 관계이다. 따라서 종종 ⟨b⟩, ⟨d⟩, ⟨j⟩, ⟨g⟩는 ⟨p⟩, ⟨t⟩, ⟨c⟩, ⟨k⟩로 적히기도 한다.
전설 | 후설 | |
고 | <colbgcolor=white,#1f2023> i | <colbgcolor=white,#1f2023> u |
저 | a |
4.2. 음소배열제약
지르발어의 어근은 'C₁VC₂V(C₂V)n(C₃)'의 음소배열제약을 가진다. 여기서 C는 자음, V는 모음을 뜻한다. 즉, 모든 어근은 자음으로 시작하며, 단모음으로 된 음절이 둘 이상은 오고, 자음으로 끝나거나 모음으로 끝날 수 있다. V에는 모든 모음이 올 수 있다. C₁에는 l, rr를 제외한 모든 자음이 올 수 있다. C₃에는 ŋ를 제외한 비음과 유음(rr, l, r), y가 올 수 있다.C₂에 올 수 있는 자음들은 상대적으로 조금 복잡하다. 우선 모든 자음이 하나씩 올 수 있다. 또한 자음군도 올 수 있는데, 규칙은 다음과 같다.
- 자음군 mb, nd, ñj, ŋg가 가능하다.
- n 뒤로 b나 j, g, m, ŋ이 올 수 있다. (nb, nŋ 등)
- 유음과 y 뒤로 b나 j, g, m, ñ, ŋ, w, mb, ñj, ŋg가 올 수 있다. (yb, lñj 등)
- l와 y 뒤로 [2.]에 해당하는 자음군이 올 수 있다. (lnb, ynŋ 등)
~iy~ 배열은 언제나 형태소 내에서는 모음 앞에서만 등장해 ~iyV~ 배열로만 나타나며, 형태소 경계에서 자음이 뒤따라야 하는 경우 ~y~가 탈락해 ~iC~로 나타난다.
- baniy + -gu → *baniygu가 아니라 banigu(오려고)
물론 예외적인 단어들도 있다. 유일하게 모음으로 시작하는 단어인 불변사 'añja'가 있고, 감탄사 'ŋa(네)', 'ŋu(알겠어)'와 일부 명사표지 등 단음절로 된 단어도 여섯 개 있다. C₂ 규칙에 맞지 않는 두 단어, 'guyañgu(도금양과의 나무)', 'mulumjaymban(소식)'도 존재한다. 형태소 내에서는 이 둘만 존재하지만 형태소 경계에서는 'guliñ-ŋunu(영혼들이 사는 서쪽 편으로부터)'와 같이 더 많은 예외들이 등장할 수 있다.
4.3. 강세
우선 어근의 첫 음절에는 주강세가 온다. 또한 마지막 음절에는 절대 오지 않는다. 이는 첫음절에 강세가 무조건 오기 때문에 형태소 간, 단어 간 경계 모두에서 강세가 연속될 수 없다는 규칙에 따라 앞 단어의 마지막 강세와 뒤 단어의 첫 강세가 충돌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그리고 첫 음절 이후엔 보통 어근의 홀수 번째 음절마다 부강세가 오고, 짝수 번째 음절에는 오지 않는다. 언급하였듯이 강세끼리는 바로 연속한 음절에 올 수 없다. 강세는 강세를 설명하기 위해서가 아니라면 따로 표기하지 않는다.하지만 2 음절 이상의 접사가 오게되면 독특한 일이 일어난다. 한번 어근에 여러 접사가 붙는 경우를 보자.
어근 | <colbgcolor=white,#1f2023> ñínay(앉다) | <colbgcolor=white,#1f2023> bánagay(돌아가다) |
과거 시제 | ñína-ñu | bánagà-ñu |
다양상 접사 + 과거 시제 | ñína-njà-ñu | bánagà-nja-ñu |
기동상 접사 + 과거 시제 | ñína#yàrra-ñu | bánaga#yàrra-ñu |
더해서 지르발 방언의 두음절 앞에 강세음절이 있을 때 붙는 -l계 어근에 붙는 구왈 재귀태 접사 '-yirrìy[10]'와 같이 두 음절짜리 접사인데도 강세가 두번째 음절에 오는 접사가 있다. 다른 방언에서는 '-rriy'로 나타난다.
- wúga-yirrì-ñu(지르발 방언): 주어지다
- wúga-rrì-ñu(마무·기라마이 방언)
지르발어에는 동사류는 첫 두 음절을, 명사류는 단어 전체를 중복시키는 첩어도 나타나는데, 이럴 때 첩어의 요소 사이에는 음운 경계가 형성된다.
- ñína#ñìnañu(너무 둘러앉아 있다), bána#bànagàñu(너무 자주 돌아가다)
- yúray#yùray(매우 조용한), júgumbil#jùgumbil(많은 여자)
4.4. 음운의 변동
5. 문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르발어/문법#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르발어/문법#|]][[지르발어/문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1. 행간주석 표기법
지르발어는 능격-절대격 쳬계 등 한국어와는 이질적인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고 그 자체로 잘 알려져 있지 않은 편이므로, 학습 및 분석의 편의를 위하여 지르발어로 된 문장은 행간주석(Interlinear gloss)을 병기하도록 한다. 본 문서 상단의 나무위키 슬로건같이 굵게 강조된 지르발어 문장들은 클릭할 시에 행간주석이 표시된다. 간결하게 지르발어의 문장 구조 및 단어를 행간주석으로 나타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약어를 사용하도록 한다.[11]약어 | |
<colbgcolor=white,#1f2023> 감 | <colbgcolor=white,#1f2023> 감탄사 |
관계 | 관계형 어미 |
공 | 공동격 |
결과 | 결과형 어미 |
비미래 | 비미래 시제 어미 |
능 | 능격 |
단순소유 | 단순소유격 |
대 | 대격 |
대명.nX.Y | n인칭 X수 Y격 대명사 |
도구 | 도구격 |
동표.X.n.Y | (Bala/Ŋala/Yala/Gila)계 or 의문형 제n 부류 Y격 동사표지 |
매개 | 매개접사 |
명표.X.n.Y | (Bala/Ŋala/Yala/Gila)계 or 의문형 제n 부류 Y격 명사표지 |
미래 | 미래 시제 어미 |
불변 | 불변사 |
상호 | 상호태화 어미 |
여 | 여격 |
역수동 | 역수동태화 어미 |
일반소유 | 일반소유격 |
잠재 | 동사의 잠재형 |
재귀 | 재귀태화 어미 |
절대 | 절대격 |
-접 | 접사 |
=접 | 접어 |
주 | 주격 |
지시.n.X | 제n 부류 X격 지시사 |
처 | 처격 |
첩 | 첩어 |
탈 | 탈격 |
향 | 향격 |
회피 | 회피격 |
굵게 강조된 문장인 원문을 클릭하면 행간주석이 나타난다. 행간주석의 첫 행은 형태소 경계와 강세를 나타낸 형태음소전사열이다. 여기서 형태소 간의 경계는 하이픈으로 표시하되, 접어는 등호로 표시한다. 그 아래 열은 해설열이다. 여기서는 형태음소전사열에서 구분된 형태소마다 각각의 의미를 번역해서 주석을 단다. 여기서 각 단어들의 품사는 적지 않고, 대부분 뜻 그대로 적는다. 하지만 불변사나 접사, 접어는 그 옆에 대괄호를 치고 의미를 적는다. 뜻이나 의미가 여러 어절로 번역된다면, 띄어쓰기 대신 언더바로 적는다. 단어 중 의미가 굳어진 합성어나 파생어는 세부적인 형태소를 나타내지 않되, 형태음소전사열에서 형태소 경계를 마침표로만 표시한다.
- ŋindama banjul babijirr mijuyirriñujilu?
ŋínda=ma bánjun bábi.jirr-Ø míju.yirrì-ñu-jìlu 대명.2단.주=접[의문] 불변[계속] 친할머니와_그녀의_손주-절대 기다리다-비미래-접[강조]
계속 너는 친할머니와 그녀의 손주로 된 쌍을 정말로 기다린 거야?
한 명사구에 요소들이 여럿 존재한다면 혼동을 방지하기 위해 해설열에서 그 명사구의 각 요소들에 CS(보어문의 주어) CC(보어문의 보어) S(자동문의 주어), A(타동문의 주어), O(타동문의 목적어), DAT(여격어), INS(도구격어), LOC(처격어), ALL(향격어), AVE(회피격어), ABL(탈격어), COM(공동격어), SGEN(단순소유격어), GGEN(일반소유격어)를 표시해 관계를 분명히 하도록 한다. 관계절 내에서 여러 통사 요소가 존재한다면, 대괄호를 치고 다음과 같이 표시한다.
- ŋinda gaygañunbaŋu ŋaja wurrbañu.
ŋínda gáyga.ñùnba-ŋu ŋája wúrrbà-ñu 대명.2단.주S 가르치다-관계S 대명.1단.주[A]/S 말하다-비미래
내가 가르친 네가 말한다.
6. 어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르발어/어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르발어/어휘#|]][[지르발어/어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7. 기본 회화
한국어 | 지르발어(지르발 방언) | 직역 |
안녕. (만났을 때) | <colbgcolor=#ffffff,#1f2023>(1명에게) ŋindama garrja? 응인다마 가르자? (2명에게) ñubalajima garrja? 뉴발라지마 가르자? (3명 이상에게) ñurrajima garrja? 뉴라지마 가르자? | <colbgcolor=#ffffff,#1f2023>너/너희 둘/너희 괜찮았어? |
안녕. (헤어질 때) | galbu. 갈부. gugu galbu. 구구 갈부. | 검은백정새(Cracticus quoyi).[12] |
이름이 뭐야? | (상관없이)ŋinda waña burri? 응인다 와냐 부리? (남자에게)ŋinda bayi waña burri? 응인다 바이 와냐 부리? (여자에게)ŋinda balan waña burri? 응인다 발란 와냐 부리? | 너는 누구의 이름이야? |
내 이름은 @@@야. | @@@. ŋaja burri @@@. 응아자 부리 @@@. | |
누구세요? | waña ŋinda? 와냐 응인다? |
8. 예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르발어/설화#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르발어/설화#|]][[지르발어/설화#|]] 부분을
참고하십시오.#!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르발어/노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지르발어/노래#|]][[지르발어/노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9.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 |
<colbgcolor=#eee,#000>· | 종류 (위키에 문서가 등재되어 있는 언어만 가나다순 정렬) ※ 원어민 5천만 명 이상 언어는 굵게 표시함. | |
ㄱ | 갈리시아어ㆍ객가어 · 게일어 · 광동어 · 구자라트어ㆍ그리스어 · 그린란드어 | |
ㄴ | 나바호어 · 네덜란드어 · 네팔어ㆍ노르웨이어 | |
ㄷ | 덴마크어 · 독일어 | |
ㄹ | 라다크어 · 라오어 · 라트비아어 · 라틴어 · 라파누이어 · 러시아어ㆍ로망슈어ㆍ롬바르드어 · 루마니아어 · 룩셈부르크어 · 류큐어 · 르완다어 · 리구리아어 · 리투아니아어 | |
ㅁ | 마라티어 · 마오리어 · 마인어 · 마케도니아어 · 맨어 · 몰타어 · 몽골어 · 미얀마어 · 민어(언어) | |
ㅂ | 바스크어 · 반달어 · 베네토어 · 베트남어 · 벨라루스어 · 벵골어 · 불가리아어 | |
ㅅ | 상어(언어) · 샨어 · 세르보크로아트어 · 세부아노어 · 소닝케어 · 소말리어 · 소토어 · 스반어 · 스와힐리어 · 스웨덴어 · 스코트어 · 스페인어 · 슬로바키아어 · 슬로베니아어 · 시칠리아어 | |
ㅇ | 아디게어 · 아람어 · 아랍어 · 아르메니아어 · 아이누어 · 아이슬란드어 · 아일랜드어 · 아이티 크레올어 · 아제르바이잔어 · 아파르어 · 아프리칸스어 · 알바니아어 · 암하라어 · 에스토니아어 · 영어 · 오어 · 오크어 · 요루바어 · 우르두어 · 우즈벡어 · 우크라이나어 · 웨일스어 · 이보어 · 이디시어 · 이탈리아어 · 일본어 | |
ㅈ | 자메이카 파트와 · 자바어 · 저지 독일어 · 조주어 · 조지아어 · 줄루어 · 중국어 · 지르발어 | |
ㅊ | 차모로어 · 체코어 · 축치어 · 츠와나어 | |
ㅋ | 카자흐어 · 카탈루냐어 · 캄보디아어 · 코르시카어 · 코만치어 · 코사어 · 콘월어 · 콥트어 | |
ㅌ | 타밀어 · 타이담어 · 타지크어 · 태국어 · 텔루구어 · 통가어 · 튀르키예어 · 티베트어 | |
ㅍ | 펀자브어 · 페로어 · 페르시아어 · 포르투갈어 · 폴란드어 · 풀라어 · 프랑스어 · 프랑코프로방스어 · 프리지아어ㆍ피에몬테어 · 피지어 · 핀란드어 · 필리핀어 | |
ㅎ | 하와이어 · 하우사어 · 한국어 · 헝가리어 · 히브리어 · 힌디어 | |
기타 관련 문서 | 통역 · 번역 · 사전 | }}}}}}}}} |
[1] 지르발, 기라마이 방언[2] 마무 방언[3] Australian Bureau of Statistics 2021, Cultural diversity: Census, ABS, #.[4] Dixon R.M.W, The Dyirbal Language of North Queens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72.[5] Dixon R.M.W, A New Grammar of Dyirbal, Oxford University Press, 2022.[6] 이를 번역한 국내 자료를 찾지 못하였으므로 임의로 번역하였다.[7] 한자 문화권의 피휘를 회피 담화의 일종으로 보기도 한다.[8] 마무 방언에서는 'ŋirrma'라고 한다.[9] gubi, 지르발인들 중에서 일부 사람들은 현명함과 많은 지식으로 '현자'가 되어 약으로 사람들을 치료한다. '현자'가 되기 위해서는 무조건 식인 풍습으로 희생된 사람의 피를 마셔야만 한다.[10] 잘응우이 어근에는 '-yìrriy'가 붙는다.[11] 다음 약어들은 작성자가 지르발어 행간주석 표기만을 위해 임의로 만든 것이며, 실제로는 영어로부터 기원한 약어가 더 많이 사용된다.[12] 지르발어 화자들은 galbu(검은백정새)에 gijiya이라는 어린 소년의 영혼이 깃들어 있다고 여기는데, 이 소년의 죽음이 죽음이란 것의 시작이 되었다. 아마 죽은 영혼이 되돌아가는 것에서 인사를 비유한 것일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