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04 18:54:24

고모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있는 간이역에 대한 내용은 고모역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부계 혈족 관계 호칭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8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3px; color:#373a3c"
<tablebgcolor=#ddd,#383b40> 남자 혈족 여자 혈족
종현조할아버지 현조할아버지 | 현조할머니 현조고모할머니
재종고조할아버지 재종고고모할머니 종고조할아버지 고조할아버지 | 고조할머니 고고모할머니 내재종고조할아버지 내재종고고모할머니
재종증조할아버지 증조당고모할머니 종증조할아버지 증조할아버지 | 증조할머니 증고모할머니 내재종증조할아버지 내재종증고모할머니
삼종조할아버지 삼종고모할머니 내삼종조할아버지 내삼종고모할머니 재종조할아버지 재종고모할머니 큰할아버지,작은할아버지 {{{#!wiki style="margin:-10px -10px" 할아버지
(조부)
할머니
(조모)
}}} 고모할머니
(대고모,왕고모)
내재종조할아버지 내재종고모할머니 내삼종조할아버지 내삼종고모할머니 내내삼종조할아버지 내내삼종고모할머니
재당숙
(재종숙)
재당고모
(재종고모)
내재당숙
(내재종숙)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당숙
(종숙)
당고모
(종고모)
큰아버지
작은아버지
{{{#!wiki style="margin:-10px -10px" 아버지
(아빠, 부)
어머니
(엄마, )
}}} 고모 내당숙
(내종숙)
내당고모
(내종고모)
내재당숙
(내재종숙)
내재당고모
(내재종고모)
내내재당숙
(내내재종숙)
내내재당고모
(내내재종고모)
삼종형제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재종형제 재종자매 내재종형제 내재종자매 사촌 형제{{{#!wiki style="margin:-10px -5px" 오빠
남동생 }}} <colbgcolor=#000033> 자매{{{#!wiki style="margin:-10px -5px" 언니 누나
여동생 }}} 고종사촌 내재종형제 내재종자매 내내재종형제 내내재종자매 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내내삼종형제자매 내내내삼종형제자매
(종형제) (종자매) (내종형제) (내종자매)
재종질 재종생질 내재종질 내재종생질 당질
(종질)
당생질
(종생질)
조카(질) 아들 조카(생질) 내당질
(내종질)
내당생질
(내종생질)
내재종질 내재종생질 내내재종질 내내재종생질
삼종손 이삼종손 내삼종손 내이삼종손 재종손 이재종손 종손 손자 손녀 외손자 외손녀 이손 내재종손 내이재종손 내삼종손 내이삼종손 내내삼종손 내내이삼종손
재종증손 이재종증손 종증손 증손 외증손 이종증손 내종증손 내이종증손
재종현손 이재종현손 종현손 현손 외현손 이종현손 내재종현손 내이재종현손
종내손 내손 외내손 이종내손
6대손 이상
곤손
(6대손)
잉손
(7대손)
운손
(8대손)
이손
(9대손)
6대조 이상
열조
(6대조)
태조
(7대조)
원조
(8대조)
비조
(9대조)
범례
직계존비속 이촌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이동에 따른 촌수 관계 : 2촌 관계 : 1촌 관계
관련 문서
같이 보기 (부계 호칭 · 모계 호칭)

}}}}}}}}} ||
친족 촌수 명칭
삼촌 사촌 오촌 육촌 칠촌 팔촌
1. 개요2. 여담
2.1. 가족관계상 실존 인물들
2.1.1. 사람이 아닌 동물의 경우
3. 고모인 캐릭터

1. 개요

/ aunt

아버지의 남매. 어머니시누이. 아버지의 누나여동생이 여기에 해당한다. 촌수로는 3촌에 해당하나, 이모와 마찬가지로 고모를 촌수로 호칭하는 경우는 없다. 이모도 똑같이 촌수로 부를 일이 없는 게, 이모는 원래 외고모(外姑母)라고 불렀기 때문이다. 넓게 보면 아버지의 친누이 말고도 아버지의 일가 누이도(아버지의 이복형제나 이부형제인 경우) 고모라고 한다. 고모의 남편은 고모부[1]라고 한다.

북한에서는 큰이모나 큰 고모를 큰어머니라고 한다. #

2. 여담

2.1. 가족관계상 실존 인물들

2.1.1. 사람이 아닌 동물의 경우

3. 고모인 캐릭터

파일:CC-white.svg포크 과정 중 수정 로그가 손실된 문서입니다.

이 문서는 리그베다 위키에서 나무위키로 포크를 해 오는 과정 중 수정 로그가 손실된 문서이며, 문서 재작성 혹은 문서 최하단 리그베다 위키의 문서 역사 URL, 분류:포크 누락 문서 분류가 필요합니다.

나무위키의 문서는 CC 라이선스에 따라 저작자 정보를 표시해야 하지만, 이 문서는 포크 누락으로 인해 저작자 정보가 유실되어 사용할 수 없는 상태입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나무위키:포크 누락 문서를 참고해주세요. 만약 위의 방법으로 포크 누락을 완전히 해결을 하셨다면 분류:포크 누락 문서 분류를 떼고 분류:포크 누락 해결을 달아주시길 바랍니다.



[1] 다른 표현으로 고부(姑夫), 고숙(姑叔)이라고도 한다.[2] 특히 해외에 거주하는 경우.[3] 반대로 나의 외사촌 입장에서의 나는 고종사촌이다.[4] 드라마 웨딩드레스에서도 김하나, 두나 자매의 어머니인 신정자(김영애 분)가 시누이(하나, 두나 아버지의 여동생)인 김완자(김창숙 분)를 '고모'라고 부른다.[5] 고낭이라는 단어가 있는데, 시집가지 않은 여자라는 의미와 고모라는 의미를 동시에 가진다. 이러한 옛 인식이 이어져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6] 만호부인과 부부 관계이기도 했다.[7] 남아선호사상이 심한 과거에는 위로 누나만 3~4명 이상 있는 가정도 있다. 그 남자가 아이를 낳으면 고모가 여러명이다.[8] 오세훈의 손주에게는 고모할머니다.[9] 러바오의 쌍둥이 동생이다. 러바오의 어머니가 신위안을 택하면서 러바오는 어려서부터 인공포육으로 길러졌다.[10] 김하나, 두나, 정남 3남매의 고모이며, 김창숙이 연기했다.[11] 미셸 마론의 이복동생임과 동시에 고모이다(...)[12] 본편에선 언급은 거의 없지만 그녀의 남동생에게 딸(올비아의 딸 로빈에게는 사촌)이 있어 고모가 된다.[13] 사정옥의 시고모, 즉 유연수(유 한림)의 고모. 즉 원래 성은 유씨이다. 두씨 가문에 시집을 가서 두 부인이라 부르는 것이다. 중화권에는 여자가 시집을 간다고 법적으로 성이 바뀌지는 않지만 통칭으로는 본인 대신 남편의 성을 따서 부르는 관습이 있고, 이를 관부성(冠夫姓)이라 한다.[14] 철권 시리즈의 주인공인 카자마 진의 고모. 미시마 헤이하치가 늙그막에 얻은 사생아들중 하나라서 레이나는 헤이하치의 아들인 미시마 카즈야의 이복동생들중 하나이며, 21살짜리 조카인 진보다 좀더 어리다. 미시마 가문 자체가 서로가 서로를 가족이 아니라 적으로 여기고 죽이려 드는 콩가루 집안이라서 상호간에 고모와 조카라고 여기지도 않고 각별하지도 않으나, 레이나는 진이 졸업한 고등학교의 재학생이라 조카인 진을 높임말로 진 선배라고 부르며 살갑게 대하고 있다.[15] 실제 혈연 관계는 아니었지만 18세의 소용녀가 14세의 양과를 제자로 삼으면서 사부 대신 고모라고 부르게 했고, 이후 연인 관계로 발전한 이후에도 계속 고모라는 호칭으로 불렀다.[16] 각각 그리스 로마신화의 등장인물인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와 미케네의 왕 오레스테스, 이타카의 왕자 텔레마코스에게는 고모들이며, 이들 여신과 여인들은 아버지 아폴론과 아가멤논, 오디세우스의 누이동생들이다.[17] 현 동화나라의 왕 앙리 3세의 고모 된다(아린은 앙리 3세의 아버지인 앙리 2세의 여동생). 다만 묘사를 보면 조카가 태어나기 이전에 죽었다.[18] 정우 규리하의 고모인데 조카딸을 황비로 만들려는 욕심이 있어서 자신을 고모 대신 '남작 부인'이라 부르고 하대하도록 윽박지른다. 덕분에 아이넬을 대하는 정우의 말투가 꽤나 괴상해졌다.[19] 다만 이쪽은 마가렛이 동생인 마리아에게 복잡한 혈연관계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생각이 안나서 고모라고 뭉뚱그려 설명했기 때문에 고모가 된 것. 정작 위슬래시 본인은 마리아보다 고작 다섯 살 많다고 하면서 마리아에게 고모라 불리는 걸 매우 싫어한다. 그래서 보통은 언니라고 불리고있다.[20] 불환곡 황제의 할아버지가 말년에 들인 젊은 계후가 낳은 유복녀. 그래서 불환곡 황제에게는 막내 고모이다. 그런데 길선은 이복 오빠, 즉 불환곡 황제의 아버지에 의해 그의 다른 아들(불환곡 황제의 남동생), 즉 본인의 조카와 근친혼을 했다. 따라서 불환곡 황제의 고모이자 동시에 제수이기도 하다.[21] 불환곡 황제의 친여동생. 따라서 불환곡의 세 황자, 즉 황운, 황봉림, 황소거에게는 고모이다.[22] 이소윤의 친어머니. 남동생 이서준의 딸 이세미에게는 고모다.[23] 정하조의 친딸이라는 사실이 밝혀지기 전까지는 정교빈, 정수빈 남매의 고모였다.[24] 미래 모습 한정.[25] 오빠 카마도 탄지로츠유리 카나오와 이어져서 자손들을 남겨뒀으므로 오빠 부부의 자녀의 고모가 되었다.[26] 우부야시키 키리야의 쌍둥이 누나들과 여동생들. 종반부에서 키리야가 나이 서른 넘게 생존한 걸 통해 일족의 저주가 풀렸다는 걸 직감하며 처자식, 여동생들을 서로 끌어안고 울었다는 언급이 있으므로 키리야의 자식들의 고모이다. 다만 히나키와 니치카는 키부츠지 무잔에 맞서 부모와 함께 자폭했다.[27] 엔딩에서 그녀들의 오빠인 이치고가 오리히메와 결혼해 아들 카즈이를 낳으면서 고모가 된다.단 시바 쿠우카쿠는 당고모가 된다.[28] 정확히는 남동생 가아라가 들인 양자 신키의 의붓 고모이다.[29] 남동생 소타의 딸 메이에게 고모가 된다. 또 토와가 현대에선 소타의 양녀라, 실제로는 숙모지만 현대에서 대외적으로는 고모.[30] 존 스노우의 고모인 셈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