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01:20:46

가아라

가아라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초대 제2대 제3대
레토 샤몬 3대 카제카게
제4대 제5대
라사 가아라
호카게 · 미즈카게 · 츠치카게 · 라이카게 · 비 마을 수장 · 호시카게
}}}}}}}}}}}} ||

인주력미수 일람
{{{#!folding [ 펼치기 · 접기 ]<colbgcolor=#dddddd,#383b40> 일미(一尾)
슈카쿠(守鶴)
분푸쿠 → 카루라*가아라 → 없음
이미(二尾)
마타타비(又旅)
???(세대 불명)니이 유기토 → 없음
삼미(三尾)
이소부(磯撫)
???(세대 불명)노하라 린*카라타치 야구라 → 없음
사미(四尾)
손오공(孫悟空)
???(세대 불명)로우시 → 없음
오미(五尾)
코쿠오(穆王)
???(세대 불명) → 없음
육미(六尾)
사이켄(犀犬)
???(세대 불명)우타카타 → 없음
칠미(七尾)
쵸메이(重明)
???(세대 불명)후우 → 없음
팔미(八尾)
규키(牛鬼)
???(세대 불명)후카이킬러 비
구미(九尾)
쿠라마(九喇嘛)
우즈마키 미토(초대)우즈마키 쿠시나 → 음・양 분리(시귀봉진)
우즈마키 나루토(음・양 융합)소멸(중립자 모드)우즈마키 히마와리(부활)
음(陰) - 나미카제 미나토검은 제츠우즈마키 나루토
양(陽) - 우즈마키 나루토외도마상에 흡수 ↑
십미(十尾) 오오츠츠키 카구야(초대)
오오츠츠키 하고로모 오오츠츠키 하무라
우치하 오비토우치하 마다라 → 없음
* 임시 인주력}}}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colcolor=#000000,#FFFFFF> 대권(최고 리더) <colcolor=#000000,#FFFFFF>에이(라이카게)
전투대연대 연대장 가아라(카제카게)
제1부대(전투중거리부대)
대장 다루이
대원 아키미치 쵸자 | 아츠이 | 휴우가 히아시 | 사무이 | 텐텐 | 하가네 코테츠 | 카미즈키 이즈모
제2부대 (전투근거리부대)
대장 키츠치
대원 휴우가 히나타 | 휴우가 네지 | 카루이 | 쿠로츠치
제3부대 (전투근중거리부대)
대장 하타케 카카시
대원 마이트 가이 | 하루노 사쿠라 | 록 리 | 타지키 | 마키 | 신지 등
후반 합류 우즈마키 나루토 | 쿠라마 | 킬러 비 | 규키
제4부대 (전투원거리부대)
대장 가아라(카제카게)
대장 대리 나라 시카마루
대원 아키미치 쵸지 | 테마리
제5부대 (전투특별부대)
대장 미후네
대원 아부라메 시노 | 야마나카 이노 | 이누즈카 키바 | 아카마루 | 이누즈카 하나 | 하이마루 삼형제 등
기습부대
대장 칸쿠로
대원 사이 | 오모이 | 잇탄 | 키리 | 탄고 | 휴우가 호헤토 | 쟈지 등
후방지원 의료부대
대장 시즈네
대원 톤톤 | 하루노 사쿠라 | 몬가 | 루카 등
정보부대
대장 야마나카 이노이치
대원 야마시로 아오바 | 텐가 등
감지부대
대장 아오
대원 시이
소속 부대 불명
대원 토요사 | 타케마루 | 히노 | 테츠 | 우루시
오카게
카게 에이 | 가아라 | 오오노키 | 테루미 메이 | 츠나데
리더 우치하 사스케
대원 우치하 이타치 | 카린 | 호즈키 스이게츠 | 주고 | 오로치마루
나뭇잎 마을
예토전생 센쥬 하시라마 | 센쥬 토비라마 | 사루토비 히루젠 | 나미카제 미나토
아카츠키
후반 합류 우치하 오비토 | 야쿠시 카부토
}}}}}}}}} ||
<colbgcolor=#6e836f><colcolor=#fff>
가아라
파일:ddgoitu-29fef1bf-7ac8-471d-9595-535253f4a37b.png
이름 가아라
닌자 등록번호 56-001
생일 1월 19일(염소자리)
출신 모래 마을
나이 12-13세(1부) → 16-17세(2부) → 19세(THE LAST) → 32세(보루토)
신장 146.1cm-148.1cm(1부) → 166.1cm(2부) → 172.5cm(완결 이후)[1]
체중 39kg-40.2kg(1부) → 50.9kg(2부) → ?
혈액형 AB형
성격 냉혹, 이기주의[2] → 냉정, 대담
가족 라사(아버지, 4대 카제카게)
카루라(어머니)
야샤마루(외삼촌)
칸쿠로(형)
테마리(누나)
나라 시카마루(매형)
나라 시카다이(조카)
신키(양자)
좋아하는 음식 닭 모래주머니, 갈빗살 구이, 소혀 소금구이
싫어하는 음식 양갱, 마롱 글라세
싸워보고 싶은 상대 우치하 사스케(1부), 마을을 지키기 위해서라면 누구와도 싸운다(2부)
취미 싸움(1부), 선인장 기르기[3](2부)
닌자 아카데미 졸업 12세
중급닌자 승격 14세
좋아하는 말 자애[4][5], 미래
타입 감지, 인주력[6]
이명 사폭의 가아라(砂瀑の我愛羅)[7][8]
성우 파일:일본 국기.svg 이시다 아키라[9]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한채언[10][11]최승훈(극장판 성인), 김래환(TV판 성인)
파일:미국 국기.svg 리엄 오브라이언[12]
파일:베트남 국기.svg 띠엔쭝
1. 개요2. 패러미터3. 갤러리4. 특징5. 인간관계6. 평가
6.1. 작중 언급
7. 작중 행적8. 전투력9. 사용 술법10. 어록
10.1. 1부10.2. 2부
11. 기타12. 게임13. 둘러보기 틀14. 관련 문서

[clearfix]

1. 개요

파일:FrankYellowishDiplodocus-size_restricted.gif

[ruby(我愛羅, ruby=があら)] | Gaara

만화 나루토보루토: 나루토 넥스트 제너레이션즈의 등장인물.

2. 패러미터

공식 캐릭터 북 패러미터 인술 체술 환술 현명함 속도 스태미나 인 맺기(印) 총합
데이터 북 1 3.5 1 2.5 2.5 1 2 4 3.5 20
데이터 북 2 4.5 2 2.5 3.5 2 3 5 4 26.5
데이터 북 3 5 2 3.5 4 2.5 3 5 4 29

스타일상 체술 및 힘이 카게치고는 약한 편인데, 패러미터만 보더라도 2부 시점의 체술과 힘이 1부 시점의 테마리, 칸쿠로보다 낮다.[13]

3. 갤러리

파일:Gaara Young.png 파일:Gaara One Tails 2.png
12-13세 (1부) 일미 차크라 폭주 상태
파일:ddgoitu-29fef1bf-7ac8-471d-9595-535253f4a37b.png 파일:img_card_00479.png
16세 (2부 / 5대 카제카게) 17세(제4차 닌자대전)
파일:narutogame-20200901-160645-000.jpg 파일:07ae720dc7354d4ab28f71948a56d181.png
19세 (THE LAST) 32세 (보루토)

4. 특징

원래 가아라는 모래 마을에 있는 미수 중 하나인 일미인주력이었다. 일미는 모래 마을 노승의 생령으로서, 너구리 모양을 한 꼬리 한 개의 괴수이며 수학이라고 불리운다. 수학을 빙의시킨 자는 치요이며 어머니는 그가 태어나자마자 죽었다. 일미의 영향으로 만성적인 수면 장애를 겪고 있으며, 그 덕에 눈 전체를 감싸는 다크서클을 가지게 되었다.[14]

사용 술법은 수학과 그 인주력 고유의 모래에 차크라를 담아 조종하는 술법이다. 일미의 영향으로 모래 술법을 구사하지만 원래 본인이 가진 혈계한계 또한 모래를 다루는 자둔(磁遁)이다.[15] 3대와 4대 카제카게가 자둔술사였고, 가아라 본인도 아버지인 4대와 같은 차크라를 지니고 있다고 언급된다.[16] 기본적으로 수학이 사용하는 모래 술법을 사용하며, 첫 등장 시부터 지금까지 엄청나게 강력한 모습으로 자주 등장하지만 묘하게 한 끗 차로 전투에서 패배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주인공인 우즈마키 나루토 다음으로 비중이 가장 큰 인주력이자 카제카게다.[17] 1부 중급닌자 시험 편의 최종 보스로 등장하여 존재감 과시, 2부의 시작은 카제카게 구출 편으로 아예 메인 스토리의 중심에 있다. 그리고 잠깐 공기화된 후 제4차 닌자대전에서 다시 활약했다.

2부 초반은 그가 중요 인물이 되며, 제4차 닌자대전이 시작되고 나선 주연급으로 상승하여 각종 극장판에도 자주 등장한다. 2부 들어서 나루토와 사스케에게 포커스가 맞춰져 비중이 줄어든 또래 세대의 닌자들 중에서 유일한 카게, 단연 가장 강한 힘과 많은 비중을 갖고 있으며[18], 주인공보다도 빨리 카게가 됐다!

5. 인간관계

6. 평가

가아라는 인주력들 중에서도 유난히도 불쌍하고 힘들게 산 캐릭터이다.[23] 킬러 비는 팔미와 친하고 나루토는 봉인을 잘 만들어 놔서 구미가 심하게 간섭하지는 않는데 가아라는 불쌍하게 일미가 잘 때 괴롭혀서 다크서클이 생겼다. 또한 킬러 비는 어느 정도 나이를 먹은 후에 인주력이 된지라 어린 시절의 좋은 추억이 있었고 나루토에게는 그래도 우미노 이루카라는 좋은 선생님이 있었는데, 가아라는 유독 괴물 취급을 받으며 홀로 버려져서[24] 뒤틀린 성격과 사상을 지니게 됐다. 결코 행복하지 않은 유년 생활을 보냈던 나루토조차 한때 '같은 인주력인데 나만 행복해졌다'며 가아라에게 부채 의식을 느꼈을 정도니 말 다 했다.[25][26] 그래도 절망의 나락에서 좋은 친구를 만나며 갱생하였고, 어린 나이임에도 카게의 자리에 오르고, 이후의 그의 행적까지 본다면 그도 본성은 착하며 훌륭한 인품과 좋은 됨됨이를 지닌 사람이자 닌자이다.[27] 게다가 아버지 라사에게 수없이 목숨을 위협받은 탓에 라사를 원망해왔지만 카제카게에 오른 후에는 아버지가 진심으로 위했던 것을 알 것 같아 이제는 이해할 수 있다고 한다. 괜히 3대 라이카게가 처음 만난 가아라를 보고 훌륭한 닌자라고 평가한 것이 아니다.

다만 첫 등장 당시만 하더라도 어린 나이에 심성이 굉장히 비뚤어져있어서 거슬리는 상대는 죄다 살해하는 사이코패스로 살았던 전적이 있다. 주된 이유는 그냥 가는 길에 눈앞에 있어서다(...).[28]사실 이미 가아라는 라사의 명령으로 마지막으로 믿었던 야샤마루에게까지 버림받았다는 걸 깨달은 뒤로 완전히 더이상 사랑받을 사람을 찾지 못하게 됐기 때문에 모두가 자신을 괴물취급 해버리는 처지가 되었으니 바라는대로 괴물이 되어주겠다는 식으로 완전히 흑화했던 것이라 다시 원래의 착한 본성으로 돌아오기 전까지 저러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 한마디로 잃을 게 없다는 식으로 되버린 것.

그 밖에 한국에선 줄타기 달인, 외교 장인이라는 이 있다. 1부때는 나중에 재평가받은 마이트 가이의 선전 포고에 미리 눈치 까고 알아서 숙이는 모습이 재발굴됐으며 나루토에겐 "호카게가 되면 의형제를 맺자."같은 빠른 라인 서기와 보루토에 들어와선 자신의 누이는 나뭇잎 마을 호카게의 최고 참모이자 이제는 8대 호카게의 부인으로 두면서 양아들마저 호카게의 아들과 스리슬쩍 인맥을 맺게 하는 굉장한 치밀함과 작중 사건이 끝나고 나루토를 가볍게 디스하면서도 동시에 아들을 매우 칭찬하며 흐뭇하게 하는 뛰어난 정치 외교를 선보이면서 이런 밈이 굳어졌다. 별명의 바리에이션으로 선구안, 외교의 가아라 등이 있다.

6.1. 작중 언급

아들인가? 훌륭한 닌자로구나.
3대 라이카게

7. 작중 행적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아라/작중 행적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8. 전투력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아라/전투력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9. 사용 술법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아라/사용 술법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0. 어록

10.1. 1부

는 내 먹이다!!![29]
난 모래만 있으면 뭐든지 할 수 있다.
자신이 숭배하는 자의 명예가 훼손당했다고 생각되면 자신이 심하게 상처받고 격노한다. 숭배하는 자가 소중하면 소중할수록 그 소중한 것을 위해서 싸운다. 그러나 자신에게 있어 소중한 사람이 반드시 선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아니, 설령 그것이 악이라는 것을 알고 있어도 사람은 고독에는 이기지 못한다.
키미마로를 쓰러뜨린 후 록 리에게
어차피 인간이길 포기하고 닌자 도구로서 되살아난 평생 알 수 없을 것이다.
세이메이에게
열심히 노력해서 다른 사람에게 인정받는 존재가 되고 싶다고 우즈마키 나루토를 보면서 생각했어. 다른 사람과의 관계, 지금까지의 나한테 그건 오로지 증오와 살의 뿐이었어. 하지만, 녀석이 그렇게 혼신을 다해 지키려는 관계란 무엇일까. 그게 뭔지 이제 조금은 알 것 같아. 가슴 아픈 고통과 슬픔. 기쁨까지도 누군가와 함께 느끼고 공유할 수 있다는 걸 말이지.
칸쿠로에게

10.2. 2부

그것이 세상, 그것이 인간이라고 한다면 미래는 없겠군. 서로를 알아가는 것, 믿는 것. 그걸 그만둔다면 세상에 남는 것은 공포뿐이다. 도덕적이지 못한 방식이나 포기란 걸 지금의 난 받아들일 수 없게 되었다.
너의 눈은 과거와 변함이 없구나. 난 복수를 위해 살아봤자 아무것도 해결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았다. 증오에 사로잡혀서 자신만의 세계로 도망치지 마라! 사스케.. 넌 나랑 닮았어.. 이 세상의 어둠을 걸어온 자! 그렇기 때문에 아주 작은 빛이라도 쉽게 눈에 보일 것이다! 예전에도.. 그리고 지금도![30]
은 언제 자기 자신을 버렸나?[31][32]
(츠나데: 나루토, 킬러 비 모두 큰 전력이야! 숨겨서 어쩌겠다는 거지?)

이건 그 둘을 지키기 위한 전쟁. 호카게 혼자 고집을 부려도 소용없다. 다수결로 결정한다.

(츠나데: 이 애송이가! 나루토는...)

그 녀석에 대해서라면 잘 알아. 동료를 위해서라면 무리를 마다하지 않지. 그러니 더욱 안 돼.
츠나데를 간단히 설득하는 가아라
자신의 나라와 마을의 이익을 위해 제1차부터 제3차 닌자대전까지 긴 세월에 걸쳐 닌자는 서로를 상처 입히고 증오해 왔다. 그리고 그 증오가 힘을 원했고, 내가 태어났다.

과거엔 나도 증오이자 힘인 동시에 인주력이었다. 그래서 이 세상과 인간을 증오하여 멸망시키려고 생각했다. 지금 아카츠키가 하려는 짓과 마찬가지였지.

하지만 나뭇잎 마을의 한 닌자가 그것을 멈추어 주었다![33] 그는... 적이었던 나를 위해 울어주었다! 상처 입힌 나를 친구라 불러주었다!

그는 나를 구해줬다! 적이었지만 그는 나와 같은 인주력이었다! 같은 아픔을 겪어야만 했던 자들끼리 불신의 응어리는 없다! 지금 여기에 적은 없다! 왜냐하면 모두 아카츠키에게 같은 아픔을 겪었기 때문이다!

모래도... 바위도... 나뭇잎도... 안개도... 구름도 없다.
여기에 있는 것은 오직, 닌자다!

만약 그래도 모래 마을을 용서할 수 없다면, 이 전쟁이 끝난 후에 내 목을 가져가도 좋다!

나를 구해준 그 나뭇잎 친구를 지금 적이 노리고 있다! 그가 적에게 넘어간다면 이 세상은 끝나고 만다! 난 친구를 지키고 싶다! 그리고 이 세상을 지켜내고 싶다!

이 세상을 지켜내기에 나는 너무 어리다! 너무 부족하다! 그러니 모두 힘을 빌려주기 바란다!

동의하는 자는 나를 따르라!!![34]

11. 기타

파일:/img/img_link7/838/837496_2.jpg}}}||

12. 게임

12.1. 시노비 스트라이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가아라(NARUTO TO BORUTO: SHINOBI STRIKER)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13. 둘러보기 틀

중급닌자 시험 편 분기별 보스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중간 보스 가아라 & 수학
최종 보스 오로치마루
}}}}}}}}} ||

14. 관련 문서


[1] 그의 누나와 형이 170cm, 180cm의 장신인 것에 비해 다소 키가 작다. 어린 시절 인주력에 시달리느라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했다는 언급이 나오며 이것이 성장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보인다.그리고 애초에 태어날 때부터 미숙아로 태어나서 일반적인 아기들보다 더 작은 몸집이었고 어머니 카루라가 그래서 특히나 더 아끼는 모습을 보였었다.[2] 나루토에게 감화되기 이전인 중급닌자 시험 때까지만 한정이다.[3] 설정상 희귀한 선인장들을 모으며 숨겨진 취미라고 한다.[4] 自愛에서 慈愛로 바뀌었다. 일본어 발음도 동일.[5] 慈愛의 慈는 인자로움, 자애로움 외에도 '사랑으로 괴로움을 제거하다'라는 뜻을 가진다.[6] 2부 시점부터 슈카쿠와 링크가 끊어졌지만 일부 능력은 사용 가능하다.[7] 투니버스 방영판에서는 사막의 가아라로 나온다. 하지만 가아라가 모래 술법을 쓰기도 하고, 황무지인 모래 마을 출신이기 때문에 딱히 오역이 아니다. 미국에서의 별명도 가아라 오브 더 데저트(Gaara of the Desert)로 사막의 가아라를 뜻한다. 여담으로 사폭과 사막의 일본어 발음은 둘 다 'さばく'이다.[8] 모래 마을 출신이기도 하지만 그가 사용하는 모래가 항상 뒤에 메고 다니는 거대한 모래 마을 문양의 모래 항아리에서 마치 사막 폭풍같이 거대하게 나와서 붙여진 이명이다.[9] 여담으로 애니메이션 나루토는 유년 시절도 동일 성우에게 담당시키는 경우가 많아 소년 편 때부터 가아라의 유년 시절 목소리도 담당했는데, 질풍전이 되어 다른 여자 성우들이 유년 시절을 담당하게 된 것과 달리 가아라의 유년 시절은 이시다 아키라가 계속 담당하였다.[10] 한미일 중 유일하게 여자 성우이다. 나루토와 마찬가지로 한국어 더빙 버전에서 성우가 바뀐 캐릭터이다. 나루토는 이선주 성우에서 이호산엄상현 성우(보루토 TV판에서는 엄상현으로 교체)로 바뀌었고, 가아라는 한채언 성우에서 최승훈김래환 성우로 바뀌었다.[11] 한채언 성우에 대해서는 2부 이후로 평가가 갈리는 중. 1부에선 사실상 초등학생 또래라 한채언의 음색도 크게 흠 잡을 곳이 없었지만 다소 성장한 2부 시점에선 위화감이 느껴지기 때문이다. 한채언 본인도 일본판 성우가 남성임을 알고 있었다. 일본에서 인기 있는 꽃미남 성우로 기억한다고.[12] 원판에 비하면 목소리 톤이 낮은편이다.[13] 이 둘 모두 중/원거리에 특화된 닌자라 체술이 상대적으로 뛰어난 편은 아니다.[14] 이 때문에 가아라를 상징하는 동물은 일미의 너구리가 아닌 팬더다. 아버지와의 대화에서 과거 회상 모습을 보면 태어났을 때부터 다크서클이 있었다. 이는 임신 중에 빙의시킨 탓이며, 그래서 미숙아로 태어났다. 일미가 사라진 후에도 다크서클은 계속해서 남아있다.[15] 자력을 다루는 혈계한계. 자둔의 모티브가 된 일미가 풍둔을 쓰고 설정집에 자둔은 풍둔+토둔의 조합이라고 명시됐다.[16] 예토전생으로 부활한 가 가아라의 차크라를 느끼고 언급됐다.[17] 킬러 비는 후반에 비중이 커지지만 가아라는 소년 편부터 계속 나왔다.[18] 비중으로 따지면 시카마루와 비슷하다.[19] 553화에서 갑작스럽게 참전한 나루토를 향해 내가 납득할 만한 이유를 설명해야 할 거다 라며 진심으로 화를 내며 물어보는데 물론 나루토가 잡히면 세계가 멸망당하기 때문인 이유도 있었겠지만 그 전에 나루토는 이미 자신에게 있어 목숨보다 소중한 친구다. 아무리 나루토가 참전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아넣어졌다고 한들 그런 친구를 지키기 위한 전쟁에서 그 친구가 갑자기 나타나니 사정을 전혀 듣지도 못한 가아라 입장에서는 어이가 없을 수밖에 없다. 츠나데가 나루토는 가장 큰 전력인데 왜 숨기냐며 따졌지만 나루토는 동료를 위해서라면 무리도 마다하지 않는다. 그래서 (나루토를 전장에 내보내는 건) 더 안 된다.라고 일갈하며 나루토를 지키고자 했다.[20] 작중 행적에도 서술되어 있지만 가아라가 무한 츠쿠요미에 빠졌을 때 화목한 가족 간의 일상과 함께 놀자고 찾아온 친구가 나루토다.[21] 대표적으로 가아라가 모래로 많은 모형을 만들어내자 칸쿠로와 테마리가 감탄하는 장면이 있다. 칸쿠로: "똥 큰 거 만들어봐." 그래서 가아라가 정말 만들었다.[22] 시지마가"제가 평생 카제카게 님을 지켜드리겠습니다."로 종지부를 찍었다.[23] 후술하겠지만, 사실 작중 가장 불쌍한 캐릭터라 봐도 무방하다.[24] 그나마 야샤마루가 있긴 했지만 본의와는 전혀 관계없는 상부의 명령 때문이었다고 해도 결과적으로 가아라가 잘못된 길로 들어서게 한 결정적인 원인을 주기도 했다. 나루토로 치면 이루카가 나루토를 배신한 것과 마찬가지였던 셈.[25] 이를 알 수 있는 연출이 가아라가 데이다라에게 납치당해 죽었던 에피소드인데, 나루토가 가아라를 구하러 가며 그를 생각하는 장면에서 나루토에게는 주위에 동료와 친구들이 점점 늘어나지만, 가아라는 계속 홀로 쭈그려 앉아 울고 있는 장면을 줌아웃해서 교차로 보여준다. 그가 얼마나 외롭고 고독하게 살아왔는지 알 수 있는 부분.[26] 심지어 4차 닌자대전 당시 친구가 생겼다는 말에 놀라는 라사에게 2대 미즈카게 겐게츠는 '친구 정도는 있는 게 당연한데 그걸 가지고 놀라다니 대체 얼마나 처량한 꼬마였던 거냐'며 가아라의 불우했던 시절을 연민하는 언급을 한다.[27] 카게 자리에 오른 것 역시 인주력에 대한 사람들의 선입견, 자신에 대한 부정적 평가를 모두 극복해 내고, 자신의 과오에 대한 반성 등을 통해 자력으로 오른 것이다. 이후 데이다라와의 결전에서 쓰러져 납치당해 가는 마지막까지 마을 사람들을 지키기 위해 모래를 치우는 그의 모습은 그가 한 마을의 카게로서 충분한 자격을 지녔음을 보여준다.[28] 그것도 가아라의 공격 방식상 굉장히 잔인하고 공포스럽게 죽였다. 덕분에 사폭장송이라는 가아라의 간판기가 독자들의 인상에 확실하게 각인된 편이다.[29] 1부 때 카카시에게 수련받고 있던 도중 나타났을 때, 나뭇잎 부수기 때 사스케에게 했던 말이다.[30] 오카게 회담에 급습한 사스케를 막아선 채, 한때는 자신과 상황이 비슷했지만 나루토에게 감화되어 갱생한 자신과는 달리 완전히 어둠에 잠식되어 폭주해버린 사스케의 모습에 안타까워하며. 이후 눈물을 보였다.[31] 다섯 카게 회담에서 오오노키가 가아라를 어리다고 깔봤을 때 한 대사. 오오노키는 이 말을 듣고 아무 말도 하지 못하고 한 방 먹었다. 꽤나 인상 깊었는지, 이후 가아라와 함께 전대 카게들과 싸우기 전에 이 말을 언급하며 "언젠가 버렸던 나 자신을 여기서 주우마!" 라고 답했고 가아라 역시 "그럼 같이 찾으러 가자고."라며 응해줬다.[32] 오카게 회담 중.[33] 이때부터 나루토가 자신을 바꾸고 자신을 위해 울어주며 친구로 대해주었던 모습을 떠올리면서 연설한다.[34] 거의 모든 명대사가 닌자대전을 치르기 전 연설을 할 때 나왔다. 아무 잡설 없이 친구와 세상을 지키고 싶으니 동료를 지키기 위한 힘을 빌려달라는 연설인 만큼 확실히 이를 들은 닌자들의 사기가 상당히 올라갔던 연설이기도 했다.[35] 597화[36] 양손에 아기딸랑이까지 흔들면서 "우쭈쭈 우리 가아라~" 라면서...개그 에피소드니까...[37] 이때 작게 "아,미안."이라고 한다...[38] 가아라와 아카자 둘 다 작중에서 수라라고 언급되기도 하였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