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임진왜란 초기 세 번째 전투였던 동래성 전투 당시 순절한 동래부사 송상현과 성민들을 기리기 위한 기록화로, 보물 1점과 시도유형문화재 2점이 각각 존재한다. 흔히 우리가 아는 것은 보물로 지정된 순절도이다.2. 변박의 동래부순절도(1760년)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서울 흥인지문
1.#26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1.#76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당진 안국사지 석탑
1.#126 경주무장사지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
1.#176 순천 송광사 금동요령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1.#226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269-3.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3 269-4.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7(2007)}}}
1.#276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1.#326 이순신 유물 일괄 326-2. 옥로 1.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1. 금동약사여래입상 1.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1.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1.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3) 1.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1. 금동보살입상(1963-2) 1.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1963) 1. 석조비로자나불좌상 1. 정지장군 갑옷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1.#376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금동여래입상(1964)
1.#426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1.#476
[31]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제46호로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
523-3. 석보상절 권11}}}
1.#526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 {{{-2 526-1.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해동명적 526-2.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원조오잠, 사산오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시용향악보
1.#576 봉업사명 청동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01 대구 도학동 승탑 1.#626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51 연안 이씨 종중 문적
1.#676 영천 화남리 석조여래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0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01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경
1.#726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5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51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4
1.#776 환두대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01~8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01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1.#826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51~9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51 창경궁 관천대
875-1.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1.#876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50] 보물 제875-1호로 지정번호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901~9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901 권벌 종가 고문서
1.#926 수월관음보살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951~10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951 선조국문유서
1.#976 상지은니 묘법연화경 권5~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01~10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01 양산이씨 종가 고문서
1.#1026 청자 양각도철문 방형 향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51~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51 분류두공분시(언해) 1051-1.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3 1. 천태사교의 1. 진언권공(언해) 1. 백자 병 1. 백자 태항아리 1. 백자 청화철화삼산뇌문 산뢰 1. 백자 청화 ‘망우대’명 초충문 접시 1.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 1. 백자 청화초화문 필통 1. 백자 철화끈무늬 병 1. 백자 철채 뿔잔 1.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1. 백자 청화매월십장생문 팔각접시 1.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1.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1991) 1. 백자 청화화조문 팔각통형 병 1.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1.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1. 분청사기 음각수조문 편병 1. 분청사기 박지모란문 장군 1. 청자 유개항아리 1. 초조본불설우바새오계상경 1. 초조본 아비담팔건도론 권24 1.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3 1.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6 1.#1076 김천리 개국원종공신녹권
1. 벽역신방 1. 신찬벽온방 1087-1. 신찬벽온방(1991-1) 1. 언해태산집요 1088-1. 언해태산집요(1991-1) 1. 동인지문오칠 권7~9 1. 권근 응제시주 1090-1. 권근 응제시주(1991) 1. 제왕운기 1091-1. 제왕운기(1991) 1.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1. 불과환오선사벽암록 1. 인천안목(1991) 1.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일괄 1. 오희문 쇄미록 1. 염제신 초상 1. 감지은니 미륵삼부경 1. 감지금니 미륵하생경 1. 상지은니 불설보우경 권2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1~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101 상지은니 대반야바라밀다경 권305
1.#1126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별행소
[60] 보물 제569-22호 및 제569-23호으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51~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151 청동 옻칠 발걸이
1.#1176 유수 초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201~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201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1.#1226 조흡 고신왕지(199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251~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251
1.#1276 인제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01~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301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1306-1. 묘법연화경(2001) 1. 고흥 능가사 대웅전 1. 홍진 호성공신교서 1. 영암 엄길리 암각 매향명 1. 나주 불회사 대웅전 1. 순천 선암사 대웅전 1.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1.#1326 함창상원사사불회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51~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351 통도사 괘불탱
1.#1376 순천 송광사 티베트문 법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01~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401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1.#1426 수월관음도(200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51~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451 청자 상감운학국화문 병형 주전자
1.#1476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1~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01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1.#1526 부산 범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2 1543-1.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 1543-2.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51~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51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
1.#1576 김천 직지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601~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601 천하여지도
1.#1626 김현성 필적
1. 숙종어필 칠언시 1. 영조어필 1631-1. 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 1. 정조어필 1632-1. 정조어필-신제학정민시출안호남 1. 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1.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1.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1.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지눌진영 1.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 1.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1.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1.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1. 예천 용문사 천불도 1. 안동 광흥사 동종 1.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1.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1.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1.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1.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651~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651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1.#1676 윤순 필적 고시서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701~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701 하동 쌍계사 동종
1.#1726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751~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751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1776 영가진각대사증도가(2012)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801~18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801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1.#1826 양산 통도사 영산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851~19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851 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1.#1876 완산부지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901~19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901 조선왕조의궤 1901-1. 조선왕조의궤(2016-1) 1. 제주향교 대성전 1. 고려 수월관음보살도 1.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출토 사리장엄구 1.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1.#1926 협주명현십초시
[84] 가치상실이나 승격 등으로 인한 지정해제와는 달리 대명률은 지정 사실 자체가 취소되었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951~20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951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1.#1976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01~20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01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1.#2026 김천 직지사 괘불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51~2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51 안동 체화정
1.#2076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100~2142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101 순천향교 대성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2.11.2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2.11.25 - 2023.12.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3]⠀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3.12.26 - 2025.09.04
* 고창 문수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4]⠀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2.1. 개요
東萊府殉節圖. 조선 영조대의 화가인 변박(卞璞)이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 전투의 모습을 그린 기록화. 현재 서울특별시 노원구의 육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392호이다.
2.2. 내용
도주하는 경상좌병사 이각(李珏)과 병사들. 잘 모르는 사람은 성이 공격받고 있다는 사실을 알리러 떠난 전령으로 착각하기 쉽다.
96㎝×145㎝. 1709년(조선 숙종 35년)에 처음 그려진 기록화로, 이후 1760년(영조 36년)에 기존 원본 그림이 오래되자 부산 지역의 화가 변박이 모사(模寫)한 것이다.
1592년(선조 25년) 4월 15일 벌어진 동래성 전투를 묘사하였다.
보물 제391호로 지정된 부산진순절도(釜山鎭殉節圖)와 함께 그동안 동래 안락서원에 전해내려오고 있었으며, 근현대 격변기[1] 이후 육군박물관이 소장하게 되었다. 1963년에 보물 제392호로 지정되었다.
2.3. 외부 링크
2.4. 보물 제392호
<동래부순절도(東萊府殉節圖)>는 선조 25년(1592년) 4월 15일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에서 왜군의 침략에 대응하다 순절한 부사 송상현과 군민들의 항전 내용을 묘사한 그림이다.
비단 바탕에 그린 이 그림은 숙종 35년(1709년) 처음 그려진 것을 영조 36년(1760년) 화가 변박(卞璞)이 보고 다시 그린 그림으로 크기는 가로 96㎝, 세로 145㎝이다. 위에서 내려다 보는 듯한 기법을 사용하여 치열했던 교전의 장면을 화폭에 나타내었다. 중심에 동래성이 둥글게 자리잡고 있고 남쪽 성루를 중심으로 동래 병사들이 수비하고 있으며 이들을 공격하기 위해 왜병들이 겹겹이 에워싸고 있다. 성곽 아래쪽으로는 왜군과 죽음의 결전을 벌이는 장면이 있고, 성곽 안쪽 중심에는 붉은 조복을 입고 북쪽을 향해 앉아있는 송상현의 순절 장면이 그려져 있으며 북문 밖으로는 성을 버리고 달아나는 경상좌병사 이각(李珏)의 무리들이 대조적으로 그려져 있다. 화면 위쪽의 산은 윤곽선을 선으로 나타내고 점을 찍어 표현하였는데 다소 경직된 모습이다.
작품의 격은 그리 높지 못하고 구도나 형태, 필치 등에서 경직된 면이 엿보이기는 하지만 커다란 국난을 맞이하여 끝까지 항전한 민족성을 표현하여 민족적 교훈을 담고 있다.
비단 바탕에 그린 이 그림은 숙종 35년(1709년) 처음 그려진 것을 영조 36년(1760년) 화가 변박(卞璞)이 보고 다시 그린 그림으로 크기는 가로 96㎝, 세로 145㎝이다. 위에서 내려다 보는 듯한 기법을 사용하여 치열했던 교전의 장면을 화폭에 나타내었다. 중심에 동래성이 둥글게 자리잡고 있고 남쪽 성루를 중심으로 동래 병사들이 수비하고 있으며 이들을 공격하기 위해 왜병들이 겹겹이 에워싸고 있다. 성곽 아래쪽으로는 왜군과 죽음의 결전을 벌이는 장면이 있고, 성곽 안쪽 중심에는 붉은 조복을 입고 북쪽을 향해 앉아있는 송상현의 순절 장면이 그려져 있으며 북문 밖으로는 성을 버리고 달아나는 경상좌병사 이각(李珏)의 무리들이 대조적으로 그려져 있다. 화면 위쪽의 산은 윤곽선을 선으로 나타내고 점을 찍어 표현하였는데 다소 경직된 모습이다.
작품의 격은 그리 높지 못하고 구도나 형태, 필치 등에서 경직된 면이 엿보이기는 하지만 커다란 국난을 맞이하여 끝까지 항전한 민족성을 표현하여 민족적 교훈을 담고 있다.
3. 민정중의 동래부순절도(1658년)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72459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1.#26
[1] 보물 제916호로 승격[2] 보물 제1295호로 승격[3] 보물 제1338호로 승격[4] 보물 제1296호로 승격[5] 경기도 유형문화유산 제133호로 지정변경[6] 보물 제658호로 승격[7] 충청북도 기념물 제147호로 지정변경[8] 보물 제1416호로 승격[9] 보물 제1418호로 승격[10] 보물 제985호로 승격[11] 보물 제1527호로 승격[12] 보물 제664호로 승격[13] 국보 제197호로 승격[14] 보물 제656호로 승격[15] 충청북도 기념물 제37호로 지정변경[16] 보물 제1417호로 승격[17] 충청북도 기념물 제40호로 지정변경[18] 보물 제2107호로 승격[19] 충청북도 기념물 제41호 영동 김자수 고가에 포함[20] 보물 제1551호로 승격[21] 보물로 승격[22] 충청북도 기념물 제42호로 지정변경[23] 충청북도 기념물 제43호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51
1.#76 충주 창동리 마애여래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01 진천향교
1.#126 괴산 각연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151 영동 사로당
1.#176 영동 영모재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01 허한・허적 초상
1.#226
246-3. 묘법연화경 권6~7 246-4. 묘법연화경 권6~7}}}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251 백지묵서묘법연화경(언해)(충청북도 유형문화유산 제251호)|묘법연화경(언해)
1.#276 백지묵서약사유리광여래본원공덕경
[54] 외부로 반출[55] 외부로 반출[56] 외부로 반출[57] 보물 제1714호로 승격[58]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유산 제6호로 지정변경[59]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유산 제7호로 지정변경[60]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유산 제8호로 지정변경[61]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유산 제9호로 지정변경[62]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유산 제10호로 지정변경[63] 세종특별자치시 유형문화유산 제11호로 지정변경[64] 보물 제1654호로 승격[65] 보물 제1653호로 승격[66] 보물 제1655호로 승격[67] 보물 제720-2호로 승격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01 제천 신륵사 극락전 벽화 및 단청 1.#326 대반열반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1.#351 충주 혜원정사 석불좌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09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3.1. 개요
조선 효종 9년인 1658년에 동래부사 민정중(閔鼎重, 1628년 ∼ 1692년)이 임진왜란 당시의 동래성 전투 상황을 직접 겪은 노인(老人)의 말을 토대로 그린 기록화. 현재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의 청주고인쇄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다른 9점의 유물과 함께 '송상현 문적'이라는 명칭으로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23호로 일괄 지정되어 있다.3.2. 내용
| |
적전도주하는 경상좌병사 이각(李珏)과 병사들의 장면 | 동래부사 송상현의 순절 장면 |
1658년에 그린 그림으로 당시 참전용사들의 구술 내용을 토대로 동래성 전투의 모습을 복원한 것이다.
조선 선조 25년(1592년) 동래부사(東萊府使)로 재임 중 왜구(倭寇)에 맞서 목숨을 바친 천곡(泉谷) 송상현(宋象賢)과 관련된 기록물들을 모은 송상현 문적 5건 10점 중 하나이다. 순절도에 나오는 이각과 병사들이 중국식 검과 창, 깃발창
, 환도를 버리는 장면인데 이것과는 상관이 없지만 해자에서 투겁창,장창,창날만 있는 창 2점,하나의 일본계 무기인 기쿠치창이 출토되었다.
3.3. 충청북도 유형문화재 제223호
조선 선조 25년(1592년) 동래부사(東萊府使)로 재임 중 왜구(倭寇)에 맞서 목숨을 바친 천곡(泉谷) 송상현(宋象賢)의 업적을 알려주는 기록물들로서 임진왜란(壬辰倭亂) 당시 동래성전투(東萊城戰鬪) 상황 및 천곡 송상현의 인품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들이다.
천곡 송상현 유물은 동래부순절도(東萊府殉節圖) 1폭, 교지(敎旨) 3매, 치제문(致祭文) 4매, 혈선발(血扇跋) 1첩, 『천곡수필집(泉谷隨筆集)』 1책 등 5건 10점이다. 이들 유물은 지금까지 전해지는 천곡 송상현의 일괄 유물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은 것이다.
동래부순절도는 효종 9년(1658년) 동래부사 민정중(閔鼎重, 1628년 ∼ 1692년)이 임진왜란 당시의 동래성 전투 상황을 잘 아는 노인(老人)의 말을 토대로 그린 그림이다. 숙종 35년(1709년)에 이 순절도를 모사한 동래부순절도가 보물 제392로 지정되어 육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교지는 3매로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 추증(追贈) 교지는 영조 17년(1741년) 정이품(正二品) 자헌대부이조판서(資憲大夫吏曹判書)에 증직(贈職)되었던 천곡 송상현에게 다시 종일품(從一品) 숭정대부의정부(崇政大夫議政府) 좌찬성(左贊成)으로 추증한 교지이다. 부인 이씨(夫人 李氏) ‘정경부인(貞敬夫人)’ 추증 교지는 영조 17년(1741년)에 종일품 숭정대부의정부 좌찬성으로 추증된 천곡 송상현의 품직(品職)에 따라 부인 이씨에게 정경부인의 품계를 추증한 교지이다. ‘충렬공(忠烈公)’ 시호(諡號) 추증 교지는 천곡 송상현의 시호를 ‘충렬공(忠烈公)’이라 추증할 때의 교지이다. 교지의 말미부분(末尾部分)이 손상되어 시호와 교지를 내린 시기를 알 수 없으나 ‘숭정대부’에 추증된 것으로 미루어 ‘의정부좌찬성’으로 추증되었을 때의 교지와 함께 하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치제문은 4매로 숙묘정유(肅廟丁酉) 사묘제문(賜墓祭文)은 숙종 43년(1717년) 예조정랑(禮曹正郞) 김윤해(金潤海)를 송상현의 묘소로 보내 치제(致祭)할 때에 하사한 제문이다. 영묘경오(英廟庚午) 사묘제문(賜廟祭文)은 영조 26년(1750년) 영조가 송상현의 묘소 인근을 지나다가 예조정랑 신일청(申一淸)을 보내 치제할 때에 하사한 제문이다. 영묘어제(英墓御製) 임진사묘제문(壬辰賜墓祭文)은 영조 48년(1772년) 예조정랑 변경진(邊景鎭)을 송상현의 묘소로 보내 치제할 때에 하사한 제문이다. 순묘임진(純墓壬辰) 사동래단제문(賜東萊壇祭文)은 순조 32년(1832년) 동래도호부사(東萊都護府使) 박제명(朴齊明)을 동래단(東萊壇)으로 보내 치제할 때에 하사한 제문이다
혈선발은 송상현이 죽기를 결심하였을 때에 그의 대인(大人) 송화공(松禾公)을 영결(永訣)하면서 부채면(面)에 ‘고성월훈 열진고침 군신의중 부자은경(孤城月暈 列鎭高枕 君臣義重 父子恩輕)’이라 혈서(血書)한 16자가 전해지던 것을 조선 영조 31년(1756년)에 윤봉구(尹鳳九)가 송상현을 칭송(稱頌)하여 제술(製述)한 것이다.
천곡수필집은 종가(宗家)에 전해오는 천곡 송상현의 유필(遺筆)로 추정되는 불분권(不分卷) 1책의 필사본(筆寫本)이다. 송상현이 개인적인 처신과 정치 및 학문에 관한 사항들을 당시 여러 선생들로부터 문답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 표지를 포함하여 전체 52장(張) 1책이며, 표지의 해정(楷正)한 필체로 ‘천곡수필집(泉谷隨筆集)’이라 제첨(題簽)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서(序)’는 없고 내지(內紙)에 후손인 수일(秀一)이 쓴 ‘발(跋)’이 있다. 또한 수일이 정리하여 기록한 것으로 보이는 문답에 대한 주제와 문답자가 정리되어 있다. 이 수필집은 필사시기(筆寫時期)와 그 경위도 분명치 않으며, 후손 수일의 발문(跋文)도 숭정(崇禎)4 임신(壬申, 1812)년으로 천곡 송상현 사거(死去)한지 200여년이 지난 후의 기록이다. 그러나 종가에 전해오던 것이므로 천곡 송상현이 직접 정리하고 필사(筆寫)한 것으로 추정된다. 송상현의 저술(著述)이 적지 않았음은 선생의 유저(遺著) 『천곡선생집』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선생이 임진왜란 때에 순절한 후로 많은 저술이 일실(逸失)되어 현재 『천곡선생집』 외에는 별로 전해지는 것이 없다.
천곡 송상현 유물은 천곡 송상현이 조선 선조 25년(1592년) 동래부사로 재임 중 왜구와 맞서 목숨을 바친 천곡 송상현 선생의 업적 및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전투의 상황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들로서 역사자료 및 교육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가치가 크다.
천곡 송상현 유물은 동래부순절도(東萊府殉節圖) 1폭, 교지(敎旨) 3매, 치제문(致祭文) 4매, 혈선발(血扇跋) 1첩, 『천곡수필집(泉谷隨筆集)』 1책 등 5건 10점이다. 이들 유물은 지금까지 전해지는 천곡 송상현의 일괄 유물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은 것이다.
동래부순절도는 효종 9년(1658년) 동래부사 민정중(閔鼎重, 1628년 ∼ 1692년)이 임진왜란 당시의 동래성 전투 상황을 잘 아는 노인(老人)의 말을 토대로 그린 그림이다. 숙종 35년(1709년)에 이 순절도를 모사한 동래부순절도가 보물 제392로 지정되어 육군사관학교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교지는 3매로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 추증(追贈) 교지는 영조 17년(1741년) 정이품(正二品) 자헌대부이조판서(資憲大夫吏曹判書)에 증직(贈職)되었던 천곡 송상현에게 다시 종일품(從一品) 숭정대부의정부(崇政大夫議政府) 좌찬성(左贊成)으로 추증한 교지이다. 부인 이씨(夫人 李氏) ‘정경부인(貞敬夫人)’ 추증 교지는 영조 17년(1741년)에 종일품 숭정대부의정부 좌찬성으로 추증된 천곡 송상현의 품직(品職)에 따라 부인 이씨에게 정경부인의 품계를 추증한 교지이다. ‘충렬공(忠烈公)’ 시호(諡號) 추증 교지는 천곡 송상현의 시호를 ‘충렬공(忠烈公)’이라 추증할 때의 교지이다. 교지의 말미부분(末尾部分)이 손상되어 시호와 교지를 내린 시기를 알 수 없으나 ‘숭정대부’에 추증된 것으로 미루어 ‘의정부좌찬성’으로 추증되었을 때의 교지와 함께 하사된 것으로 추정된다.
치제문은 4매로 숙묘정유(肅廟丁酉) 사묘제문(賜墓祭文)은 숙종 43년(1717년) 예조정랑(禮曹正郞) 김윤해(金潤海)를 송상현의 묘소로 보내 치제(致祭)할 때에 하사한 제문이다. 영묘경오(英廟庚午) 사묘제문(賜廟祭文)은 영조 26년(1750년) 영조가 송상현의 묘소 인근을 지나다가 예조정랑 신일청(申一淸)을 보내 치제할 때에 하사한 제문이다. 영묘어제(英墓御製) 임진사묘제문(壬辰賜墓祭文)은 영조 48년(1772년) 예조정랑 변경진(邊景鎭)을 송상현의 묘소로 보내 치제할 때에 하사한 제문이다. 순묘임진(純墓壬辰) 사동래단제문(賜東萊壇祭文)은 순조 32년(1832년) 동래도호부사(東萊都護府使) 박제명(朴齊明)을 동래단(東萊壇)으로 보내 치제할 때에 하사한 제문이다
혈선발은 송상현이 죽기를 결심하였을 때에 그의 대인(大人) 송화공(松禾公)을 영결(永訣)하면서 부채면(面)에 ‘고성월훈 열진고침 군신의중 부자은경(孤城月暈 列鎭高枕 君臣義重 父子恩輕)’이라 혈서(血書)한 16자가 전해지던 것을 조선 영조 31년(1756년)에 윤봉구(尹鳳九)가 송상현을 칭송(稱頌)하여 제술(製述)한 것이다.
천곡수필집은 종가(宗家)에 전해오는 천곡 송상현의 유필(遺筆)로 추정되는 불분권(不分卷) 1책의 필사본(筆寫本)이다. 송상현이 개인적인 처신과 정치 및 학문에 관한 사항들을 당시 여러 선생들로부터 문답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 표지를 포함하여 전체 52장(張) 1책이며, 표지의 해정(楷正)한 필체로 ‘천곡수필집(泉谷隨筆集)’이라 제첨(題簽)되어 있다. 전반적으로 보존 상태가 양호하다. ‘서(序)’는 없고 내지(內紙)에 후손인 수일(秀一)이 쓴 ‘발(跋)’이 있다. 또한 수일이 정리하여 기록한 것으로 보이는 문답에 대한 주제와 문답자가 정리되어 있다. 이 수필집은 필사시기(筆寫時期)와 그 경위도 분명치 않으며, 후손 수일의 발문(跋文)도 숭정(崇禎)4 임신(壬申, 1812)년으로 천곡 송상현 사거(死去)한지 200여년이 지난 후의 기록이다. 그러나 종가에 전해오던 것이므로 천곡 송상현이 직접 정리하고 필사(筆寫)한 것으로 추정된다. 송상현의 저술(著述)이 적지 않았음은 선생의 유저(遺著) 『천곡선생집』을 통해서도 알 수 있다. 그러나 선생이 임진왜란 때에 순절한 후로 많은 저술이 일실(逸失)되어 현재 『천곡선생집』 외에는 별로 전해지는 것이 없다.
천곡 송상현 유물은 천곡 송상현이 조선 선조 25년(1592년) 동래부사로 재임 중 왜구와 맞서 목숨을 바친 천곡 송상현 선생의 업적 및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전투의 상황을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들로서 역사자료 및 교육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가치가 크다.
4. 변곤의 동래부순절도(1834년)
{{{#!wiki style="margin: -10px" | <tablebordercolor=#008c95>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울산동헌및내아
1.#26 백양사 아미타삼존후불홍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 bordercolor=#fff,#1c1d1f>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 }}}}}}}}}}}} |
4.1. 개요
1834년 4월에 동래부의 정3품 무반직인 천총(千摠)으로 근무하던 화원 변곤(卞崑)이 그린 순절도이다. 현재 울산박물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0호로 지정되어 있다.4.2. 내용
121.5㎝×89.2㎝. 임진왜란 당시 동래성 전투의 모습을 1834년(순조 34년) 4월에 변곤이 그린 기록화이다. 송상현을 비롯한 동래부민들의 충절을 기리는 데에 중점을 두고 제작하였다.2013년 8월에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 30호로 지정되었다.
4.3. 외부 링크
4.4. 울산광역시 유형문화유산 제30호
1592년(선조 25년) 4월 15일 동래성에서 왜군의 침략을 받아 싸우다 순절한 송상현 이하 군민들의 항전 내용을 그린 기록화로, 1834년 4월 동래부 천총이었던 변곤이 그렸다.
화면구성은 중앙에 동래읍성을 두고 성 내부에는 동래부의 군사들을, 외부에는 왜인들의 모습을 성의 윤곽에 따라 배치하여 중앙 중심의 구도를 취하고 있다. 치열하였던 교전의 전말을 한 화폭에 효율적으로 담기 위해 높은 곳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조감법을 사용하였다.
화면의 근경에는 결전을 시작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고, 읍성의 동문 위쪽 비로봉 근처로는 왜군이 읍성을 넘어 성내부로 침입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객사 앞으로는 패전을 직감한 송상현이 조복을 갈아입고 임금님께 하직인사를 하고 있으며, 좌우로 양산군수 조영규와 겸인 신여로를 그려 넣었다. 성곽 북문 밖으로는 도망가는 경상좌병사 이각과 군사들이 그려져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동래부순절도는 육군박물관에 소장된 변박의 작품과 송상현 종가 소장본이 있다. 두 작품에 비해 변곤의 동래부순절도는 가장 후대의 것이나, 화기가 기록되어 명확한 제작시기와 제작자를 제시해 주는 것은 이 작품뿐이다. 또한 변박 작품과 송상현 종가 소장본과 달리 변곤의 동래부순절도에서는 주요 인물 옆에 인물명과 더불어 증직명이 부기되어 있을 뿐 아니라, 중요 산수명도 명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회화적인 측면에서 당시의 궁중기록화나 회화식 지도의 특징이 나타나며, 초기적인 원근법과 인물 표현의 비례 등을 살펴볼 때 19세기 회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화면구성은 중앙에 동래읍성을 두고 성 내부에는 동래부의 군사들을, 외부에는 왜인들의 모습을 성의 윤곽에 따라 배치하여 중앙 중심의 구도를 취하고 있다. 치열하였던 교전의 전말을 한 화폭에 효율적으로 담기 위해 높은 곳에서 아래로 내려다보는 조감법을 사용하였다.
화면의 근경에는 결전을 시작하는 장면이 그려져 있고, 읍성의 동문 위쪽 비로봉 근처로는 왜군이 읍성을 넘어 성내부로 침입하는 장면이 묘사되어 있다. 객사 앞으로는 패전을 직감한 송상현이 조복을 갈아입고 임금님께 하직인사를 하고 있으며, 좌우로 양산군수 조영규와 겸인 신여로를 그려 넣었다. 성곽 북문 밖으로는 도망가는 경상좌병사 이각과 군사들이 그려져 있다.
현재까지 알려진 동래부순절도는 육군박물관에 소장된 변박의 작품과 송상현 종가 소장본이 있다. 두 작품에 비해 변곤의 동래부순절도는 가장 후대의 것이나, 화기가 기록되어 명확한 제작시기와 제작자를 제시해 주는 것은 이 작품뿐이다. 또한 변박 작품과 송상현 종가 소장본과 달리 변곤의 동래부순절도에서는 주요 인물 옆에 인물명과 더불어 증직명이 부기되어 있을 뿐 아니라, 중요 산수명도 명기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다. 게다가 회화적인 측면에서 당시의 궁중기록화나 회화식 지도의 특징이 나타나며, 초기적인 원근법과 인물 표현의 비례 등을 살펴볼 때 19세기 회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5. 동래부순절도(현대)
현재 동래문화회관 옹벽에 만들어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