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3A2646, #4A2D5B 20%, #4A2D5B 80%, #3A2646)" {{{#!wiki style="margin:-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4A2D5B><tablebgcolor=#4A2D5B> | 천마총 天馬塚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 <colbgcolor=#4A2D5B,#2d2f34><colcolor=#fbe673,#f9d537> 추정 피장자 | <colbgcolor=#fff,#1f2023>소지 마립간 · 지증왕 | |
출토 유물 |
|
1. 개요
천마총 초두(天馬塚 鐎斗). 1973년 경주관광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발굴조사한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자루솥. 현재 국립경주박물관에 소장 중이고, 보물 제622호로 지정되었다.2. 내용
높이 20.5 cm, 몸통 지름 18 cm, 손잡이 길이 13 cm.
천마총에서 발견된 신라시대 자루솥으로, 천마총 금관, 천마총 관모, 천마총 금제 허리띠, 경주 천마총 장니 천마도, 천마총 금제 관식, 천마총 목걸이, 천마총 유리잔, 천마총 환두대도, 기타 귀걸이 등 다양한 금제 장신구류 및 말갖춤류, 무기류, 토기, 유리배, 각종 구슬, 다리미 등과 함께 1973년 출토되었다. 제작년대는 함께 발견된 다른 출토유물들과 같은 5~6세기라고 추정한다.
신라시대 무덤에서는 청동제 용기들이 다수 출토되는데 그 중에서도 주머니형 몸체 뒤로 손잡이와 긴 다리 세 개가 달린 삼족형 자루솥이다. 서봉총 자루솥 등 유물들과 거의 형태가 비슷하다. 주로 술, 음식, 약들을 끓이거나 데우는 데 사용하던 그릇이라고 추정한다.
앞쪽에 붙은 주구가 양 머리 형태인데, 백제, 고구려의 것과는 달리 매우 사실적이다. 황남대총 북분에서도 이와 유사한 양머리 모양 초두가 출토되었지만 뚜껑의 꼭지가 고리 형태인 점이 다르며, 강원도 원주 지방에서 발견된 청자양형수주(靑瓷羊形水注)와도 매우 흡사하다.
지금으로부터 1600여 년 전에 만들어진 자루솥으로 고대 생활사를 연구하는 자료이다. 1978년 12월 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3. 외부 링크
4. 보물 제622호
천마총은 경주 황남동고분 제155호 무덤으로 1973년 발굴하여 금관, 팔찌 등 많은 귀중한 유품들과 함께 천마 그림이 발견되어 천마총이라 부르게 되었다.
천마총 자루솥(天馬塚 鐎斗)은 술, 음식, 약들을 끓이거나 데우는데 사용하던 그릇으로, 대부분 왕릉을 비롯한 큰 무덤에서만 출토된다.
이 청동 초두는 높이 20.5cm, 몸통 지름 18cm, 손잡이 길이 13cm의 크기이다. 전체 형태는 납작한 구형의 몸통에 뚜껑을 덮은 형식으로, 밑에는 3개의 동물 모양 다리가 달렸다.
몸통에는 가로로 한 줄이 돌려 있고 이 위에 휘어진 뿔이 달린 양머리 모양의 액체를 따르는 주구가 달려 있다. 이와 직각되는 위치에 손잡이가 달렸는데, 모가 나 있고 속이 비어 있을 뿐 아니라, 끝에 못 구멍이 있는 점으로 보아 필요에 따라 나무 손잡이를 더 꽂아 사용했던 것 같다. 뚜껑 위에는 꽃봉오리 모양의 꼭지가 있고, 손잡이 위에서 경첩으로 몸통에 연결하여 여닫게 만들었다.
몸통 크기, 다리 높이, 손잡이 길이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양 머리 모양의 주구 형식은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
천마총 자루솥(天馬塚 鐎斗)은 술, 음식, 약들을 끓이거나 데우는데 사용하던 그릇으로, 대부분 왕릉을 비롯한 큰 무덤에서만 출토된다.
이 청동 초두는 높이 20.5cm, 몸통 지름 18cm, 손잡이 길이 13cm의 크기이다. 전체 형태는 납작한 구형의 몸통에 뚜껑을 덮은 형식으로, 밑에는 3개의 동물 모양 다리가 달렸다.
몸통에는 가로로 한 줄이 돌려 있고 이 위에 휘어진 뿔이 달린 양머리 모양의 액체를 따르는 주구가 달려 있다. 이와 직각되는 위치에 손잡이가 달렸는데, 모가 나 있고 속이 비어 있을 뿐 아니라, 끝에 못 구멍이 있는 점으로 보아 필요에 따라 나무 손잡이를 더 꽂아 사용했던 것 같다. 뚜껑 위에는 꽃봉오리 모양의 꼭지가 있고, 손잡이 위에서 경첩으로 몸통에 연결하여 여닫게 만들었다.
몸통 크기, 다리 높이, 손잡이 길이가 조화를 이루고 있으며, 양 머리 모양의 주구 형식은 사실적으로 표현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