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 | ||||||||||||||||||||||||||||
천하제일복지천 | |||||||||||||||||||||||||||||
| | ||||||||||||||||||||||||||||
| 청와대 관저 | ||||||||||||||||||||||||||||
청와대 본관 | 청와대 녹지원 | | | ||||||||||||||||||||||||||
칠궁 | | | | ||||||||||||||||||||||||||
| | |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 | 청와대 춘추관 | ||||||||||||||||||||||||
| | | |||||||||||||||||||||||||||
|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 ||||||||||||||||||||||||||||
| | ||||||||||||||||||||||||||||
┏ | ㅡ | ㅡ | ㅡ | ㅡ | ┛ | ㅡ | ㅡ | ㅡ | 신무문 | ㅡ | ㅡ | ㅡ | 수문 | ㅡ | ㅡ | 계무문 | 광무문 | ㅡ | | ㅡ | | ㄴ | ㅡ | ㅡ | ㅡ | ㅡ | ┓ | ||
ㅣ | 숙문당 | | | 팔우정 | 집옥재 | 협길당 | 건청궁 | 서녹산 | | 동녹산 | ㅣ | ||||||||||||||||||
ㅣ | 태원전 | 영사재 | 대왕대비전 세답방 | ㅣ | |||||||||||||||||||||||||
ㅣ | 순화궁 세답방 | 중궁전 세답방 | | ㅣ | |||||||||||||||||||||||||
ㅣ | 빈궁 세답방 | 공묵재 | 왕대비전 세답방 | | | | | | ㅣ | ||||||||||||||||||||
ㅣ | | | | | | | | | ㅣ | ||||||||||||||||||||
ㅣ | | | | | | ㅣ | |||||||||||||||||||||||
ㅣ | | | 서장고 | 향원정 | | | | ㅣ | |||||||||||||||||||||
ㅣ | | ㅣ | |||||||||||||||||||||||||||
ㅣ | 함화당 집경당 | | | |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 ㅣ | |||||||||||||||||||||||
ㅣ | | | ㅣ | ||||||||||||||||||||||||||
ㅣ | | | | | | ㅣ | |||||||||||||||||||||||
ㅣ | | | | ㅣ | |||||||||||||||||||||||||
ㅣ | | 흥복전 | | | 제수합 | | | ㅣ | |||||||||||||||||||||
ㅣ | | ㅣ | |||||||||||||||||||||||||||
ㅣ | | | | | 아미산 | | 자경전 | | | | | ㅣ | |||||||||||||||||
ㅣ | | | | | ㅣ | ||||||||||||||||||||||||
ㅣ | | | ㅣ | ||||||||||||||||||||||||||
ㅣ | 하향정 | | | ㅣ | |||||||||||||||||||||||||
ㅣ | | ┏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 | ㅣ | 함원전 | 건순각 ┏ | | | | ㅣ | |||||||||||||
ㅣ | ㅣ | 경회루 | ㅣ | ㅣ | 함홍각 ㅏ | 교태전 | 원길헌 ┓ | 복희당(대전 생물방) | ㅣ | ||||||||||||||||||||
ㅣ | ㅣ | ㅣ | ㅣ | 흠경각 | ㅣ | ㅣ | ㅣ | ||||||||||||||||||||||
ㅣ | ㅣ | ㅣ | ㅣ | ㅏ | 양의문 | ㅗ | ┓ | 대전 내소주방 | 난지당(대전 외소주방) | ㅣ | |||||||||||||||||||
ㅣ | ㅣ | ㅣ | ㄴ | ㅜ | 응지당 | 강녕전 | 연길당 | ㅣ | ㅣ | ||||||||||||||||||||
ㅣ | ㅣ | ㅣ | ㅣ | 경성전 | 연생전 | ㅣ | ㅣ |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 | ㅏ | 향오문 | ㅓ | ㅣ | ||||||||||||||||||
영추문 | | | | | ㅣ | 천추전 | 사정전 | 만춘전 | ㅣ | 자선당 | 비현각 | | | 건춘문 | |||||||||||||||
| | | ㅣ | ㅣ | | | | | | 관리사무소 | |||||||||||||||||||
| ㅣ | 수정전 | ㅣ | ㅣ | ㅣ | | |||||||||||||||||||||||
ㅣ | | | | | ㅏ | | ㅓ | ㅏ | 사정문 | ㅓ | | | ㅣ | ||||||||||||||||
ㅣ | | | | | ㅣ | ㅣ | 협의문 융무루ㅓ | 근정전 | 계인문 융문루 ㅏ | | | | ㅣ | ||||||||||||||||
ㅣ | | ㅏ | ㅓ | | ㅣ | ||||||||||||||||||||||||
ㅣ | (홍문관) | | | ㅣ | ㅣ | 계조당 | | ㅣ | |||||||||||||||||||||
ㅣ | | | | ㄴ | | ┛ | ㅏ |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 ㅓ | ㅣ | |||||||||||||||||||
ㅣ | | | | ㅣ 기별청 유화문 ㅣ | ㅣ 덕양문 ㅣ | 봉선문 | | 주차장 | ㅣ | ||||||||||||||||||||
ㅣ | 영제교 | ㅣ | |||||||||||||||||||||||||||
ㅣ | | | | ㅣ | |||||||||||||||||||||||||
ㅣ | | | ㅡ | ㅡ | | ㅏ | 흥례문 | ㅓ | ㅣ | ||||||||||||||||||||
ㅣ | | | | | | | 용성문 | 어도 | 협생문 | ┓ | | | ㅣ | ||||||||||||||||
ㅣ | | 국립고궁박물관 | | | | | ㅣ | 수문장청 매표소 | 수문장청 매표소 | ㄴ | ┓ | | | ㅣ | |||||||||||||||
ㅣ | | | | 초관처소 영군직소 | ㅣ | | | ㅣ | |||||||||||||||||||||
| ㅡ | ㅡ | ㅡ | ㅡ | 수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ㅗ | 광화문 (월대) | ㅡ | ㅡ | ㅗ | 수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동십자각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경복궁 수정전 관련 틀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대한민국의 보물 | |||||||||||||||||||||||||||
1759호 | ← | 1760호 | → | 1761호 | ||||||||||||||||||||||||
경복궁 사정전 | 경복궁 수정전 | 경복궁 향원정 |
}}} ||
대한민국 보물 제1760호 | |
경복궁 수정전 景福宮 修政殿 | |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
수량 | 1동 |
지정연도 | 2012년 3월 2일 |
제작시기 | 조선 시대, 1867년 창건 |
<colbgcolor=#bf1400> 수정전[1] |
[clearfix]
1. 개요
景福宮 修政殿경복궁의 편전 중 하나이다.
경회루의 바로 남쪽, 근정전의 서쪽에 있으며 남향이다. 궁 내 관청인 궐내각사와 임금이 머무는 내전 사이에 있어 왕과 신하들이 만나기 편한 곳이었다.
2. 이름
'수정(修政)' 뜻은 '정사(政)를 잘 수행(修)한다'이다. 현판 글씨는 건립 당시 도승지였던 조석원(曺錫元, 1817~ ?)이 썼다.3. 역사
조선 초기에는 없었고 수정전 언저리에 그 유명한 집현전이 있었다.[2] 수정전 자체는 1867년(고종 4년) 경복궁을 중건할 때 처음 지었으며 사정전과 함께 편전의 용도로 사용되었다.## 때로는 이 곳에서 행사를 거행하고 어진을 잠시 모셔두기도 했다.# 이 때에는 주변에 200칸 가까운 행각들이 있었고 북행각과 수정전 본채가 복도로 연결되었으며 궐내각사에 해당하는 수많은 전각들이 경복궁의 서쪽 대문인 영추문까지 즐비해 있는 등 지금과는 많이 다른 모습이었다.<colbgcolor=#bf1400> 건물 양 측면에 복도가 있는 수정전 |
<colbgcolor=#bf1400> 일제강점기 수정전 | <colbgcolor=#bf1400> 전시실로 변한 수정전 내부. 중앙아시아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
2000년에 보수 공사와 함께 내부를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경복궁 1차 복원 공사 5단계(1997 ~ 2001)에 문화재청에서 수정전의 행각을 복원할 예정이었지만 계획대로 하지 못했다. 이후 2차 복원 때 포함시켰지만 2차 계획을 축소하면서 다시 무산시켰다. 계속해서 복원을 무산시킨 이유는 상술했듯이 〈북궐도형〉 작성 시 이미 건물이 철거되어 건물의 전체적인 구조만 알 수 있을 뿐, 상세한 구조는 모르기 때문이다.
4. 정문
자세한 내용은 경복궁 숭양문 문서 참고하십시오.5. 구조
- 정면 10칸, 측면 4칸의 1층[5]이다. 장대석을 높게 쌓은 6단의 기단 위에 주춧돌을 놓고 네모난 기둥을 세운 뒤, 겹처마 양식으로 지었다. 공포는 쇠서[6] 2개를 둔 이익공이고 기둥 사이마다 화반을 놓은 뒤 그 위에 운공을 설치하였다. 지붕은 팔작지붕으로 용마루와 내림마루, 추녀마루는 양성바름을 하고 취두와 용두, 6개의 잡상을 설치하여 장식하였으며, 단청은 모로단청[7]으로 칠하여 깔끔하면서도 화려한 모습을 뽐내게 하였다.
- 건물 남쪽 전면에 큰 월대를 두었다. 월대는 4단이고 월대 윗 부분은 박석으로 마감했다. 계단은 월대 정면에 3개, 측면에 2개, 총 5개가 놓여있고 그 중 임금이 다니는 정면의 가운데 계단은 소맷돌을 두어 다른 계단과 차별화시켰다. 가운데 계단과 그 왼편에 있는 계단 사이엔 무늬가 새겨진 댓돌이 있다.
- 기단 양 측면에 나무로 된 문이 보이는데 온돌에 불을 지피는 아궁이다. 불을 때면서 나오는 연기를 배출할 굴뚝을 수정전 건물 바로 뒤에 두 개를 놓았는데, 별다른 무늬없이 그냥 벽돌을 길이쌓기하고 그 위에 한옥처럼 기와 지붕을 올린 뒤 흙으로 구워 만든 배출구를 올렸다.[9]
<colbgcolor=#bf1400> 수정전 내부[10] |
<colbgcolor=#bf1400> 수정전 내부 장지문[12] |
6. 여담
7. 매체에서
궁궐 촬영이 비교적 쉬웠던 2000년대 이전 조선을 배경으로 한 사극에서 배경으로 꽤 나왔다.<colbgcolor=#bf1400> 〈무한도전〉 - 궁 밀리어네어 특집에 나온 수정전 관련 영상 |
[1]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2] 확실하게 현재 수정전 자리라고 단정할 수 없어 그 언저리라고 표현하였다.[3] 1907년에 작성된 〈북궐도형〉에서는, 작성 당시에 이미 헐린 건물도 모두 다 이제는 없다는 뜻인 '금무(今無)'라 표기하여 작성했다. 수정전 권역의 경우, 숭양문 행각 외에 다른 행각은 모두 '금무'로 쓰였다.[4] 오늘날 국립민속박물관의 전신.[5] 보통 한옥의 경우 단층(單層)이라 표현한다.[6] 소 혀 모양의 부재.[7] 끄트머리만 칠하는 단청.[8] 高柱, 이름 그대로 굉장히 높은 기둥을 말한다.[9] 이 배출구는 꼭 집처럼 생겼다하여 연가(煙家)라고 부른다.[10]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11] 서까래가 안보이게 천장을 가리고 평평하게 만드는 구조물.[12]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립문화유산포털.[13] 이전에는 광화문광장 세종대왕 동상 앞에서 경축식을 열었으나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확산을 막고 일부 보수단체들의 반정권 시위를 차단하기 위해 광화문광장을 폐쇄하면서 경복궁에서 소규모로 기념식을 진행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