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20 19:02:07

현판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현판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한국의 웹소설 장르인 현대 판타지에 대한 내용은 현대 판타지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인정전 용마루.png
창덕궁 인정전의 현판 (仁政殿)
懸板 | Signboard, Stele

1. 개요2. 현판의 바탕색과 글자색의 분류

[clearfix]

1. 개요

현판^02^(懸板) [현ː-] 「명사」
글자그림을 새겨 위나 에 다는 널조각. 흔히 절이나 누각, 사당, 정자 따위의 들어가는 문 위, 처마 아래에 걸어 놓는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발췌

주로 건물의 정면 또는 정문에 거는 목제 판자를 이른다. 동양에서는 예로부터 붓에 먹을 묻혀 직사각형의 나무판에 붓으로 쓰는 것이 일반적이었으며, 내용으로는 해당 건물의 이름을 적었다. 다른 말로 편액(扁額)이 있다.

현판에 글자를 쓰는 방법은 크게 두 갈래로 나눌 수 있는데, 세로쓰기를 종서()라 하고 가로쓰기를 횡서()라고 한다. 그 중 가장 보편적인 경우는 가로쓰기인 횡서이다.[1][2] 횡서 중에서도 글자를 읽는 순서가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읽히도록 쓰는 것을 우횡서()라고 하는데 권위 있는 전각의 현판에서는 이 방향을 칼같이 지킨다. 반대말은 당연히 왼쪽부터 읽는 좌횡서이고, 현대 국어가 이 방식을 따른다. 이를테면 근정전은 현대 일상에서 쓰는 방향인 → 방향이 아니라 '전정근'처럼 ← 방향이다. 따라서 읽을 때 오른쪽부터 읽어서 ‘근정전’으로 인식해야 옳다.

당대 주요 인물이나 명필이 쓴 현판은 그 자체로 귀한 가치를 지녔으며, 특히 한 나라의 임금이 내린 현판은 '어필현판(御筆懸板)'이라 하여 보물과도 같았다. 해당 현판을 내리는 행위를 사액이라 한다.[3]

현판의 글자색은 금색, 파란색, 붉은색 등 꽤 다양하다. 특히 주요 궁궐에 사용되는 금색의 경우 글씨 모양대로 만든 동판에 금박을 입혀 만드는 것이 전통적인 방법인데 대표적으로 광화문이 있다. 바탕색의 경우 흰색과 검은색이 대표적인데, 궁궐의 주요 전각에는 검은색이 많이 쓰였다.

2. 현판의 바탕색과 글자색의 분류

1순위 - 검정 바탕색에 금색 글자
ex. 광화문, 근정전

2순위 - 검정 바탕색에 흰 글자
ex. 숭례문, 혜화문

3순위 - 흰색 바탕색에 검정 글자
ex. 청연루, 흥인지문

그 외

흰 바탕에 파란 글자 - 건청궁

검정 바탕에 녹색 글자 - 건춘문

그 외 기타 등등


[1] 물론 종서가 아예 없는 건 아니다. 숭례문이 바로 종서로 쓰인 현판이다.[2] 흥인지문의 경우 네 글자인데, 이 현판 역시 숭례문과 같이 종서로 쓰였다. 다만 읽는 방식은 위에서부터 읽되, 한 줄을 다 읽고 줄을 바꾸어 이어 읽을 때 오른쪽에서부터 왼쪽으로 넘어가야 한다. 이를 우종서()라고 한다.[3] 백운동서원이 그 예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