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 ||
<colbgcolor=#bf1400> 경복궁 함원전 景福宮 含元殿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 |
건축시기 | 창건연대 미상 1867년 (중건) 1875년 (중건) 1888년 (중건) 1995년 (복원) |
<colbgcolor=#bf1400> 함원전 |
[clearfix]
1. 개요
경복궁의 건물이다. 이름은 ‘원기(元)를 간직(含)한다’는 뜻이다.현판 글씨는 1888년(고종 25년)에 예조참판, 대사헌 등을 지낸 문신 이명재(李命宰, 1838 ~ 1895)가 썼다. 1995년 함원전을 다시 지을 당시 예전에 쓰던 현판을 복원하여 걸었다.
2. 역사
창건 연대는 정확히 모르나 세종이 궁궐 내 불당(佛堂)을 설치해 불교 행사를 행했던 곳으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 보아 세종 연간에 처음 지은 것으로 보인다.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 때 불탄 뒤 270여 년간 방치 상태로 놓았다가 1867년(고종 4년)에 다시 세웠다. 그러나 1873년(고종 10년)에 불타 다시 지었으나 1876년(고종 13년)에 또다시 불타고 1888년(고종 25년)에 재건하였다.
일제강점기 이후 1915년 조선물산공진회 때엔 귀빈관으로 쓰이다가 1917년 불타 없어진 창덕궁 내전을 재건할 때 조선총독부가 경복궁 내전 건물을 자재로 쓰면서 해체, 이전되었다. 이후 80년 가까이 빈 터로 남아있다가 문화재관리국에서 경복궁 종합 정비 계획 사업의 일환으로 1995년에 복원하여 오늘에 이른다.
3. 구조
<colbgcolor=#bf1400> 함원전 내부 구성도 |
- 남쪽 가장자리 칸 전체를 툇마루로 놓고 중앙의 4칸을 대청으로 둔 뒤 대청을 중심으로 동, 서 양쪽 4칸을 온돌방으로 꾸몄다. 북쪽 가장자리 칸의 경우, 온돌방 쪽은 쪽방으로, 대청 쪽은 툇마루로 두었다.#
4. 여담
[1] 공포가 구성되는 목조 건축물의 기둥머리에서 기둥과 기둥을 연결해주는 건축 부재.[2] 공포대의 주간을 구성하는 건축 부재로 주로 주심포식 공포와 익공식 짜임에서 사용한다.[3] 이익공 건물에서 화반 윗 부분에 얹혀 장여와 도리를 가로 받친 건축 부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