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 ||
<colbgcolor=#bf1400> 경복궁 신무문 景福宮 神武門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 |
건축시기 | 1433년 (창건) / 1867년 (중건) |
<colbgcolor=#bf1400> 신무문[1] |
[clearfix]
1. 개요
경복궁의 북문(北門)이다. 단, 정북(正北)이 아닌 서북쪽으로 치우쳐있다.2. 이름과 현판
‘신무’는 ‘신령스러운(神) 현무(武)’라는 뜻이다. 4신 중 현무가 북쪽을 나타내는 동물이므로, 경복궁의 북쪽 문에 ‘무(武)’ 자를 넣은 것이다. #현판 글씨는 고종 때 관료인 이현직(李顯稷. 1797 ~ ?)이 썼다.#
3. 역사
1395년(태조 4년)에 경복궁을 창건할 때는 없었다. 경복궁을 처음 지을 때 동, 서, 남쪽에만 궁문을 설치했고, 북쪽 궁성은 목책으로 만들어두었다. 그러다 1433년(세종 15년)에 비로소 북문을 만들자고 7월 21일자 실록에 나온다. 그러나 곧 언관들이 강녕전과 경회루 등 세종이 고칠 곳을 너무 많이 한꺼번에 요구하는 데다가 흉년이 들어서 풍년이 들 때까지 공사를 보류하자는 상소를 올리자 경회루와 강녕전만큼은 반드시 고쳐야한다고 명령을 내린다(세종실록 15년 7월 27일 기사)그리고 언제 공사가 시작되어 언제 마쳤는 지에 대해서는 실록에 기록이 없고, 세종실록 148권 지리지 경도부에 "궁성 동문 건춘, 서문 영추, 남문을 광화라고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는 걸 보면, 세종실록편찬이 완료되는 문종시기에도 신무문은 착공을 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성종 6년(1475년) 8월 23일에 가서야 "북성문은 신무문으로 정하였다"라는 기록이 나온다#
아마도 그 이전에 신무문은 완공되었으나 이름을 부여받지 못하다가 성종 6년이 되어서야 이름이 정해진 것으로 보인다.
즉 세종 이후로 문종,단종,세조,성종의 4대 임금을 거쳐야 문의 이름을 정함으로서 비로서 완공되었다고 볼 수가 있는 것이다.
기묘사화 당시 남곤과 심정 등 사화의 주역들이 들어온 장소이다. 자세한 내용은 문서 참고.
1592년(선조 25년) 임진왜란으로 불탄 뒤 270여 년간 방치되었다. 1865년(고종 2년)에 중건되었다. 일제강점기에 성벽의 일부가 무너졌으나 곧 복구되었고 이후 큰 변화 없이 오늘에 이른다.
<colbgcolor=#bf1400> 무너진 신무문 성벽 |
4. 용도
평소에는 닫혀있었다. 사람의 출입이 거의 없는 북쪽에 있는데다 풍수지리적으로 북쪽이 음(陰)을 의미하기 때문이었다. 풍수지리적인 이유로 닫혀있었던 것은 한양도성의 북대문이었던 숙정문도 마찬가지였지만, 풍수와 별개로 현실적으로는 드나드는 출입구가 필요했기 때문에 정부에서는 한양도성에 북소문을 여러 개 설치했다. 반면 '한양'이라는 지역과 달리 단순 궁이었던 경복궁은 북쪽에서 오는 통행량을 고려할 필요가 없었다. 그래서 신무문을 제외한 소문을 따로 두지는 않았고 그냥 서문이나 동문을 이용했다. 애초에 신무문 바깥은 인가가 없는 곳이라 들어올 일이 별로 없었다.다만, 비상시나 나라에 변고가 생겼을 때, 또는 왕이 비밀리에 궁 밖을 나갈 경우에는 사용했다. 기묘사화 당시 중종이 조광조 일파였던 승지들도 모르게 친위 병력을 들어오게 한 곳이 바로 신무문이다.
조선 중 · 후기에는 문 밖에 신하들의 공훈을 기록한 회맹단(會盟壇)이 있어 임금이 신하들과 회맹제[2]에 참석할 때 이용했다.### 여기서, 조선 후기에는 임진왜란 때 불탄 경복궁이 재건되지 않았는데, 어떻게 신무문을 이용했나하는 의문이 들 수 있다. 아마 문루는 없지만 남아있던 석축을 통로로 활용한 듯 하다.
영조가 어머니 숙빈 최씨의 사당인 육상궁에 참배할 때에도 신무문을 사용했다.##
1860년대에 경복궁이 중건된 이후 신무문 밖은 경복궁의 후원이 되었다. 신무문은 후원을 오가는 문으로 기능했다.
5. 구조
- 통여장의 바로 밑 부분 석축에 석누조 2개가 달려 있다. 이는 비가 올 때 빗물이 빨리 빠져나가게 하기 위해 설치한 것이다.
- 문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의 총 6칸이다. 지붕은 우진각 지붕이다. 용마루와 내림마루는 전부 양성바름을 했고 그 위에 취두와 용두, 잡상을 올렸으며, 추녀 끝에는 토수를 끼웠다. 처마는 겹처마이고 공포는 이익공이다. 공포 사이마다 화반을 놓았으며 단청은 모루단청으로 칠했다.
- 문루의 내부는 전부 한 공간으로 트여있다. 가운데칸 천장은 구조가 다 드러나 보이는 연등천장이다. 가장자리 쪽 들보 위는 우물반자로 마감하였다. 문루의 바닥은 전부 전돌을 깔았으나 가운데 칸만 마루를 깔았다.
- 경복궁 영건일기에 따르면, 신무문에 월대를 쌓았다는 기록이 나온다. 그러면서 월대를 쌓은 이유가 좌우의 지반 높이가 심하게 달라서 쌓았다고 기록이 되어 있다. 지금도 신무문에 가면 좌우 계단 밑에 난간석을 두른 월대(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유리건판에서는 '석란과 석대'로 표기되어 있음)가 있으며, 일제 강점기 때의 유리건판 사진을 보면 지금의 청와대 방향은 바깥쪽으로 박석을 박았을 기단석이 사각형으로 문주위에 둘러쌓여 있는 것이 보인다. 이 역시 경복궁 영건일기에 신무문에서 후원으로 가는 길에 박석을 깔았다고 기록되어 있는 것과 일치한다.
6. 부속 건물
6.1. 신무문 수문장청(神武門 守門將廳)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신무문 수문장청 내부 구성도 |
신무문 안쪽의 수문장들이 근무하던 곳이다.
일제강점기에 헐려서 현재는 없고 경복궁 2차 복원 공사 4단계(2035년~2041년)에 복원될 예정이다.
6.2. 신무문 군사방(神武門 軍士房)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신무문 군사방 내부 구성도 |
신무문을 여닫는 군사들이 있던 곳이다.
일제강점기에 헐려서 현재는 없고 경복궁 2차 복원 공사 4단계(2035년~2041년)에 복원될 예정이다.
7. 여담
- 1519년(중종 14년) 11월에 일어난 기묘사화가 시작된 곳으로 알려져있다. 중종은 한 밤중에 승지들도 모르게 홍경주, 김전, 남곤, 심정 등 훈구 대신들을 불러 신무문을 통해 들어온 걸로 알려져있다. 그렇게 들어온 훈구 대신들은 비밀 회의를 열어 조광조를 비롯한 사림파들을 숙청하기로 했다. 그래서 기묘사화를 ‘신무의 난’, ‘북문지화(北門之禍)’라고도 한다. 그런데 실제 조선왕조기록을 보면 중종이 직접 "홍경주들이 신무문에 있었는데 내가 영추문을 통해 불렀다"고 말하고 있다.(중종 14년 11월 17일 기사)
- 1896년(건양 원년) 2월에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갈 때 신무문을 통해 경복궁을 빠져나갔다.[4]
- 1954년에 경복궁이 일반에 개방될 때 신무문도 같이 개방되었다.# 그러나 1961년 5.16 군사정변 이후 군부대가 신무문 안쪽에 주둔하면서 폐쇄되었다. 1990년대에 군부대는 이전했지만 이후로도 근처에 청와대가 있어 보안 상의 이유로 닫혀있다가 2007년 9월 29일 건청궁 복원 공사 완료에 맞추어 45년 만에 일반에 개방되었다. 이후로는 관광객들이 청와대 인증샷을 찍을 때 오가는 문으로 기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