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2-28 05:29:35

경복궁 내의원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3
현무문
천하제일복지천
오운각 옥련정
벽화실 청와대 관저
청와대 본관 청와대 녹지원 춘안당 융문당
칠궁 양정재 수궁(구 관저터) 융무당 태화궁
지희실 경농재(관풍루) 대유헌 경무대
청와대 위민관,헬기장
수궁 청와대 춘추관
마장 관가문 희맹공신단
금화문 팔도배미
청와대 영빈관,경호실
추성문 금위군직소 춘화문 춘생문
신무문 수문 계무문 광무문 춘도문 수문
숙문당 수문장청 군사방 팔우정 집옥재 협길당 각감청 관문각
건청궁
서녹산 어구 동녹산
태원전 영사재 대왕대비전 세답방
순화궁 세답방 중궁전 세답방 종각
빈궁 세답방 공묵재 왕대비전 세답방 가회정 보현당 남여고 육우정 녹직처소 내재실
동장고 통화당 순화궁 외소주방 숙경재 서진설청 선원전 동진설청 경안당
순화궁 내소주방 진전 소주방 진전 생물방 화락당 나인처소
회안전 문경전 서장고 향원정만화당 벽혜당(왕대비전 생물방) 대향당 나인처소
정훈당
함화당 집경당 전기등소 만경전 건기당(왕대비전 내소주방) 요광당(왕대비전 외소주방) 어린이박물관
국립민속박물관
나인처소
숙설소 영훈당
원역처소 빈궁 생물방 상궁처소 다경합 건복합
제관방 회광당(빈궁 내소주방) 광원당(빈궁 외소주방)
수인문 흥복전 중궁전 수방 대왕대비전 수방 제수합 영보당 벽월당(상궁처소)
중궁전 침방 대왕대비전 침방
국별장직소 원역처소(접견소) 장방 원역처소 아미산 자미당 자경전 집희당(대왕대비전 내소주방) 춘소당(대왕대비전 침방) 취운당(대왕대비전 수방) 나인처소
침채고 예춘당(대왕대비전 생물방) 벽로당(상궁처소) 웅향당(상궁처소)
국출신직소 함정당(대왕대비전 외소주방) 계응당(상궁처소)
하향정 임향당 나인처소
무겸직소 함원전 건순각
인지당 나인처소 보월당(상궁처소) 자운당(상궁처소) 나인처소
경회루 함홍각
교태전원길헌
복희당(대전 생물방)
북소위장직소 흠경각
양의문대전 내소주방난지당(대전 외소주방)대소대금방(나인처소)
응지당 강녕전연길당
파수각 경성전 연생전
수문 향오문
영추문 수문장청 내각(규장각) 검서청(규장각) 대전장방 천추전 사정전 만춘전 자선당비현각 장방 수문장청 건춘문
습회당 협오당 장원당 중궁전 수랏간 왕대비전 수랏간 등촉방 등촉방 장방 관리사무소
군사방 수정전 별감방 군사방
초관직소 장무관직소 입심억석(내의원) 주원(사옹원) 수정문 사정문 오상방 원역처소
훈국군번직소 침의청(내의원) 약방(내의원) 내반원(내시부) 협의문
융무루ㅓ
근정전계인문
융문루
통장청 문기수청 춘방
서소위장직소 의약청(내의원) 영화문 계방
옥당(홍문관) 검서청(규장각) 대전 수랏간 계조당 훈국군번처소 초관처소
누국 당후(승정원) 정원(승정원) 숭양문 월화문 근정문 일화문
일영대 선전관청 빈청
기별청
유화문
수각

덕양문
수각
봉선문 별군직청 주차장
영제교
춘방 책고 대청 상의원 면복각
신당 덕응방 북마랑 흥례문
전사청 연고 내사복시 거달처소 중마랑 동마랑 용성문 어도 협생문 계방 오위도총부
우마랑 국립고궁박물관 좌마랑 창고 연지 수문장청
매표소
군사방
수문장청
매표소
남소부장청 동소부장청
견마배청 남마랑 군사방 초관처소 영군직소
측사
측사 충장장청
서십자각 수문 광화문
(월대)
수문 동십자각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17호 경복궁
<colbgcolor=#bf1400> 경복궁 내의원
景福宮 內醫院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사직로 161 (세종로)
건축시기 창건시기 미상
1867년 (중건)
1915년 이전 (철훼 추정)

1. 개요2. 역사3. 구조4. 부속 건물
4.1. -의관방(醫官房)-4.2. -의약청(醫藥廳)-4.3. -침의청(針醫廳)-4.4. -입심억석(入審憶昔)-4.5. -장무관직소(掌務官直所)-

[clearfix]

1. 개요

경복궁에 있는 내의원 청사이다. 사옹원 서쪽에 있다. 《북궐도형》에는 또 다른 이름인 약방(藥房)으로 적어두었다. 내의원은 궁중 의료기관, 쉽게 말해 왕실 병원이다. 자세한 내용은 내의원 문서 참조.

2. 역사

궁 안에 꼭 필요한 기관이니만큼, 경복궁 창건 당시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처음부터 현재 자리에 있었는지는 확실히 모른다. 태종 대에는 내약방(內藥房)이었으며, 전의감에 속해 있었다가 1443년(세종 25년)에 세종이 이름을 내의원으로 바꾸고 독립시켰다. 1592년(선조 25년)에 임진왜란으로 불탄 후, 고종 때 재건했으나 일제강점기에 헐렸고 이후 경복궁 2차 복원 공사 2단계(2023년~2034년)에서 제외되지 않았지만 부분적으로 복원될 예정이다.

3. 구조

파일:경복궁 내의원 배치도.png
<colbgcolor=#bf1400> 《북궐도형》의 내의원 및 행각 내부 구성도

4. 부속 건물

4.1. -의관방(醫官房)-

景福宮 醫官房

내의원의 본청이다.

4.2. -의약청(醫藥廳)-

景福宮 醫藥廳

왕과 왕비의 병환이 위중할때 설치되어 치료를 전담하던 곳이다.

4.3. -침의청(針醫廳)-

景福宮 針醫廳

침술로 병을 다스리던 곳이다.

4.4. -입심억석(入審憶昔)-

景福宮 入審憶昔

창덕궁억석루처럼 중국 신화에 나오는 농사의약신농(神農)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던 곳이다.

'억석(憶昔)'의 뜻은 '옛날(昔)을 생각한다(億)'이다. 《한경지략》에 따르면, 영조가 내의원에다 신농(神農)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라고 하면서 '입심억석(入審憶昔)'이란 글자를 써서 하사했다고 한다. 신농은 중국 신화에 나오는 삼황오제 중 한 명으로, 다양한 풀들을 일일이 먹어가면서 의 효능을 알아내고 이를 바탕으로 질병을 치료했다는 전설이 있다. 그래서 의약의 창시자로 추앙받았다.[1] 즉, 신농을 생각하여 정성껏 약을 만들라는 의미이다.
파일:경복궁 조화어약,보호성궁.png
<colbgcolor=#bf1400> 경복궁 입심억석에 걸려있던 '조화어약', '보호성궁' 현판
중앙부의 대청에는 내의원으로 사용하던 창덕궁 성정각 동남쪽에 있던 건물처럼 현판 2개가 걸려있었다. 이 현판들은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중이다. 각각 '조화어약(調和御藥)'과 '보호성궁(保護聖躬)'인데 '조화어약'은 '임금(御)께서 드시는 약(藥)을 만든다(調和)', '보호성궁'은 '성궁(聖躬, 임금의 몸)을 보호(保護)한다' 는 뜻이다.

잘보면 '어(御)'과 '성궁(聖躬)'이 다른 글자보다 약간 높이 있다. 을 상징하는 글자이기 때문이다.
원래의 경복궁 2차 복원 계획에선 복원될 예정이었으나 복원계획 축소로 제외되었다.

4.5. -장무관직소(掌務官直所)-

景福宮 掌務官直所

각 관아의 장관 밑에서 실질적으로 사무를 관장하던 장무관들이 근무하던 곳으로 내의원의 사무를 관장하던 곳으로 보인다.
뒤쪽의 방 2칸은 규장각의 남외행각 동편과 연결되어 있었다.
원래의 경복궁 2차 복원 계획에선 복원될 예정이었으나 복원계획 축소로 제외되었다.


[1] 의약 뿐 아니라 농업의 창시자로도 잘 알려져있다. 애초에 이름이 '농사(農)의 신(神)'이란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