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315288><tablebgcolor=#315288> | }}} | ||||||||||||||||||||||||||||||||||||||||||||||||||||||||||||||||||||||||||||||||||||||||||||
{{{#!wiki style="margin:0 -10px"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1. 서울 흥인지문
1.#26 김제 금산사 금강계단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1 문경 내화리 삼층석탑
1.#76 춘천 근화동 당간지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1 당진 안국사지 석탑
1.#126 경주무장사지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1 구례 연곡사 삼층석탑
1.#176 순천 송광사 금동요령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1 경주 남산 탑곡 마애불상군
1.#226 여주 신륵사 다층전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5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51 칠곡 선봉사 대각국사비
269-3.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3 269-4. 감지은니 묘법연화경 권7(2007)}}}
1.#276 군산 발산리 오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0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01 해남 대흥사 북미륵암 삼층석탑
1.#326 이순신 유물 일괄 326-2. 옥로 1.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1. 금동약사여래입상 1. 부여 군수리 석조여래좌상 1. 부여 군수리 금동보살입상 1. 금동미륵보살반가사유상(1963) 1.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1. 금동보살입상(1963-2) 1. 통도사 청동 은입사 향완(1963) 1. 석조비로자나불좌상 1. 정지장군 갑옷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35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351 (전)양평 보리사지 대경대사탑
1.#376 함양 교산리 석조여래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0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01 금동여래입상(1964)
1.#426 예천 동본리 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45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451 안동 태사묘 삼공신 유물 일괄
1.#476
[31] 경상남도 문화유산자료 제46호로 재지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0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01 장계 홍패 및 장말손 백패·홍패
523-3. 석보상절 권11}}}
1.#526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 {{{-2 526-1.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해동명적 526-2. 여주이씨 옥산문중 유묵-원조오잠, 사산오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55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551 시용향악보
1.#576 봉업사명 청동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0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01 대구 도학동 승탑 1.#626 황남대총 북분 금제 고배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65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651 연안 이씨 종중 문적
1.#676 영천 화남리 석조여래좌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0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01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경
1.#726 장관 개국원종공신녹권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75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751 감지은니 대방광불화엄경 정원본 권34
1.#776 환두대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01~8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01 공주 마곡사 대웅보전 1.#826 김제 귀신사 대적광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851~9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851 창경궁 관천대
875-1.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7~10 1.#876 재령이씨 영해파 종가 고문서
[50] 보물 제875-1호로 지정번호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901~9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901 권벌 종가 고문서
1.#926 수월관음보살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951~10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951 선조국문유서
1.#976 상지은니 묘법연화경 권5~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01~10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01 양산이씨 종가 고문서
1.#1026 청자 양각도철문 방형 향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051~1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051 분류두공분시(언해) 1051-1. 분류두공부시(언해) 권13 1. 천태사교의 1. 진언권공(언해) 1. 백자 병 1. 백자 태항아리 1. 백자 청화철화삼산뇌문 산뢰 1. 백자 청화 ‘망우대’명 초충문 접시 1. 백자 청화칠보난초문 병 1. 백자 청화초화문 필통 1. 백자 철화끈무늬 병 1. 백자 철채 뿔잔 1. 분청사기 철화당초문 장군 1. 백자 청화매월십장생문 팔각접시 1. 백자 청화운룡문 항아리 1. 백자 태항아리 및 태지석(1991) 1. 백자 청화화조문 팔각통형 병 1. 분청사기 상감연화당초문 병 1. 분청사기 상감모란당초문 유개항아리 1. 분청사기 음각수조문 편병 1. 분청사기 박지모란문 장군 1. 청자 유개항아리 1. 초조본불설우바새오계상경 1. 초조본 아비담팔건도론 권24 1. 초조본 아비달마식신족론 권13 1. 초조본 아비담비파사론 권16 1.#1076 김천리 개국원종공신녹권
1. 벽역신방 1. 신찬벽온방 1087-1. 신찬벽온방(1991-1) 1. 언해태산집요 1088-1. 언해태산집요(1991-1) 1. 동인지문오칠 권7~9 1. 권근 응제시주 1090-1. 권근 응제시주(1991) 1. 제왕운기 1091-1. 제왕운기(1991) 1. 불설장수멸죄호제동자다라니경 1. 불과환오선사벽암록 1. 인천안목(1991) 1. 화성 봉림사 목조아미타불좌상복장전적일괄 1. 오희문 쇄미록 1. 염제신 초상 1. 감지은니 미륵삼부경 1. 감지금니 미륵하생경 1. 상지은니 불설보우경 권2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01~11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101 상지은니 대반야바라밀다경 권305
1.#1126 대방광불화엄경보현행원품별행소
[60] 보물 제569-22호 및 제569-23호으로 지정변경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151~12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151 청동 옻칠 발걸이
1.#1176 유수 초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201~12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201 울진 불영사 대웅보전
1.#1226 조흡 고신왕지(199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251~13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251
1.#1276 인제 한계사지 북 삼층석탑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01~13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301 합천 해인사 홍제암 사명대사탑 및 석장비
1306-1. 묘법연화경(2001) 1. 고흥 능가사 대웅전 1. 홍진 호성공신교서 1. 영암 엄길리 암각 매향명 1. 나주 불회사 대웅전 1. 순천 선암사 대웅전 1. 강진 무위사 아미타여래삼존좌상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1.#1326 함창상원사사불회탱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351~14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351 통도사 괘불탱
1.#1376 순천 송광사 티베트문 법지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01~14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401 충주 봉황리 마애불상군
1.#1426 수월관음도(200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451~15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451 청자 상감운학국화문 병형 주전자
1.#1476 김시민 선무공신 교서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01~15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01 이덕성 초상 및 관련자료 일괄
1.#1526 부산 범어사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2 1543-1.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9~10 1543-2. 상교정본자비도량참법 권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551~16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551 진천 영수사 영산회괘불탱
1.#1576 김천 직지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601~16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601 천하여지도
1.#1626 김현성 필적
1. 숙종어필 칠언시 1. 영조어필 1631-1. 영조어필-숙빈최씨사우제문원고 1. 정조어필 1632-1. 정조어필-신제학정민시출안호남 1. 구미 대둔사 건칠아미타여래좌상 1. 문경 대승사 금동아미타여래좌상 및 복장유물 1. 상주 남장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 영주 부석사 석조석가여래좌상 1.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1. 구미 수다사 영산회상도 1. 대구 동화사 보조국사지눌진영 1. 문경 김룡사 영산회괘불도 1. 상주 남장사 감로왕도 1. 안동 봉정사 영산회괘불도 1. 안동 봉정사 아미타설법도 1. 예천 용문사 천불도 1. 안동 광흥사 동종 1. 초조본 불설가섭부불반열반경 1. 길흉축월횡간 고려목판 1. 예천 명봉사 경청선원자적선사능운탑비 1.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및 발원문 1. 서울 개운사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복장 전적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651~17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651 공주 갑사 석가여래삼세불도 및 복장유물
1.#1676 윤순 필적 고시서축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701~17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701 하동 쌍계사 동종
1.#1726 화순 쌍봉사 목조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일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751~18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751 서천 봉서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1.#1776 영가진각대사증도가(2012)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801~18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801 대구 보성선원 목조석가여래삼존좌상 및 복장유물
1.#1826 양산 통도사 영산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851~19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851 논산 쌍계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
1.#1876 완산부지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901~19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901 조선왕조의궤 1901-1. 조선왕조의궤(2016-1) 1. 제주향교 대성전 1. 고려 수월관음보살도 1. 김천 갈항사지 동·서 삼층석탑출토 사리장엄구 1. 서울 청진동 출토 백자항아리 1.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text-align:center; padding: 5px 10px; margin: -5px -10px; width:min(100%, 410px); background: #ddd" dark-style="background: #383b40" 1.#1926 협주명현십초시
[84] 가치상실이나 승격 등으로 인한 지정해제와는 달리 대명률은 지정 사실 자체가 취소되었다.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1951~20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1951 정선 필 풍악내산총람도 1.#1976 서산 명종대왕 태실 및 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01~205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01 경주 황오동 금귀걸이
1.#2026 김천 직지사 괘불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051~2100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051 안동 체화정
1.#2076 공주 갑사 소조석가여래삼불좌상ㆍ사보살입상 및 복장유물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2100~2142호]⠀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1.#2101 순천향교 대성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폐지 이후(번호없음-1)]⠀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1년 11월 19일부로 번호 지정제 폐지 2021.11.19 - 2022.11.25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2]⠀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2.11.25 - 2023.12.26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3]⠀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2023.12.26 - 2025.09.04
* 고창 문수사 대웅전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 14%" {{{#!folding ⠀[번호없음-4]⠀ {{{#!wiki style="margin:-10px 0" | <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 | }}}}}}}}}}}} |
| |
<colbgcolor=#315288><colcolor=#fff> 구례 화엄사 벽암대사비 求禮 華嚴寺 碧巖大師碑 | |
소재지 | 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로 539(마산면) |
분류 | 기록유산 / 서각류 / 금석각류 / 비 |
수량/면적 | 1기 |
시대 | 조선 시대(조선 현종 4) |
지정일 | 2025.09.04 |
소유 | 대한불교조계종 화엄사 |
관리 | 대한불교조계종 화엄사 |
|
1. 개요
전라남도 구례군 화엄사에 위치한 비석. 벽암 각성을 기리며 1663년 세워진 비석으로, 비지정 유산이었다가 가치를 인정받아 2025년 9월 4일에 보물로 지정되었다.2. 전문
===# 앞면 #===구례(求禮) 화엄사(華嚴寺) 벽암대사비(碧巖大師碑)
국일도대선사비명(國一都大禪師碑銘)(전자(篆字)로 씀)
사보은천교원조국일도대선사(賜報恩闡敎圓照國一都大禪師) 벽암(碧巖) 비명(碑銘) 병서(幷序)
원임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영경연 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 이경석(李景奭) 지음
숭록대부 행의정부좌참찬 겸지경연 춘추관사 홍문관제학 오위도총부도총관 오준(吳竣) 글씨 씀
가의대부 행승정원도승지 겸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예문관직제학 상서원정 조계원(趙啓遠) 전자(篆) 씀
무릇 유교와 불교는 이치가 달라 도를 함께 도모할 수 없고 수행과 학업을 고찰하면 또한 보고 느끼는 것에 가로막혀 있다. 대패로 빈 구멍을 파낸다는 뜻은 오히려 자기만 옳다고 행동하는 것만 못하다. 기원정사(祗園)에서 은혜를 베푸니 공적은 널리 구제하는 일에 빼어나고 하늘에 길게 드리워 높으니 실로 선림(禪林)에 흡족하다. 벽암(碧巖)대사의 상수제자가 천리 길을 산 넘고 물 건너 서호(西湖)로 나를 찾아왔다. 행장을 손에 들고 글을 써줄 것을 청하였는데 날이 갈수록 더욱 절실하였다. 내 그 정성을 차마 져버릴 수 없어 결국 행장에 의해 글을 쓴다.
행장에 따르면, 대사의 법명은 각성(覺性)이고 벽암(碧巖)은 그 호이다. 호서(湖西) 보은(報恩) 사람으로 속성은 김해(金海) 김씨(金)이고 그 선조는 사대부였다고 한다. 대사의 아버지가 일찍이 현의 서쪽에 살 만한 곳을 골랐는데 관상을 보는 자가 아들을 낳으면 반드시 큰 승려가 될 것이라고 하였다. 어머니 조(曹)씨가 자식이 없었는데 함께 깨끗이 목욕재계하고 칠성신(北斗)에게 빌자 오래된 거울을 꿈에서 보고 임신하였다. 대사를 낳으니 만력(萬曆) 을해년(선조 8, 1575년) 12월 정해(丁亥)일이었다. 풍채와 기골이 바르고 엄정하였고 눈은 번개처럼 빛났다. 부모에 효성이 지극하였고 어려서도 노는 것을 즐기지 않았다. 9살에 아버지를 잃고서 몸이 매우 여위었다가 겨우 나았다. 이미 복상을 끝낸 후 돌연 지나가는 승려를 만나고는 선(禪)을 배우는데 마음이 기울었다. 어머니와 거듭 헤어졌는데 점차 느끼고 깨닫는 것이 있어서 마침내 화산(華山)으로 가서 설묵(雪默)대사에게 절하고 스승으로 섬겼다. 14세에 머리를 깎고 보정노사(寶晶老師)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부휴(浮休: 善修)가 화산에 왔는데 그를 매우 남다르게 여기고 진실한 법(眞筌: 眞詮=眞諦)을 권면하였다. 곧 부휴대사를 따라 속리산(俗離山)으로 들어갔고 덕유산(德裕), 가야산(伽耶), 금강산(金剛) 등을 옮겨 다녔다. 날마다 경전을 보는 것이 이로부터 계속되었고 잠시도 놓지 않았다. 임진년(선조 25, 1592년) 난에 송운 유정(松雲 惟政) 대사가 관동(關東)에서 의려군(義旅軍)을 불러 모았다. 부휴선사에게 가서 묻고는 산에서 적을 피하였는데 반드시 경전을 손에 들고 어려운 곳을 물었다. 계사년(1593년) 송운이 부휴를 조정에 천거하여 격문으로 부르고 위에 아뢰니 대사 또한 칼을 잡았다. 명나라 장수를 따라 바다에서 적을 격파하였는데 중국 사람들이 대사를 보고 매우 칭송하였다. 경자년(1600년) 칠불난야(七佛蘭若)에서 하안거(結夏)를 하였는데 부휴가 병이 들어서 강석을 거두고 대사에게 물려주었다. 대사가 사양하였지만 할 수 없어서 법좌에 올라 토론하니 현묘한 기풍이 크게 떨쳐졌다. 병오년(1606년) 가을 모친상을 당하니 문도 대중을 떠나 속리산 가섭굴(迦葉窟)에서 재(齋)를 행하고 복을 빌었다. 남이 견디지 못하는 것을 감당할 수 있었으므로 부휴 문하에서 20여 년간 수업하여 입실(入室)제자로 법을 전수받았다. 계를 실천함에 뛰어났고 인연에 따라 태연하고 담박하였다. 곡기를 끊고도 굶주리지 않았고 밤을 새우고도 잠을 자지 않았으며 늘 옷은 닳고 헤져 있었다. 방장실(丈室: 方丈, 住持의 방)에 결가부좌를 하니 책 상자를 짊어지고 오는 자가 구름처럼 모여들었고 단 이슬 같은 가르침이 골고루 뿌려졌다. 스스로 세 개의 잠(箴)을 지어 문도를 경계하였다.
생각함에 거짓이 없다.
얼굴에 부끄러움이 없다.
허리를 굽히지 않는다.
신비한 구슬이 한 번 비추니 고인 물에 빛을 담근다. 화엄(華嚴)을 엄숙히 외우니 큰 악귀가 퇴각한다. 깨끗한 땅에 썩은 고기를 묻으니 요괴가 단박에 없어진다. 심지어 사나운 호랑이가 길을 지켜준 적도 있었고 따르는 까마귀가 어깨에 모여들었으며 닭은 다시 살아나 보답할 줄을 알고 그물을 태우자 물고기는 감사함을 머금었다. 날고 달리는 동물도 오히려 교화하였는데 하물며 인간에 있어서야! 여러 산사(山園: 山寺)를 혹은 창건하고 혹은 중수하였는데 쌍계사(雙溪)의 동찰(東刹), 화엄사(華嚴)의 대대적 중창, 송광사(松廣) 가람이 그 중 큰 것이며 나머지는 생략한다. 광해군 때 옥사(獄事)가 일어났는데 부휴선사가 요승의 무고를 당하니 대사가 함께 서울로 들어갔다. 광해군이 두 대사를 보고 범상치 않게 여겨서, 부휴선사를 석방하여 산에 돌아가게 하였고 대사를 봉은사(奉恩寺)에 머물게 하여 판선교도총섭(判禪敎都摠攝)으로 삼았다. 공경과 사대부 여럿이 대사와 친하였는데 동양위(東陽尉: 申翊聖)와 특히 사이가 좋았다. 얼마 안 있어 남쪽으로 돌아갔다. 인조대에 남한(南漢)산성을 쌓을 때 의논하는 이들이 주상에게 아뢰고 대사를 불러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으로 삼고 승도를 영솔해서 축성을 감독하도록 하였다. 3년이 지나 공역이 끝났다고 보고하니 보은천교원조국일도대선사(報恩闡敎圓照國一都大禪師)의 칭호를 하사하였고 아울러 의발을 내려주었다. 병자년(인조 14, 1636년) 지리산(智異山)에 머물렀는데 임금의 수레가 남한산성에 행차하였음을 들었다. 이에 북을 치고 눈물을 흘리며 대중을 깨우쳐 말하기를, “우리 승려들도 임금의 백성인데 하물며 널리 구제함(普濟)을 근본으로 삼음에야! 나라 일이 시급하니 차마 앉아서 관망할 수 없구나” 하였다. 바로 군복을 입고 궐기하였고 격문으로 남녘의 승려들을 불러들이니 달려 온 자가 수천 명이었다. 이끌고 북쪽 길로 가는데 적이 퇴각하였음을 듣고는 통곡하며 남으로 돌아왔다. 이후 동쪽 일본으로 가는 사신으로 임명되었는데 감히 사양하지 못하다가 사행이 중도에 이르러 노환이 심해졌기에 청하여 산으로 돌아갔다. 효종은 즉위 전에 편지를 보내고 물건을 보내주었는데 즉위함에 이르자 조정의 의논으로 총섭(摠攝)의 직책을 제수하고 적상산(赤裳)의 사각(史閣)을 지키게 하였다. 앉아서 남녘 승려의 기풍을 교화하고 널리 진실한 법을 펼쳤다. 머문지 얼마 안 되어 여러 명산을 유력하였는데 부안(扶安)의 변산(邊山)을 올려다보고 남해(南海)를 굽어본 후 지리산(方丈) 화엄사(華嚴寺)로 돌아와 주석하였다. 기해년(1659년) 여름 효종이 승하하자 제사를 올리고 슬피 울었다. 가을인 9월에 미미한 병세가 있었는데 문도들에게 수업에 힘쓸 것을 권면하였고 나라의 은혜를 갚으라고 하면서 비석은 세우지 못하게 하였다. 경자년(현종 1, 1660년) 정월 12일 제자들이 대사가 장차 입적할 것을 알고 게송을 청하였다. 이에 붓을 잡아 손수 쓰기를,
“대경(大經) 8만 게송과 염송(拈頌) 30권이 충분히 자리(自利)와 이타(利他)의 두 이로움을 갖추었는데 어찌 별도로 게송을 지을 필요가 있는가?”라고 하였다. 이윽고 편안하게 입적하니 세상에 몸을 맡긴지 86년, 법납(禪臘)은 72세였다. 함께 받들어서 다비를 행하였는데 삼남(三南) 온 절의 불제자들이 골짜기를 메웠다. 사리 세 개가 튀어 나오자 절의 서쪽 기슭 부도에 봉안하였다. 대사가 불교를 계승함은 저 부용영관(芙蓉靈觀)으로부터 말미암은 것이니 임제(臨濟)가 남긴 법맥을 접한 것이다. 부휴와 청허 휴정(淸虛 休靜)은 모두 영관을 섬겼는데 휴정은 송운(松雲)에게 전하였고 부휴는 벽암(碧巖)에게 전수하였다고 한다. 저술로는 『선원집도중결의(禪源集圖中決疑)』 1권, 『간화결의(看話決疑)』 1편, 『석문상의초(釋門喪儀抄)』 1권이 있으며 제자 중 다수가 현묘한 이치에 통하는 관문(玄關)을 열었다. 글을 써줄 것을 청한 이는 율계(律戒)이다. 내 일찍이 원대한 뜻을 품었는데(圖南), 벽암이 와서 구례현(求禮縣)에서 만나보고 나에게 지팡이를 주었다. 율계가 그를 수행하였는데 수년 전에 율계가 또한 낙하(洛下)로 나를 방문하였고 지금 스승을 위해서 왔으니 참으로 매우 부지런하다. 이런 관계로 비명을 짓는다.
대사의 높은 행실은 부모께 효도함에 근원하였고
대사가 속세를 버린 것은 대사의 진면목을 얻은 것이다.
지혜의 칼은 의심을 끊었고 깨달음의 터에서 인륜을 높이 숭상하며,
자비의 배는 중생을 구제하고 보배로운 뗏목으로 나루를 건넌다.
수많은 미혹이 단박에 흩어지니 밤에 새벽을 맞는 것과 같도다.
바다에서는 큰 고래가 따르고 산에서는 사나운 호랑이가 복종하며
물고기는 못에서 즐기고 새는 집에서 따른다.
은혜는 대천세계에 두루 미치고 의리는 시급한 어려움에서 드러난다.
공적은 성채에 있고 도는 산봉우리보다 높구나.
자취는 선림(禪林)에 있지만 마음은 오히려 나라에 있을 뿐이다.
외로운 구름은 머물지 않고 가는 파도는 멈추지 않는다.
학은 가까이 머물 곳을 잃고 갈매기는 쪼개진 잔에 놀란다.
산천의 색이 변하고 고승은 슬픔을 일으키는데
절에는 소리가 남아 오히려 구름을 감싸서 돈다.
눈에는 빛이 남아 있고 정신은 함께 없어지지 않았구나.
생각건대 바위(巖)가 우뚝 솟아 있는 것이 예로부터 홀로 푸르도다(碧).
국일도대선사비명(國一都大禪師碑銘)(전자(篆字)로 씀)
사보은천교원조국일도대선사(賜報恩闡敎圓照國一都大禪師) 벽암(碧巖) 비명(碑銘) 병서(幷序)
원임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영경연 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 이경석(李景奭) 지음
숭록대부 행의정부좌참찬 겸지경연 춘추관사 홍문관제학 오위도총부도총관 오준(吳竣) 글씨 씀
가의대부 행승정원도승지 겸경연참찬관 춘추관수찬관 예문관직제학 상서원정 조계원(趙啓遠) 전자(篆) 씀
무릇 유교와 불교는 이치가 달라 도를 함께 도모할 수 없고 수행과 학업을 고찰하면 또한 보고 느끼는 것에 가로막혀 있다. 대패로 빈 구멍을 파낸다는 뜻은 오히려 자기만 옳다고 행동하는 것만 못하다. 기원정사(祗園)에서 은혜를 베푸니 공적은 널리 구제하는 일에 빼어나고 하늘에 길게 드리워 높으니 실로 선림(禪林)에 흡족하다. 벽암(碧巖)대사의 상수제자가 천리 길을 산 넘고 물 건너 서호(西湖)로 나를 찾아왔다. 행장을 손에 들고 글을 써줄 것을 청하였는데 날이 갈수록 더욱 절실하였다. 내 그 정성을 차마 져버릴 수 없어 결국 행장에 의해 글을 쓴다.
행장에 따르면, 대사의 법명은 각성(覺性)이고 벽암(碧巖)은 그 호이다. 호서(湖西) 보은(報恩) 사람으로 속성은 김해(金海) 김씨(金)이고 그 선조는 사대부였다고 한다. 대사의 아버지가 일찍이 현의 서쪽에 살 만한 곳을 골랐는데 관상을 보는 자가 아들을 낳으면 반드시 큰 승려가 될 것이라고 하였다. 어머니 조(曹)씨가 자식이 없었는데 함께 깨끗이 목욕재계하고 칠성신(北斗)에게 빌자 오래된 거울을 꿈에서 보고 임신하였다. 대사를 낳으니 만력(萬曆) 을해년(선조 8, 1575년) 12월 정해(丁亥)일이었다. 풍채와 기골이 바르고 엄정하였고 눈은 번개처럼 빛났다. 부모에 효성이 지극하였고 어려서도 노는 것을 즐기지 않았다. 9살에 아버지를 잃고서 몸이 매우 여위었다가 겨우 나았다. 이미 복상을 끝낸 후 돌연 지나가는 승려를 만나고는 선(禪)을 배우는데 마음이 기울었다. 어머니와 거듭 헤어졌는데 점차 느끼고 깨닫는 것이 있어서 마침내 화산(華山)으로 가서 설묵(雪默)대사에게 절하고 스승으로 섬겼다. 14세에 머리를 깎고 보정노사(寶晶老師)에게 구족계(具足戒)를 받았다. 부휴(浮休: 善修)가 화산에 왔는데 그를 매우 남다르게 여기고 진실한 법(眞筌: 眞詮=眞諦)을 권면하였다. 곧 부휴대사를 따라 속리산(俗離山)으로 들어갔고 덕유산(德裕), 가야산(伽耶), 금강산(金剛) 등을 옮겨 다녔다. 날마다 경전을 보는 것이 이로부터 계속되었고 잠시도 놓지 않았다. 임진년(선조 25, 1592년) 난에 송운 유정(松雲 惟政) 대사가 관동(關東)에서 의려군(義旅軍)을 불러 모았다. 부휴선사에게 가서 묻고는 산에서 적을 피하였는데 반드시 경전을 손에 들고 어려운 곳을 물었다. 계사년(1593년) 송운이 부휴를 조정에 천거하여 격문으로 부르고 위에 아뢰니 대사 또한 칼을 잡았다. 명나라 장수를 따라 바다에서 적을 격파하였는데 중국 사람들이 대사를 보고 매우 칭송하였다. 경자년(1600년) 칠불난야(七佛蘭若)에서 하안거(結夏)를 하였는데 부휴가 병이 들어서 강석을 거두고 대사에게 물려주었다. 대사가 사양하였지만 할 수 없어서 법좌에 올라 토론하니 현묘한 기풍이 크게 떨쳐졌다. 병오년(1606년) 가을 모친상을 당하니 문도 대중을 떠나 속리산 가섭굴(迦葉窟)에서 재(齋)를 행하고 복을 빌었다. 남이 견디지 못하는 것을 감당할 수 있었으므로 부휴 문하에서 20여 년간 수업하여 입실(入室)제자로 법을 전수받았다. 계를 실천함에 뛰어났고 인연에 따라 태연하고 담박하였다. 곡기를 끊고도 굶주리지 않았고 밤을 새우고도 잠을 자지 않았으며 늘 옷은 닳고 헤져 있었다. 방장실(丈室: 方丈, 住持의 방)에 결가부좌를 하니 책 상자를 짊어지고 오는 자가 구름처럼 모여들었고 단 이슬 같은 가르침이 골고루 뿌려졌다. 스스로 세 개의 잠(箴)을 지어 문도를 경계하였다.
생각함에 거짓이 없다.
얼굴에 부끄러움이 없다.
허리를 굽히지 않는다.
신비한 구슬이 한 번 비추니 고인 물에 빛을 담근다. 화엄(華嚴)을 엄숙히 외우니 큰 악귀가 퇴각한다. 깨끗한 땅에 썩은 고기를 묻으니 요괴가 단박에 없어진다. 심지어 사나운 호랑이가 길을 지켜준 적도 있었고 따르는 까마귀가 어깨에 모여들었으며 닭은 다시 살아나 보답할 줄을 알고 그물을 태우자 물고기는 감사함을 머금었다. 날고 달리는 동물도 오히려 교화하였는데 하물며 인간에 있어서야! 여러 산사(山園: 山寺)를 혹은 창건하고 혹은 중수하였는데 쌍계사(雙溪)의 동찰(東刹), 화엄사(華嚴)의 대대적 중창, 송광사(松廣) 가람이 그 중 큰 것이며 나머지는 생략한다. 광해군 때 옥사(獄事)가 일어났는데 부휴선사가 요승의 무고를 당하니 대사가 함께 서울로 들어갔다. 광해군이 두 대사를 보고 범상치 않게 여겨서, 부휴선사를 석방하여 산에 돌아가게 하였고 대사를 봉은사(奉恩寺)에 머물게 하여 판선교도총섭(判禪敎都摠攝)으로 삼았다. 공경과 사대부 여럿이 대사와 친하였는데 동양위(東陽尉: 申翊聖)와 특히 사이가 좋았다. 얼마 안 있어 남쪽으로 돌아갔다. 인조대에 남한(南漢)산성을 쌓을 때 의논하는 이들이 주상에게 아뢰고 대사를 불러 팔도도총섭(八道都摠攝)으로 삼고 승도를 영솔해서 축성을 감독하도록 하였다. 3년이 지나 공역이 끝났다고 보고하니 보은천교원조국일도대선사(報恩闡敎圓照國一都大禪師)의 칭호를 하사하였고 아울러 의발을 내려주었다. 병자년(인조 14, 1636년) 지리산(智異山)에 머물렀는데 임금의 수레가 남한산성에 행차하였음을 들었다. 이에 북을 치고 눈물을 흘리며 대중을 깨우쳐 말하기를, “우리 승려들도 임금의 백성인데 하물며 널리 구제함(普濟)을 근본으로 삼음에야! 나라 일이 시급하니 차마 앉아서 관망할 수 없구나” 하였다. 바로 군복을 입고 궐기하였고 격문으로 남녘의 승려들을 불러들이니 달려 온 자가 수천 명이었다. 이끌고 북쪽 길로 가는데 적이 퇴각하였음을 듣고는 통곡하며 남으로 돌아왔다. 이후 동쪽 일본으로 가는 사신으로 임명되었는데 감히 사양하지 못하다가 사행이 중도에 이르러 노환이 심해졌기에 청하여 산으로 돌아갔다. 효종은 즉위 전에 편지를 보내고 물건을 보내주었는데 즉위함에 이르자 조정의 의논으로 총섭(摠攝)의 직책을 제수하고 적상산(赤裳)의 사각(史閣)을 지키게 하였다. 앉아서 남녘 승려의 기풍을 교화하고 널리 진실한 법을 펼쳤다. 머문지 얼마 안 되어 여러 명산을 유력하였는데 부안(扶安)의 변산(邊山)을 올려다보고 남해(南海)를 굽어본 후 지리산(方丈) 화엄사(華嚴寺)로 돌아와 주석하였다. 기해년(1659년) 여름 효종이 승하하자 제사를 올리고 슬피 울었다. 가을인 9월에 미미한 병세가 있었는데 문도들에게 수업에 힘쓸 것을 권면하였고 나라의 은혜를 갚으라고 하면서 비석은 세우지 못하게 하였다. 경자년(현종 1, 1660년) 정월 12일 제자들이 대사가 장차 입적할 것을 알고 게송을 청하였다. 이에 붓을 잡아 손수 쓰기를,
“대경(大經) 8만 게송과 염송(拈頌) 30권이 충분히 자리(自利)와 이타(利他)의 두 이로움을 갖추었는데 어찌 별도로 게송을 지을 필요가 있는가?”라고 하였다. 이윽고 편안하게 입적하니 세상에 몸을 맡긴지 86년, 법납(禪臘)은 72세였다. 함께 받들어서 다비를 행하였는데 삼남(三南) 온 절의 불제자들이 골짜기를 메웠다. 사리 세 개가 튀어 나오자 절의 서쪽 기슭 부도에 봉안하였다. 대사가 불교를 계승함은 저 부용영관(芙蓉靈觀)으로부터 말미암은 것이니 임제(臨濟)가 남긴 법맥을 접한 것이다. 부휴와 청허 휴정(淸虛 休靜)은 모두 영관을 섬겼는데 휴정은 송운(松雲)에게 전하였고 부휴는 벽암(碧巖)에게 전수하였다고 한다. 저술로는 『선원집도중결의(禪源集圖中決疑)』 1권, 『간화결의(看話決疑)』 1편, 『석문상의초(釋門喪儀抄)』 1권이 있으며 제자 중 다수가 현묘한 이치에 통하는 관문(玄關)을 열었다. 글을 써줄 것을 청한 이는 율계(律戒)이다. 내 일찍이 원대한 뜻을 품었는데(圖南), 벽암이 와서 구례현(求禮縣)에서 만나보고 나에게 지팡이를 주었다. 율계가 그를 수행하였는데 수년 전에 율계가 또한 낙하(洛下)로 나를 방문하였고 지금 스승을 위해서 왔으니 참으로 매우 부지런하다. 이런 관계로 비명을 짓는다.
대사의 높은 행실은 부모께 효도함에 근원하였고
대사가 속세를 버린 것은 대사의 진면목을 얻은 것이다.
지혜의 칼은 의심을 끊었고 깨달음의 터에서 인륜을 높이 숭상하며,
자비의 배는 중생을 구제하고 보배로운 뗏목으로 나루를 건넌다.
수많은 미혹이 단박에 흩어지니 밤에 새벽을 맞는 것과 같도다.
바다에서는 큰 고래가 따르고 산에서는 사나운 호랑이가 복종하며
물고기는 못에서 즐기고 새는 집에서 따른다.
은혜는 대천세계에 두루 미치고 의리는 시급한 어려움에서 드러난다.
공적은 성채에 있고 도는 산봉우리보다 높구나.
자취는 선림(禪林)에 있지만 마음은 오히려 나라에 있을 뿐이다.
외로운 구름은 머물지 않고 가는 파도는 멈추지 않는다.
학은 가까이 머물 곳을 잃고 갈매기는 쪼개진 잔에 놀란다.
산천의 색이 변하고 고승은 슬픔을 일으키는데
절에는 소리가 남아 오히려 구름을 감싸서 돈다.
눈에는 빛이 남아 있고 정신은 함께 없어지지 않았구나.
생각건대 바위(巖)가 우뚝 솟아 있는 것이 예로부터 홀로 푸르도다(碧).
===# 뒷면 #===
강희 2년 계묘년(1663년) 8월 일 세움
관찰사(觀察使) 조귀석(趙龜錫)
가선(嘉善) 정사립(鄭士立) 손춘절(孫春節) 오말복(吳唜?) 통정(通政) 정애복(鄭愛?) 김기수(金起水) 명진(命眞) 김개금(金介金) 최복남(崔?男) 오말남(吳唜男) 이명립(李命立) 박영록(朴永?) 성의춘(成儀春) 해순(海淳) 언신(彦信) 청해(淸海) 회묵(懷默) 조봉선(曹奉先) 덕묵(德默) 처우(處愚) 천해(天海) 사순(思順) 성정(性靜) 혜심(惠諶) 청간(淸侃) 성일(性逸) 영우(靈祐) 상심(尙諶) 청변(淸卞) 영현(英絢) 현변(懸卞)
자헌 승대장겸총섭(資憲 僧大將兼摠攝) 응준(應俊)
가선(嘉善) 진일(眞一) 통정(通政) 성혜(性惠) 경헌(敬憲) 각명(覺明) 천선(天仙) 자순(自淳) 덕민(德敏) 탁린(琢璘) 충신(忠信) 일우(一祐) 도영(道英) 성천(性天) 옥헌(玉軒) 홍준(弘俊) 신희(信希) 지상(智祥) 여인(如印) 의상(義祥) 덕일(德一) 쌍휘(?輝) 학종(學宗) 현민(玄敏) 경오(敬悟) 자호(自浩) 수균(守均) 묘혜(妙惠) 처은(處?) 영축(靈?) 태준(太俊) 현찬(玄贊) 계민(戒敏) 운변(云卞) 영준(英俊) 신호(信浩) 선미(善美) 영규(靈圭) 의민(義敏) 덕인(德仁) 경인(敬仁) 계우(戒祐) 덕연(惠演) 신행(信行) 해담(海淡) 경욱(敬旭) 일학(一學) 설심(雪心) 유준(惟俊) □유(□宥) 두희(杜希) 천운(天雲) 청언(淸彦) 신해(信海) 계문(戒文) 법장(法莊)
총섭(摠攝) 희원(希遠) 종륵(從勒) 도성(道成) 도정(道淨) 명선(明善) 혜호(惠浩) 성욱(性旭) 명원(明遠) 도한(道閑) 희옥(喜玉) 삼학(三學) 해보(海寶) 응열(應悅) 인영(印英) 정임(正稔) 석륜(碩倫) □륜(□倫) 법호(法浩) 천응(天應) 지잠(智岑) 대언(大彦) 대의(大儀) 천인(天印) 천일(天一) 대흠(大欽) 현운(玄云) 지순(智淳) 두영(杜英) 계현(戒玄) 대영(大英) 행조(行照) 지호(智浩) 수간(守侃) 영숙(英淑) 자정(慈淨) 행수(行修) 자경(慈敬) 찬인(贊仁) 유찬(惟贊) 법명(法明) 능변(能卞) 계운(戒云) 의열(義悅) 의경(義敬) 원민(元敏) 규철(圭哲) 의전(義全) 천승(天勝) 융담(融淡) 보천(普天) 삼치(三冶) 삼일(三日) 삼윤(三允) 의택(義澤) 정인(淨仁) 수견(守堅) 원규(元圭) 수백(守白) 의간(義侃) 의정(義淨) 삼훈(三訓) 경찬(敬贊) 삼인(三印) 계강(戒康) 극보(剋寶) 정민(正敏) 기변(機卞) 선청(善淸) 선일(善日) 삼현(三玄) 원담(元淡) 탄일(坦一) 탄헌(坦軒) 문희(文希) 옥매(玉梅) 탄매(坦梅) 원진(元振) 쌍옥(?玉) 탄문(坦文) 일준(一俊) 문선(文善) 지행(志行) 인잠(印岑) 인헌(印軒) 일훈(一訓) 설잠(雪岑) 인환(印還) 응민(應敏) 상밀(尙密) 인견(印堅) 인한(印閑) 인안(印眼) 해현(海玄) 지명(智明) 인균(印均) 석임(碩稔) 인찬(印贊) 청성(淸性) 취행(就行) 취문(就文) 취해(就海) 취인(就仁)
병마사(兵馬使) 구문치(具文治)
태수(太守) 류중기(柳重起)
가선(嘉善) 손숙남(孫淑男) 김대남(金大男) 김귀연(金貴延) 추양(秋陽) 장인룡(張仁龍) 장승룡(張承龍) 류고공(柳古公) 사비(士非) 김안세(金安世) 박돌시(朴乭屎) 여옥(汝玉) 진개(陳介) 이득남(李得男) 최덕봉(崔德奉) 분개(粉介) 최치□(崔致□) 원철(元哲) 상원(尙元) 지행(智行) 탄원(坦元) 법정(法淨) 대오(大悟) 신여(信如) 홍택(弘澤) 묘원(妙元) 나영(懶英) 인규(印圭) 신열(信悅) 홍신(弘信) 혜림(惠林) 상희(尙熙) 영민(靈敏) 수초(守初) 정특(挺特) 성감(性甘) 성오(性悟) 인욱(印旭) 경눌(敬訥) 정현(正玄) 영인(靈印) 유극(惟克) 충경(??) 치옥(淄玉) 삼우(三祐) 천연(天然) 천민(天敏) 인종(印宗) 지선(智先) 연수(延壽) 성규(性圭) 원규(圓圭) 경연(敬然) 천일(天日) 대해(大海) 경현(敬玄) 지화(智和) 신홍(信弘) 설운(雪雲) 덕화(德和) 철웅(哲雄) 경림(敬林) 응수(應修) 응현(應玄) 천홍(天弘) 응암(應岩) 등계 처능(登階 處能) 혜원(惠遠) 천기(天機) 승준(勝俊) 승언(勝彦) 인영(印英) 인행(印行) 진언(震言) 법행(法行) 상천(尙天) 상행(尙行) 경일(敬一) 충옥(?玉) 승익(勝益) 혜휘(惠暉) 해란(海瀾) 태상(太祥) 성총(性聰) 태심(太心) 천율(天律) 현일(玄一) 신원(神遠) 홍인(弘印) 삼륵(三勒) 청순(淸順) 응초(應初) 도영(道英) 능안(能眼) 명교(明敎) 해영(海英) 보제(普濟) 나묵(懶默) 극념(克念) 사혜(思惠) 청학(淸學) 삼눌(三訥) 영원(英遠) 정신(貞愼) 융철(融哲) 신일(神一)
통정 도감(通政 都監) 인징(印澄)
총홍섭 전좌(摠洪攝 典座) 계종(戒宗)
등계 차지(登階 次知) 율계(律戒)
관찰사(觀察使) 조귀석(趙龜錫)
가선(嘉善) 정사립(鄭士立) 손춘절(孫春節) 오말복(吳唜?) 통정(通政) 정애복(鄭愛?) 김기수(金起水) 명진(命眞) 김개금(金介金) 최복남(崔?男) 오말남(吳唜男) 이명립(李命立) 박영록(朴永?) 성의춘(成儀春) 해순(海淳) 언신(彦信) 청해(淸海) 회묵(懷默) 조봉선(曹奉先) 덕묵(德默) 처우(處愚) 천해(天海) 사순(思順) 성정(性靜) 혜심(惠諶) 청간(淸侃) 성일(性逸) 영우(靈祐) 상심(尙諶) 청변(淸卞) 영현(英絢) 현변(懸卞)
자헌 승대장겸총섭(資憲 僧大將兼摠攝) 응준(應俊)
가선(嘉善) 진일(眞一) 통정(通政) 성혜(性惠) 경헌(敬憲) 각명(覺明) 천선(天仙) 자순(自淳) 덕민(德敏) 탁린(琢璘) 충신(忠信) 일우(一祐) 도영(道英) 성천(性天) 옥헌(玉軒) 홍준(弘俊) 신희(信希) 지상(智祥) 여인(如印) 의상(義祥) 덕일(德一) 쌍휘(?輝) 학종(學宗) 현민(玄敏) 경오(敬悟) 자호(自浩) 수균(守均) 묘혜(妙惠) 처은(處?) 영축(靈?) 태준(太俊) 현찬(玄贊) 계민(戒敏) 운변(云卞) 영준(英俊) 신호(信浩) 선미(善美) 영규(靈圭) 의민(義敏) 덕인(德仁) 경인(敬仁) 계우(戒祐) 덕연(惠演) 신행(信行) 해담(海淡) 경욱(敬旭) 일학(一學) 설심(雪心) 유준(惟俊) □유(□宥) 두희(杜希) 천운(天雲) 청언(淸彦) 신해(信海) 계문(戒文) 법장(法莊)
총섭(摠攝) 희원(希遠) 종륵(從勒) 도성(道成) 도정(道淨) 명선(明善) 혜호(惠浩) 성욱(性旭) 명원(明遠) 도한(道閑) 희옥(喜玉) 삼학(三學) 해보(海寶) 응열(應悅) 인영(印英) 정임(正稔) 석륜(碩倫) □륜(□倫) 법호(法浩) 천응(天應) 지잠(智岑) 대언(大彦) 대의(大儀) 천인(天印) 천일(天一) 대흠(大欽) 현운(玄云) 지순(智淳) 두영(杜英) 계현(戒玄) 대영(大英) 행조(行照) 지호(智浩) 수간(守侃) 영숙(英淑) 자정(慈淨) 행수(行修) 자경(慈敬) 찬인(贊仁) 유찬(惟贊) 법명(法明) 능변(能卞) 계운(戒云) 의열(義悅) 의경(義敬) 원민(元敏) 규철(圭哲) 의전(義全) 천승(天勝) 융담(融淡) 보천(普天) 삼치(三冶) 삼일(三日) 삼윤(三允) 의택(義澤) 정인(淨仁) 수견(守堅) 원규(元圭) 수백(守白) 의간(義侃) 의정(義淨) 삼훈(三訓) 경찬(敬贊) 삼인(三印) 계강(戒康) 극보(剋寶) 정민(正敏) 기변(機卞) 선청(善淸) 선일(善日) 삼현(三玄) 원담(元淡) 탄일(坦一) 탄헌(坦軒) 문희(文希) 옥매(玉梅) 탄매(坦梅) 원진(元振) 쌍옥(?玉) 탄문(坦文) 일준(一俊) 문선(文善) 지행(志行) 인잠(印岑) 인헌(印軒) 일훈(一訓) 설잠(雪岑) 인환(印還) 응민(應敏) 상밀(尙密) 인견(印堅) 인한(印閑) 인안(印眼) 해현(海玄) 지명(智明) 인균(印均) 석임(碩稔) 인찬(印贊) 청성(淸性) 취행(就行) 취문(就文) 취해(就海) 취인(就仁)
병마사(兵馬使) 구문치(具文治)
태수(太守) 류중기(柳重起)
가선(嘉善) 손숙남(孫淑男) 김대남(金大男) 김귀연(金貴延) 추양(秋陽) 장인룡(張仁龍) 장승룡(張承龍) 류고공(柳古公) 사비(士非) 김안세(金安世) 박돌시(朴乭屎) 여옥(汝玉) 진개(陳介) 이득남(李得男) 최덕봉(崔德奉) 분개(粉介) 최치□(崔致□) 원철(元哲) 상원(尙元) 지행(智行) 탄원(坦元) 법정(法淨) 대오(大悟) 신여(信如) 홍택(弘澤) 묘원(妙元) 나영(懶英) 인규(印圭) 신열(信悅) 홍신(弘信) 혜림(惠林) 상희(尙熙) 영민(靈敏) 수초(守初) 정특(挺特) 성감(性甘) 성오(性悟) 인욱(印旭) 경눌(敬訥) 정현(正玄) 영인(靈印) 유극(惟克) 충경(??) 치옥(淄玉) 삼우(三祐) 천연(天然) 천민(天敏) 인종(印宗) 지선(智先) 연수(延壽) 성규(性圭) 원규(圓圭) 경연(敬然) 천일(天日) 대해(大海) 경현(敬玄) 지화(智和) 신홍(信弘) 설운(雪雲) 덕화(德和) 철웅(哲雄) 경림(敬林) 응수(應修) 응현(應玄) 천홍(天弘) 응암(應岩) 등계 처능(登階 處能) 혜원(惠遠) 천기(天機) 승준(勝俊) 승언(勝彦) 인영(印英) 인행(印行) 진언(震言) 법행(法行) 상천(尙天) 상행(尙行) 경일(敬一) 충옥(?玉) 승익(勝益) 혜휘(惠暉) 해란(海瀾) 태상(太祥) 성총(性聰) 태심(太心) 천율(天律) 현일(玄一) 신원(神遠) 홍인(弘印) 삼륵(三勒) 청순(淸順) 응초(應初) 도영(道英) 능안(能眼) 명교(明敎) 해영(海英) 보제(普濟) 나묵(懶默) 극념(克念) 사혜(思惠) 청학(淸學) 삼눌(三訥) 영원(英遠) 정신(貞愼) 융철(融哲) 신일(神一)
통정 도감(通政 都監) 인징(印澄)
총홍섭 전좌(摠洪攝 典座) 계종(戒宗)
등계 차지(登階 次知) 율계(律戒)
3. 보물
||<tablewidth=100%><tablebordercolor=transparent><tablebgcolor=transparent>구례 화엄사 벽암대사비는 임진・병자 양난 이후 화엄사 중창 등 피폐화된 불교 중흥과 발전에 크게 기여한 벽암대사(1575~1660년)의 행적을 기리기 위해 그의 입적 3년 뒤인 1663년에 세워진 비석이다. 비문은 당시 영의정이었던 이경석이 짓고, 형조판서를 지낸 오준이 글씨를 썼으며, 전액(篆額)은 조계원이 썼다.
사찰의 중심축선상에 사적비처럼 세워져 있는 이 비석은 신라시대 이래 지속되어 온 귀부, 비신, 이수로 구성된 석비 형식을 따르고 있다. 동시기에 조성된 석비의 귀부나 이수의 조각 기법과 상통하면서도, 용두형 귀부의 머리와 이수부 정면향의 용에서 보이는 당당하고 넘치는 기백 등 독특한 조형성이 돋보이며, 각 구성물의 결구 기법 처리가 빼어난 기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작품이다.
지정 대상은 승비가 많이 건립되지 않았던 시기에 건립된 희귀한 사례로 처음 건립된 이후 현재까지 원위치에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보존 상태도 양호한 편이다. 또한 비석을 세운 시기, 비문을 지은 사람, 비문 글씨를 쓴 사람, 전액을 쓴 사람을 모두 기록하고 있어 17세기 비석 연구에 기준이 되므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 뿐만 아니라 비석을 세우는데 동참하거나 관여한 사람과 지방 관료 등 관련자들의 명단을 세세하게 기록하여 당시 불교계 연구 및 관련 인물들의 동향 연구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보물로 지정해 보존할 가치가 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구례 화엄사 벽암대사비 (求禮 華嚴寺 碧巖大師碑) ||
사찰의 중심축선상에 사적비처럼 세워져 있는 이 비석은 신라시대 이래 지속되어 온 귀부, 비신, 이수로 구성된 석비 형식을 따르고 있다. 동시기에 조성된 석비의 귀부나 이수의 조각 기법과 상통하면서도, 용두형 귀부의 머리와 이수부 정면향의 용에서 보이는 당당하고 넘치는 기백 등 독특한 조형성이 돋보이며, 각 구성물의 결구 기법 처리가 빼어난 기술적, 예술적 가치가 높은 작품이다.
지정 대상은 승비가 많이 건립되지 않았던 시기에 건립된 희귀한 사례로 처음 건립된 이후 현재까지 원위치에 원형을 잘 유지하고 있으며, 보존 상태도 양호한 편이다. 또한 비석을 세운 시기, 비문을 지은 사람, 비문 글씨를 쓴 사람, 전액을 쓴 사람을 모두 기록하고 있어 17세기 비석 연구에 기준이 되므로 학술적 가치가 높다. 뿐만 아니라 비석을 세우는데 동참하거나 관여한 사람과 지방 관료 등 관련자들의 명단을 세세하게 기록하여 당시 불교계 연구 및 관련 인물들의 동향 연구에도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보물로 지정해 보존할 가치가 있다.
국가유산청 국가유산포털: 구례 화엄사 벽암대사비 (求禮 華嚴寺 碧巖大師碑) ||
#!if version2 == null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화엄사|화엄사]]}}}{{{#!if external != "o"
[[화엄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화엄사?uuid=487cc880-901a-4a30-964f-1a4bc58488e0|r34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화엄사?uuid=487cc880-901a-4a30-964f-1a4bc58488e0#s-5.2.3|5.2.3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https://namu.wiki/history/화엄사?from=346|이전 역사 보러 가기]]}}}
#!if version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border:1px solid gray;border-top:5px solid gray;padding:7px;margin-bottom:0px"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파일:CC-white.svg|width=22.5px]]]]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wiki style="text-align: center"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text-align: left; padding: 0px 10px"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화엄사|화엄사]]}}}{{{#!if external != "o"
[[화엄사]]}}}}}} 문서의 {{{#!if uuid == null
'''uuid not found'''}}}{{{#!if uuid != null
[[https://namu.wiki/w/화엄사?uuid=487cc880-901a-4a30-964f-1a4bc58488e0|r346]]}}} 판{{{#!if paragraph != null
, [[https://namu.wiki/w/화엄사?uuid=487cc880-901a-4a30-964f-1a4bc58488e0#s-5.2.3|5.2.3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화엄사?from=346|이전 역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 == null
'''uuid2 not found'''}}}{{{#!if uuid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 == null
'''uuid3 not found'''}}}{{{#!if uuid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 == null
'''uuid4 not found'''}}}{{{#!if uuid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 == null
'''uuid5 not found'''}}}{{{#!if uuid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6 == null
'''uuid6 not found'''}}}{{{#!if uuid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7 == null
'''uuid7 not found'''}}}{{{#!if uuid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8 == null
'''uuid8 not found'''}}}{{{#!if uuid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9 == null
'''uuid9 not found'''}}}{{{#!if uuid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0 == null
'''uuid10 not found'''}}}{{{#!if uuid1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1 == null
'''uuid11 not found'''}}}{{{#!if uuid1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2 == null
'''uuid12 not found'''}}}{{{#!if uuid1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3 == null
'''uuid13 not found'''}}}{{{#!if uuid1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4 == null
'''uuid14 not found'''}}}{{{#!if uuid1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5 == null
'''uuid15 not found'''}}}{{{#!if uuid1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6 == null
'''uuid16 not found'''}}}{{{#!if uuid1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7 == null
'''uuid17 not found'''}}}{{{#!if uuid1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8 == null
'''uuid18 not found'''}}}{{{#!if uuid1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1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19 == null
'''uuid19 not found'''}}}{{{#!if uuid1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1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0 == null
'''uuid20 not found'''}}}{{{#!if uuid2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1 == null
'''uuid21 not found'''}}}{{{#!if uuid2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2 == null
'''uuid22 not found'''}}}{{{#!if uuid2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3 == null
'''uuid23 not found'''}}}{{{#!if uuid2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4 == null
'''uuid24 not found'''}}}{{{#!if uuid2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5 == null
'''uuid25 not found'''}}}{{{#!if uuid2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6 == null
'''uuid26 not found'''}}}{{{#!if uuid2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7 == null
'''uuid27 not found'''}}}{{{#!if uuid2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8 == null
'''uuid28 not found'''}}}{{{#!if uuid2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2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29 == null
'''uuid29 not found'''}}}{{{#!if uuid2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2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0 == null
'''uuid30 not found'''}}}{{{#!if uuid3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1 == null
'''uuid31 not found'''}}}{{{#!if uuid3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2 == null
'''uuid32 not found'''}}}{{{#!if uuid3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3 == null
'''uuid33 not found'''}}}{{{#!if uuid3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4 == null
'''uuid34 not found'''}}}{{{#!if uuid3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5 == null
'''uuid35 not found'''}}}{{{#!if uuid3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6 == null
'''uuid36 not found'''}}}{{{#!if uuid3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7 == null
'''uuid37 not found'''}}}{{{#!if uuid3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8 == null
'''uuid38 not found'''}}}{{{#!if uuid3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3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39 == null
'''uuid39 not found'''}}}{{{#!if uuid3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3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0 == null
'''uuid40 not found'''}}}{{{#!if uuid4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1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1 == null
'''uuid41 not found'''}}}{{{#!if uuid41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1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2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2 == null
'''uuid42 not found'''}}}{{{#!if uuid42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2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3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3 == null
'''uuid43 not found'''}}}{{{#!if uuid43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3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4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4 == null
'''uuid44 not found'''}}}{{{#!if uuid44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4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5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5 == null
'''uuid45 not found'''}}}{{{#!if uuid45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5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6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6 == null
'''uuid46 not found'''}}}{{{#!if uuid46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6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7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7 == null
'''uuid47 not found'''}}}{{{#!if uuid47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7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8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8 == null
'''uuid48 not found'''}}}{{{#!if uuid48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8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49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49 == null
'''uuid49 not found'''}}}{{{#!if uuid49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49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if version50 != null
{{{#!wiki style="display: block;"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if external == "o"
[[https://namu.wiki/w/|]]}}}{{{#!if external != "o"
[[]]}}}}}} 문서의 {{{#!if uuid50 == null
'''uuid50 not found'''}}}{{{#!if uuid50 != null
[[https://namu.wiki/w/?uuid=|r]]}}} 판{{{#!if paragraph50 != null
, [[https://namu.wiki/w/?uuid=#s-|번 문단]]}}} ([[https://namu.wiki/history/?from=|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