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 ┏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
ㅣ | ㅣ | ||||||||||||||||||||||||||||||||||||||||
ㅣ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건무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
ㅣ | ㅣ | ||||||||||||||||||||||||||||||||||||||||
ㅣ | ㅣ | ||||||||||||||||||||||||||||||||||||||||
ㅣ | 청의정 | 태극정 | 농산정 | ||||||||||||||||||||||||||||||||||||||
ㅣ | 농포 | ㅣ | |||||||||||||||||||||||||||||||||||||||
ㅣ | 소요암 옥류천 | ㅣ | |||||||||||||||||||||||||||||||||||||||
ㅏ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소요정 | |||||||||||||||||||||||||||||||
ㅣ | ㅣ | 취한정 | ㅣ | ||||||||||||||||||||||||||||||||||||||
ㅣ | 수복방 | 신선원전 진설청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ㅡ | ㅡ | ㅡ | ㅣ | ㅣ | ||||||||||||||||||||||||||||||||||||
ㅣ | 괘궁정 | ㅣ | 취규정 | ㅣ | |||||||||||||||||||||||||||||||||||||
ㅣ | 재실 | ┏ | ㅡ | ㄱ | ㅣ | ㅣ | |||||||||||||||||||||||||||||||||||
ㅣ | ㅣ | ㅣ | ㅣ | 능허정 | ㅣ | ||||||||||||||||||||||||||||||||||||
ㅣ | 의효전 | ㅣ | 청심정 | ㅣ | |||||||||||||||||||||||||||||||||||||
ㅣ | 몽답정 | ㅡ | ㅡ | ㅡ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ㅣ | 존덕정 | ㅣ |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외삼문 | ㅡ | ㅓ | 폄우사 | 관람정 | ㅣ | |||||||||||||||||||||||||||||
ㅣ | 반도지 | ㅣ | |||||||||||||||||||||||||||||||||||||||
ㅣ | ┏ | ┛ | |||||||||||||||||||||||||||||||||||||||
ㅣ | 승재정 | ㅣ | |||||||||||||||||||||||||||||||||||||||
ㅣ | ㅣ | ||||||||||||||||||||||||||||||||||||||||
ㅣ | ┏ | ㅡ | ㄱ | ㅣ | |||||||||||||||||||||||||||||||||||||
ㅣ | ㅣ | 반빗간 | ㅏ | ㅡ | 태일문 | ㅡ | ㄱ | ㅣ | |||||||||||||||||||||||||||||||||
ㅣ | ㅏ | 통벽문 | 우신문 | 농수정 | ㅣ | ㅣ | |||||||||||||||||||||||||||||||||||
ㅣ | ㅣ | 연경당 | 선향재 | ㅣ | ㅣ | ||||||||||||||||||||||||||||||||||||
ㅣ | ㅣ | ┏ | ㅡ | ㅡ | ┛ | ㅣ | |||||||||||||||||||||||||||||||||||
ㅣ | | ㄴ | 수인문 | 장양문 | ㅣ | ㅣ | |||||||||||||||||||||||||||||||||||
ㅣ | ㅣ | ㅣ | |||||||||||||||||||||||||||||||||||||||
ㅣ | ㅡ | 장락문 | ┛ | ㅣ | |||||||||||||||||||||||||||||||||||||
ㅣ | 창덕궁 애련정 | | ㅣ | ||||||||||||||||||||||||||||||||||||||
ㅣ | 애련지 | ㅣ | |||||||||||||||||||||||||||||||||||||||
ㅣ | 불로문 | ㅣ | |||||||||||||||||||||||||||||||||||||||
ㅣ | 석거문 | 금마문 | 영춘문 | ||||||||||||||||||||||||||||||||||||||
ㅣ | 운경거 | 의두합 | ㅣ | ||||||||||||||||||||||||||||||||||||||
ㅣ | ㅣ | ||||||||||||||||||||||||||||||||||||||||
ㅣ | 희우정 | 천석정 | ㅣ | ||||||||||||||||||||||||||||||||||||||
ㅣ | 서향각 | 주합루 | ㅣ | ||||||||||||||||||||||||||||||||||||||
ㅣ | 어수문 | ㅣ | |||||||||||||||||||||||||||||||||||||||
ㅣ | 사정기비각 | 부용지 | 영화당 | 춘당대 | ㅣ | ||||||||||||||||||||||||||||||||||||
ㅣ | 부용정 | ㅣ | |||||||||||||||||||||||||||||||||||||||
ㅣ | ㅣ | ||||||||||||||||||||||||||||||||||||||||
요금문 | | | ㅣ | ||||||||||||||||||||||||||||||||||||||
ㅣ | ┏ | ┛ | |||||||||||||||||||||||||||||||||||||||
ㅣ | ㅣ | ||||||||||||||||||||||||||||||||||||||||
┏ | ㅡ | ┛ | ㅣ | ||||||||||||||||||||||||||||||||||||||
ㅣ | | | ㅣ | ||||||||||||||||||||||||||||||||||||||
ㅣ | ㅣ | ||||||||||||||||||||||||||||||||||||||||
ㅣ | | | 경훈각 | ┏ | 함원전 | ㅣ | |||||||||||||||||||||||||||||||||||
ㅣ | | ㅣ | ㅣ | ㅣ | 청향각 | ㅣ | |||||||||||||||||||||||||||||||||||
ㅣ | | 의풍각 | ┏ | ㅗ | ㅡ | 융경헌 | 대조전 | 흥복헌 | ┛ | ㅣ | |||||||||||||||||||||||||||||||
ㅣ | ㅣ | 수랏간 | 관리합 | ㅣ | → | ||||||||||||||||||||||||||||||||||||
ㅣ | | ㄴ | ㅡ | 요휘문 | 경극문 | ㅣ | 창경궁 | ||||||||||||||||||||||||||||||||||
경추문 | | ㅏ | 선평문 | ㅜ | 여춘문 | ||||||||||||||||||||||||||||||||||||
ㅣ | ㅣ | ㅣ | ㅣ | 함양문 | ㄱ | ||||||||||||||||||||||||||||||||||||
ㅣ |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 만수문 | ┏ | ㅡ | 건중문 | ㅡ | ㅡ | ㅗ | ㅡ | ㅓ | 희정당 | ㅣ | | ||||||||||||||||||||||||||||
ㅣ | 양지당 | 만안문 | ㅓ | 선정전 | ㅣ | ㅣ | ㅣ | ┏ | |||||||||||||||||||||||||||||||||
ㅣ | 책고 | 인정전 | ㅣ | ㅣ | ㅣ | ㄴ | ㅡ | ┛ | 관물헌 | ㄱ | |||||||||||||||||||||||||||||||
ㅣ | 봉모당 | 억석루 | 연경문 | 만복문 | 향실 | ㅏ | ㅡ | 선정문 | ㅡ | ㅓ | 성정각 보춘정 | | 칠분서 | ㄱ | |||||||||||||||||||||||||||
ㅣ | 운한문 | 영의사 | 예문관 | ㅣ | ㅣ | 자시문 | 삼삼와 | 승화루 | 한정당 | ㄴ | ㄱ | ||||||||||||||||||||||||||||||
ㅣ | 숭범문 | ㅏ | ㅡ | ┛ | 영현문 | 전의사 | 취운정 | ㄴ | ㄱ | ||||||||||||||||||||||||||||||||
이문원 | 검서청 | 약방 | 광범문 | ┏ | 낙선재 | ㅜ | 석복헌 | ㅣ | |||||||||||||||||||||||||||||||||
ㅡ | ㅡ | ㅡ | ㄱ | 홍문관 | ㅣ | ㅏ | ㅣ | ㅏ | ㅗ | 수강재 | ㄱ | ㅣ | |||||||||||||||||||||||||||||
ㄴ | ㅡ | | ㅓ | ㅓ | | ㄴ | 장락문 | ㅓ | ㅣ | ||||||||||||||||||||||||||||||||
ㅏ | ㅡ | 인정문 | ㅡ | + | ┛ | | ㄴ | ㅡ | ㅡ | ┛ | |||||||||||||||||||||||||||||||
금천교 | 진선문 | 숙장문 | |||||||||||||||||||||||||||||||||||||||
금호문 |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 | | | | | | ㅣ | |||||||||||||||||||||||||||||||||
빈청 (어차고) | | ㅣ | |||||||||||||||||||||||||||||||||||||||
돈화문 | ㄱ | | 상의원 | 치미각 | | | |||||||||||||||||||||||||||||||||||
ㅣ | 원역처소 | | | | | | | ||||||||||||||||||||||||||||||||||
ㄴ | ㅡ | ㅡ | ㅡ | ㅗ | 단봉문 | ㅡ | ㅡ | ㅡ | ㅡ | ㅡ | ↓ | 종묘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북신문 | +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wiki style="margin:-12px 0" | <tablebordercolor=#315288> | }}} | |
대한민국 보물 제1763호 | |
창덕궁 부용정 昌德宮 芙蓉亭 | |
소재지 |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
분류 | 유적건조물 / 정치국방/ 궁궐·관아/ 궁궐 |
수량 | 1동 |
지정연도 | 2012년 3월 2일 |
제작시기 | 조선 시대, 1707년 창건 |
<colbgcolor=#bf1400> 부용정[1] |
부용정 야경[2] |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주합루와 같이 소개한다. |
[clearfix]
1. 개요
창덕궁 후원의 정자이다. 주합루의 남쪽에 있으며, 창덕궁 후원을 관람할 때 주합루와 함께 가장 먼저 보는 건물이다.2. 이름과 현판
부용(芙蓉)은 연꽃의 한자어이다. 현재 현판 글씨는 1903년(광무 7년)에 창덕궁 후원의 감독직을 맡았던 동농 김가진이 썼다.3. 역사
<colbgcolor=#bf1400> 《동궐도》 부용정 영역 |
일제강점기와 6.25 전쟁을 겪으면서도 헐리지 않고 살아남았다. 2012년 3월 2일에 문화재청에서 보물 제1763호로 지정했으며 2012년 9월 보수 공사 때 일제 때 변형된 지붕을 《동궐도》대로 복원했다.#
4. 구조
- 지붕은 팔작지붕, 처마는 겹처마이다. 정면 5칸, 측면 4칸, 배면 3칸으로, '丁'자와 '亞' 자를 합친 듯한 복잡한 구조의 형태이며 마치 연못에 발 담그고 있는 것 같은 모습이 특징이다. 자세한 건물의 구조는 링크 참조.
4.1. 주련
5. 부용지
<colbgcolor=#bf1400> 부용지. 좌측 건물은 부용정. 우측 건물은 주합루이다.[3] |
부용지 야경[4] |
연못 자체는 부용정보다 역사가 훨씬 길다. 1634년(인조 12년)에 연못을 파고 뱃놀이를 했다고 하며 정조 시기에 고쳐지어 지금의 모습이 된 것이다. 부용지란 이름은 조선 시대 기록에서는 찾기 어려우며, 창건 당시에는 '용지(龍池)'라 불렸고, 숙종 ~ 정조 시기엔 '태액지(太液池)'라 했다. '태액(太液)'의 뜻은 '큰 연못'이고, 옛 중국 황궁의 연못 이름에서 유래했다.[5]
6. 여담
- 1795년(정조 19년)에 있었던 혜경궁 홍씨의 회갑을 맞아 종친들과 신하들을 초청해 낚시와 뱃놀이를 했다고 한다.# 이외에도 신하들과 여러 번 낚시와 뱃놀이를 즐기면서 술을 마셨다고 한다.
<colbgcolor=#bf1400> 부용지의 섬[6] |
<colbgcolor=#bf1400> 방화수류정[8] |
- 정조가 어느 날 부용정에서 신하들과 술자리를 가질 때의 일이다. 악기와 상차림 준비가 다 됐을 때, 마침 이 곳에 둥지를 틀었던 제비가 새끼에게 먹이를 주려고 빙빙 돌면서 들어오지 못하고 있는 것을 보고는 가엾게 여겨 자리에서 일어났다. 그 후로 부용정에 나올 때마다 제비둥지에 대해 물어보았다고 한다.#
<colbgcolor=#bf1400> 〈창덕궁 달빛기행〉 영상 |
7. 매체에서의 등장
- 아름답기로 유명하며 창덕궁 깊은 안쪽에 있어 조선을 다룬 사극에 종종 나온다. 평소에도 일반인은 창덕궁에 들어가 후원 입장료를 따로 내고 정해진 시간만 관람이 가능하기에 촬영하기 적합하기 때문이다. 다만 정조 이전 시기에도 이 일대가 나와 재현 오류가 많이 보인다.
<colbgcolor=#bf1400> 〈옷소매 붉은 끝동〉의 부용지 낚시 장면 |
[1]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2] 사진 출처 - 문화재청.[3]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4] 사진 출처 - 문화재청국가문화유산포털.[5] 당나라 대명궁, 금나라 대녕궁에 같은 이름의 연못이 있었다. 현재 베이징의 중난하이도 태액지로 불렀다.[6]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7] 이 술수에는 총애를 받았던 정약용도 예외는 없었다...[8] 두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