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6-27 08:39:41

창덕궁 수정전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수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옥청문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수문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한려청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수궁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수문장청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수궁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생물방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소주방 청향각
숙경재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정묵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수문장청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자선재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유덕당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석유실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양성재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장방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대전장방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당후(승정원)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양사(사간원) 공상청 사알방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계방
수문장청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군옥재 춘방 등룡문
원역처소 수문장청 전루 별감방 등촉방 배설방 훈국군번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북신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수정전
昌德宮 壽靜殿
위치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1623년 이전 (창건 추정)
1654년 (개수)
1881년 (소실)
파일:동궐도 수정전.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에서 묘사한 수정전
파일:창덕궁 수정전 현판.jpg
수정전 현판[1]
1. 개요2. 역사3. 구조4. 여담

[clearfix]

1. 개요

창덕궁의 대비전(大妃殿) 중 하나로, 경훈각의 서북쪽에 있었다. 처음 이름은 수정당(壽靜堂)이었다. 현재는 없다.

2. 역사

창건 시기는 알 수 없다. 다만 《궁궐지》에 ‘인조반정으로 궁궐 안이 모두 탔으나 수정당만 남게 되었다’는 내용이 있는 것을 보아 적어도 광해군 때에는 지은 듯 하다.

효종이 1654년(효종 5년)에 창경궁 통명전에 머물던 자의대비 조씨(장렬왕후)[2]가 아프자 창덕궁에 모시려고 기존의 있던 건물을 수리, 증축하여 고쳐지었다. 정언[3] 이상진의 상소문을 볼 때 원래는 가볍게 놀던 공간이었던 듯 하다.#

그러나 병이 잘 낫지 않자 자의대비는 옛 총부로 거처를 옮겼다. 하지만 그 곳이 살기 불편하여 곧 수정당으로 돌아왔고, 이에 효종은 불과 1년 뒤인(...) 1655년(효종 6년)에 '수정당이 산을 등져있어 비좁다'면서# 만수전이란 대비전을 따로 지었다. 만수전 완공 후 자의대비는 그 곳에서 머물렀다.#

정조 시기에는 정조의 법적 할머니[4] 예순대비(정순왕후)가 사용했으며 1794년(정조 18년) 12월에는 예순대비와 정조의 생모 혜경궁 홍씨에게 책보와 책인을 이 곳에서 올리면서 이름 역시 ‘당(堂)’보다 더 위계가 높은 ‘전(殿)’을 붙여 수정전(壽靜殿)으로 고쳤다.

1813년(순조 13년)에는 수정전의 행각이 불탔으나 수정전 본채는 무사했다. 1881년(고종 18년)에는 수정전 영역을 정비했고#, 같은 해 이름을 함녕전[5]으로 바꿨으나# 얼마 지나지 않아 화재로 불 타 사라졌다.# 직후 바로 복구 공사에 들어갔지만 1882년 고종이 중단시켰고# 조선 멸망 때까지 끝내 재건하지 않았다. [6][7]

1891년(고종 28년) 함녕전의 별당들을 경복궁으로 옮겨 지었다. 그 중 하나가 현재 경복궁 건청궁의 서쪽에 있는 중국풍 건물 집옥재이다.

3. 구조

4. 여담


[1]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2] 인조계비. 효종계모이다.[3] 임금에게 목숨 걸고 간언하는 사간원(司諫院)의 정6품 관원.[4] 할아버지 영조계비이니 할머니가 맞긴 한데 정조보다 불과 7살 위이다.(...)[5] 덕수궁의 침전 함녕전과는 이름만 같다.[6] 다만 국권피탈까지 재건되지 않았다는 이 부분은 좀 의아하고 더 명확히 확인해봐야하는데, 1891년 7월 8일의 실록과 승정원일기 기사에서 함녕전의 상량문 제술(대들보를 올릴 때 쓰는 축문같은 것)과 옮겨짓는 길일을 고르는 기사가 확인된다. ### 함녕전의 부속건물을 옮길 때는 따로이 '함녕전의 제전각, 부속건물(별당)'로 구분해 언급하고 있는 것을 볼 때 부속건물을 따로 함녕전으로 통칭하진 않았을 것이고, 옮겨짓는다는 것을 보면 1891년 당시 창덕궁의 건물들을 경복궁으로 옮기는 공사가 있었으니 함녕전을 재건해서 경복궁으로 옮겼을 것이라는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함녕전이 경복궁으로 옮겨졌다면 일제강점기 때 또 헐려나갔을 것이다.[7] 그런데 9년간 중지한 공사를 재개한 것에 대한 서술은 없이 갑자기 1891년의 서술이 나타나는 것이 좀 의뭉스럽긴 하다.[8] 가장 메인이 되는 집채의 좌, 우편에 날개(翼)처럼 딸려 있는 전각(閣).