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11-03 19:06:07

창덕궁 홍문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5
대보단
건무문 광지문 수문
청의정 태극정 농산정 옥청문
농포
소요암 옥류천
소요정 수문
취한정
수복방 신선원전 진설청
괘궁정 취규정
재실
능허정
의효전 사가정 청심정 천향각
몽답정 산단
백운사
천성동 태청문
청연각
존덕정
외삼문 폄우사 척뇌당
관람정
한려청 반도지
승재정
부군당
반빗간 태일문
통벽문 우신문 농수정
연경당 선향재
국출신직소 수인문 장양문
장락문
창덕궁 애련정 수궁
어수당 애련지
불로문
석거문 금마문 영춘문
운경거 의두합
희우정 천석정
서향각 주합루
어수문
사정기비각 부용지 영화당 춘당대 서총대
부용정
요금문 수문장청 서소 개유와 열고관
창송헌 수정전 가정당
수궁 습취헌 집상전
영모당
생물방 경복전 경훈각 징광루 함원전
소주방 청향각
숙경재 의풍각 융경헌 대조전 흥복헌
수랏간 관리합
만수전 태화당 재덕당 정묵당 요휘문 경극문 창경궁
경추문 수문장청 보경당 선평문 양심합 여춘문 병경문
함양문
서북 진설청 내재실
선원전
서남 진설청 동남 진설청
만수문 건중문 희정당 자선재 영안문
양지당 만안문 관광청 선정전 유덕당 건인문
책고 인정전 관물헌 석유실 어휘문
봉모당 억석루 연경문 만복문 향실 선정문 성정각 보춘정 양성재 중희당 칠분서 해당정 수방재 연영합 평원루 취명문
운한문 영의사 예문관 서방색 소주방 선화문 자시문 삼삼와 승화루 한정당 보화문
숭범문 선전관청 장방 영현문 전의사 취운정 협문
훈국초관인직소 이문원 검서청 약방 내삼청 광범문 대전장방 내반원 낙선재 석복헌
훈국초관인직소 홍문관 당후(승정원)문서고 궁방 사옹원 등촉방 대은원 수강재
훈국군파수직소 정청 육선루
악기고
승정원 상서성 연영문 협양문 무예청 장락문 주명문
남소
위장청
인정문 +양사(사간원) 공상청 사알방 누국
수문장청 금천교 진선문 숙장문 건양문 일영대
금호문 결속색
정색
내병조
(창덕궁관리소)
호위청 상서원 배설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별감방 전루 문기수번소 저승전 낙선당
무비사
의장고
전설사 빈청
(어차고)
진수당 장경각 계방
수문장청돈화문 수문장청 교자고 상의원 치미각 시민당 군옥재 춘방 등룡문
원역처소 수문장청 전루 별감방 등촉방 배설방 훈국군번소 사주문
단봉문 종묘북신문+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2호 창덕궁
<colbgcolor=#bf1400> 창덕궁 홍문관
昌德宮 弘文館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율곡로 99 (와룡동 2-71번지)
건축시기 창건시기 미상
2004년 (복원)
파일:창덕궁 홍문관.png
<colbgcolor=#bf1400> 홍문관[1]
문화재청에서 제작한 3D 영상
1. 개요2. 현판3. 역사4. 구조

[clearfix]

1. 개요

창덕궁 궐내각사 구역에 있는 홍문관 청사이다.

홍문관은 궁중의 문서 처리와 관리 및 임금의 자문에 응하는 일을 하던 기관이다. 사헌부 · 사간원과 함께 삼사(三司)로 불릴 만큼 중요한 곳이었다. 자세한 내용은 홍문관 문서 참조.

2. 현판

파일:홍문관 현판.png
<colbgcolor=#bf1400> 왼쪽은 1699년에 만든 홍문관 현판,[2] 오른쪽은 현재 홍문관 현판이다.[3]
‘옥당(玉堂)’으로 써두었다. 옥당은 홍문관의 다른 이름이다. 뜻은 '옥같은 집', '옥같이 귀한 인재들이 일하는 집'이다.[4]

조선시대 옥당에 걸었던 현판이 2개 남아있다. 하나는 임진년[5] 9월에 이원영(李元英)이 전서체로 쓴 것으로 세로로 긴 모습이고#, 다른 하나는 1699년(숙종 25년) 새해 첫날에 홍문관 응교[6]였던 응자 김진규(應紫 金鎭圭. 1658 ~ 1716)가 쓴 것으로 가로로 긴 형태이다.# 이 현판들은 현재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보관 중이다.

현재 현판은 2000년대에 복원하면서 새로 만든 것이다. 서예가 소헌 정도준 선생(紹軒 鄭道準. 1948 ~ )이[7] 새로 쓰고 각자장 철제 오옥진 선생(鐵齋 吳玉鎭. 1935 ~ 2014)이 새겼다.

3. 역사

파일:홍문관.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 홍문관
1463년(세조 9년)에 세조가 집현전을 대신할 문서 보관 기관으로 처음 만들었고, 성종이 자문 및 학술 연구 기관으로 재편했다. 그때 홍문관 청사도 지은 듯 하다. 1592년(선조 25년)에 임진왜란으로 불탄 후, 광해군 때 재건했다. 1907년(융희 원년)에 일제홍문관 기구를 폐지했고[8] 일제강점기에는 건물마저 헐었다. 문화재청에서 2000년 ~ 2004년에 복원했고 2005년에 일반에 개방하여 오늘에 이른다.

4. 구조

파일:동궐도형 홍문관.png}}} ||
<colbgcolor=#bf1400> 《동궐도형》의 홍문관. 초록색 원 안이다.
* 1층[9] 목조 건물로 남향(南向)이다.
파일:홍문관 내부 구조.png}}} ||
<colbgcolor=#bf1400> 홍문관 내부 구조
정면 5칸, 측면 3칸, 총 15칸이다. 실내 구조는 윗 그림 참조.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트위터.[2] 사진 출처 - 국립고궁박물관.[3] 사진 출처 - 문화재청.[4] 후술하겠지만, 세종 때 자문, 학술기관이었던 집현전을 새로 개편한 게 홍문관이다. 그래서 역으로 집현전을 옥당을 직역한 'Jade Hall'로 번역한 사례를 종종 볼 수 있다. 〈문명〉이 대표적인 예#.[5] 어느 임진년인지는 모른다.[6] 應敎. 홍문관과 예문관에 있던 정4품직.[7] 경복궁 흥례문유화문창덕궁 진선문현판숭례문 복원 상량문을 썼다.[8] 이후 홍문관 업무는 규장각에서 담당했다.[9]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으로 표현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9
, 1번 문단
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9 (이전 역사)
문서의 r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