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9-21 14:15:13

창경궁 풍기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모정 미확인 건물지 집춘문
대온실 관덕정
창덕궁 춘당지관풍각 조주가
국립어린이과학관
병경문 수궁 성종 태실 앙부일구
풍기대
관리사무소 월근문
함양문 건극당세답방수궁
영안문환취정자경전장고요화당통화전명광문
건인문 통명전양화당정일재집복헌영춘헌
여휘문여휘당 채원합소주방연희당연춘헌천오문만입문보정문 통화문
정양문연경당
경춘전환경전소주방장방수문장청
순역헌
풍순헌
함인정공목합수랏간
함안각
교태문영군직소
취명문 빈양문 명정전 명정문 옥천교 홍화문
보화문협문숭문당 문정전 문정문 영군직소
주명문누국오위도총부고문관주자소영군직소
낙선당 일영대 수문장청
저승전 진수당 군옥재계방등룡문 선인문
춘방사주문내사복시
시민당 +종묘수문암문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의 보물
845호 846호 847호
앙부일구 창경궁 풍기대 경복궁 풍기대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보물 제846호
창경궁 풍기대
昌慶宮 風旗臺
소재지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창경궁)
분류 유물 / 과학기술 / 계측교역기술용구 / 도량형
수량 1기
지정연도 1985년 8월 9일
제작시기 조선 시대 후기
파일:창경궁_풍기대_전경.jpg
파일:창경궁_풍기대_근경.jpg
<colbgcolor=#bf1400> 풍기대[1]

1. 개요2. 내용
2.1. 용도2.2. 이름2.3. 구조
3. 외부 링크4. 보물 제846호

[clearfix]

1. 개요

<colbgcolor=#bf1400> YTN SCIENCE에서 제작한 풍기대 영상

昌慶宮 風旗臺

창경궁의 풍기대이다.

2. 내용

2.1. 용도

농업에 있어 날씨는 매우 중요한 변수이다. 그러므로 농경국가 조선에서 날씨를 관찰하는 것은 매우 중요했으며 바람 관측 역시 마찬가지였다. 조선시대 사람들은 편서풍이 불면 좋은 날씨이고, 반대로 동풍이 불면 날씨가 나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이런 바람 측정을 좀 더 과학적으로 하려고 만든 기구가 바로 풍기대이다.#

2.2. 이름

풍기(風旗)는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깃발이며 풍기대(風旗臺)는 풍기를 세웠던 받침대이다. 현재의 풍향계와 비슷하다고 보면 된다. 풍자는 당연히 바람 풍자 이다.

조선시대에는 깃발을 '상풍기(相風旗)', '풍기죽(風旗竹)'이라 불렀으며, 깃발과 받침대 전체를 통틀어서는 '상풍간(相風竿)', '풍기(風旗)', 혹은 줄여서 '간(竿)' 등으로 일컬었다. 받침대를 따로 부르는 말은 없었다. '풍기대(風旗臺)' 명칭은 1917년에 일본인 기상학자 와다 유지(和田雄治)가 발행한 《조선고대관측기록조사보고》에서 처음 등장했다.

2.3. 구조

파일:창경궁풍기대.jpg}}} ||
<colbgcolor=#bf1400> 풍기대[2]
* 재질은 화강암이다. 높이는 228㎝이다.

3. 외부 링크

4. 보물 제846호

풍기대란 바람의 방향과 세기를 추정하는 깃발을 세운 대이다.

이 풍기대는 화강암으로 만들었으며 높이 228㎝로 아래에 상을 조각한 대를 놓고 그 위에 구름무늬를 양각한 8각기둥을 세운 모양이다. 8각 기둥 맨 위의 중앙에는 깃대 꽂는 구멍이 있고, 그 아래 기둥 옆으로 배수 구멍이 뚫려 있다. 깃대의 길이는 확실하지 않으며 깃대 끝에 좁고 긴 깃발을 매어 그것이 날리는 방향으로 풍향을 재고, 나부끼는 정도로 바람의 세기를 잴 수 있었다. 풍향은 24방향으로 표시하고 풍속은 그 강도에 따라 8단계 정도로 분류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풍향의 측정은 농업에 있어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관측 자료로 세종 때부터는 제도화되었으리라 생각된다. 강우량을 측정하는 수표의 경우와 같이 처음에는 풍기대를 절의 당간 지주처럼 만들었으리라 추측된다.

풍기대는 지금은 없어지고 그림으로만 남아 있는 조선시대 관측기의 실증적 유물로, 기상관측기의 선구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것이다.


[1]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보물 창경궁 풍기대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유산포털: 보물 창경궁 풍기대
[2] 세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유산포털: 보물 창경궁 풍기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