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4-13 18:35:44

창경궁 함인정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모정 미확인 건물지 집춘문
대온실 관덕정
창덕궁 춘당지관풍각 국립어린이과학관
병경문 성종 태실 앙부일구
풍기대
관리사무소 월근문
함양문 건극당세답방수궁
영안문환취정자경전장고요화당통화전명광문
건인문 통명전양화당정일재집복헌영춘헌
여휘문여휘당 채원합소주방연희당연춘헌천오문만입문보정문 통화문
정양문연경당
경춘전환경전소주방장방수문장청
순역헌
풍순헌
함인정공목합수랏간
함안각
교태문영군직소
취명문 빈양문 명정전 명정문 옥천교 홍화문
보화문협문숭문당 문정전 문정문 영군직소
주명문누국오위도총부고문관주자소영군직소
낙선당 일영대 수문장청
저승전 진수당 군옥재계방등룡문 선인문
춘방사주문내사복시
시민당 +종묘수문암문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colbgcolor=#bf1400> 창경궁 함인정
昌慶宮 涵仁亭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건축시기 1633년 (창건)
1833년 (중건)
파일:창경궁 함인정.png
파일:pal_ckk_pct08_ori.jpg
<colbgcolor=#bf1400> 함인정[1]

1. 개요2. 역사3. 구조4. 여담

[clearfix]

1. 개요

창경궁정자이다. 명정전의 서북쪽, 환경전의 남쪽에 있다.

'함인(涵仁)' 뜻은 '인(仁)에 흠뻑 젖는다(涵)'이다.

2. 역사

인조 이전 창경궁에는 없었다. 원래 이 자리에는 왕실 연회를 열던 인양전(仁陽殿)이 있었다. 인양전은 임진왜란 때 불탔고 1616년(광해군 8년)에 복구했다. 그러나 이괄의 난이 일어난 1624년(인조 2년)에 다시 화재를 입어 사라졌다. 저 때 통명전을 비롯한 창경궁 주요 건물 대부분이 같이 불탔다.#

1633년(인조 11년)에 인조는 광해군이 지은 인경궁의 전각들을 철거 및 이전하여 창경궁을 재건했다. 이 때 옛 인양전 터에 헐어온 인경궁 전각으로 지은 건물이 바로 함인정이다.

이 때 어떤 건물로 함인정을 지었는지는 설이 분분하다. 《궁궐지》에 적힌 내용은 '함인당을 헐고 옮겨 세우면서 그 호칭을 그대로 존속시켰다가 훗날 함인정으로 고쳤다'이다. 그러나 1633년 창경궁 복구 당시 작성한 《창경궁수리소의궤》에는 '함인정의 5칸은 경수전 후행각 5칸을 옮겨 짓고, 나머지 4칸은 새로 만들었다'고 적혀있다.# 어느 것이 맞다고 단언하기는 힘들다. 하지만, 후대에 작성한 《궁궐지》보다는 아무래도 당대에 적은 《창경궁수리소의궤》의 기록이 좀 더 신빙성이 있어 보인다.

이후 왕들은 함인정은 다양한 용도로 활용했다. 주로 왕실 의례나 잔치, 또는 과거 합격자들을 불러 모으고## 신하들과 만나 경서를 읽는 곳으로 사용했다.# 국상이 생겼을 때는 망곡하고 향을 올리는 곳으로도 이용했다.# 참고로 함인정을 가장 많이 사용한 왕은 영조였다. 《조선왕조실록》 중에서도 《영조실록》에 함인정 기사가 가장 많이 나온다.

1830년(순조 30년) 8월 화재로 불탔고# 1833년(순조 33년)에 복구했다.

일제강점기일제창경궁창경원으로 개조하면서 많은 창경궁의 전각들을 헐었지만, 함인정은 살아남았다. 다만 주변의 행각과 문은 없어지고 건물 한 채만 덩그러니 남았다. 이후 몇 번의 보수 공사를 거쳐 오늘에 이른다.

3. 구조

파일:동궐도 함인정.png}}} ||
<colbgcolor=#bf1400> 〈동궐도〉 함인정
현재는 사방이 트여있다. 하지만 1828년에서 1830년 사이에 제작한 〈동궐도〉를 보면, 남쪽을 제외한 나머지 3면에 창호 문을 달았음을 알 수 있고 기록에 의하면은 가운데 칸 북쪽에 벽을 세운뒤 일월오봉도를 그려넣었다. 1833년에 재건했을 때 바뀐 건지, 아니면 일제강점기를 거치며 지금처럼 변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4. 여담


[1]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궁능유적본부 창경궁관리소.
[2] 보통 전통 건축에선 단층이라고 표현한다.[3] 부재 끝 부분만 화려하게 칠하는 단청.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