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13:41:21

창경궁 내사복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사모정 미확인 건물지 집춘문
대온실 관덕정 지당
창덕궁 춘당지관풍각 조주가
내농포 수궁 국립어린이과학관
건극당 성종 태실 앙부일구
풍기대
관리사무소
병경문 정중문 세답방청양문춘운문월근문
함양문 장고요화당수궁
영안문 환취정자경전
건인문 창고 통명전양화당정일재집복헌영춘헌통화전 명광문
여휘문여휘당 채원합소주방연희당연춘헌 통화문
정양문연경당 천오문만입문보정문 수문장청
경춘전환경전소주방장방일화문 영군직소
자선재 순역헌공묵합수랏간교태문
유덕당 수방재 풍순헌함인정함안각 명정전 명정문 수문장청
석유실 연영합 취명문 빈양문 옥천교 홍화문
중희당 칠분서 저방실 보화문숭문당 영군직소
삼삼와 승화루 평원루 한정당 취운정 협문진설청 문정전 내궁방
금위군번소 패장직소 초관청 건양문 낙선재 석복헌 수강재 문정문 고문관
별감방 전루 문기수청 석거청 주명문 오위도총부 영군직소
무예청 통장청 낙선당 추경원 주자소
저승전 진수당 장경각 계방 누국
시민당 책고 군옥재 춘방 일영대 동룡문 수문장청
영군직소 선인문
전루 별감방 등촉방 배설방 훈국군번소 사주문내사복시
종묘북장문+수문암문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파일:정부상징.svg 대한민국 사적 제123호 창경궁
<colbgcolor=#bf1400> 창경궁 내사복시
昌慶宮 內司僕寺
소재지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건축시기 창건시기 미상
1908년 이후 (철훼 추정)
파일:창경궁 내사복시 동궐도.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의 내사복시 일대

1. 개요2. 용도3. 역사4. 구조5. 부속 건물
5.1. -내사복시 대청(內司僕寺 大廳)-5.2. 연고(輦庫)5.3. 덕응방(德應房)5.4. 교자방(較子房)5.5. 좌,우별양(左,右別養)5.6. 좌,우 거달방(左,右 巨達房)5.7. 견마배청(牽馬陪廳)5.8. 신당(神堂),부군당(府君堂)5.9. 사정(射亭)5.10. 좌,우 추두간(左,右 蒭豆間)5.11. 동,북마랑(東,北馬廊)

1. 개요

창경궁의 건물이다. 창경궁의 남동쪽 자리에 있었다.

2. 용도

사복시는 병조 소속의 부서로 왕의 어마와 가마인 연, 국영 말 목장등을 관리하는 곳이며
크게 궁궐 안의 내사복시와 궁궐 밖의 외사복시로 나눠진다.

3. 역사

궁 안에 꼭 필요한 기관이니만큼, 창경궁 창건 당시부터 있었던 것으로 보이나, 처음부터 현재 자리에 있었는지는 확실히 모른다. 1592년(선조 25년)에 임진왜란으로 불탄 후에 현재의 위치에 재건했다 대체로 창경궁의 궐내각사는 왕이 창경궁에 머무는 경우가 적어서 그 위치가 고정적으로 유지되지 않고 창덕궁과 공유하는 경우가 많아서 빈 건물이 되거나 용도가 변형되는경우가 많지만 내사복시는 오히려 창덕궁에 없고 창경궁에만 있었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에 헐리고 현재는 없다.
문제는 일제강점기때 율곡로를 내면서 부지가 잘려 나갔고 이후에 종묘하고 연결하면서 부지 밑으로 터널을 내지않고 기존 도로 위에 터널을 만들어서 완전 복원이 매우 어려워졌다는 점이다.
파일:창경궁 내사복시 복원계획.png
<colbgcolor=#bf1400> 창경궁 복원계획의 내사복시 붉은색은 미복원, 연두색은 유구복원, 보라색은 복원 예정 건물이다.
국가유산청은 일단은 내사복시를 창경궁 궐내각사 복원 공사 1단계(2025년~2030년)에 부분 복원할 예정이다.

4. 구조

파일:창경궁 내사복시 동궐도형.png
<colbgcolor=#bf1400> 《동궐도형》의 내사복시 일대 내부 구성도

5. 부속 건물

5.1. -내사복시 대청(內司僕寺 大廳)-

昌慶宮 內司僕寺 大廳

내사복시의 본청이다.

5.2. 연고(輦庫)

景福宮 輦庫

왕과 왕비의 가마인 연을 관리, 보관하는 곳이다.

5.3. 덕응방(德應房)

昌慶宮 德應房

공주,옹주의 가마인 덕응을 관리, 보관하는 곳이다.

5.4. 교자방(較子房)

昌慶宮 較子房

가마인 교자를 관리, 보관하는 곳이다.

5.5. 좌,우별양(左,右別養)

昌慶宮 巨達房

사복시의 마굿간이다.

5.6. 좌,우 거달방(左,右 巨達房)

昌慶宮 左,右 巨達房

사복시에 속하여 말을 돌보고 관리하는 일을 맡아 하던 종인 거달들의 처소이다.

5.7. 견마배청(牽馬陪廳)

昌慶宮 牽馬陪廳

종7품 잡직 마부인 견마배들의 처소이다.

5.8. 신당(神堂),부군당(府君堂)

昌慶宮 神堂,府君堂

사복시의 말의 혼령을 위한 고사(告祀)를 지내는 곳이다.

5.9. 사정(射亭)

昌慶宮 射亭

낭관들이 숙직하고 무예를 연마하던 곳이다.

5.10. 좌,우 추두간(左,右 蒭豆間)

昌慶宮 左,右 蒭豆間

말의 사료인 추두를 보관하던 곳이다.

5.11. 동,북마랑(東,北馬廊)

昌慶宮 東,北馬廊

사복시의 마굿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