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ㅏ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ㄱ | ||||||||||||
ㅣ | 집춘문 | |||||||||||||||||||||||||||
← | 대온실 | 관덕정 | | ㄴ | ㅡ | ㅡ | ㄱ | |||||||||||||||||||||
창덕궁 | 춘당지 | | ㅣ | |||||||||||||||||||||||||
ㅣ | | 국립어린이과학관 | ㅣ | |||||||||||||||||||||||||
ㅣ | 성종 태실 | 앙부일구 풍기대 | 관리사무소 | ㅣ | ||||||||||||||||||||||||
| ┏ | 월근문 | ┛ | |||||||||||||||||||||||||
함양문 | ㅣ | |||||||||||||||||||||||||||
ㅣ | ||||||||||||||||||||||||||||
┏ | ㅡ | ㅡ | | 통명전 | 양화당 | 집복헌 | 영춘헌 | | ㅣ | |||||||||||||||||||
ㅣ | ||||||||||||||||||||||||||||
ㅣ | ㄴ | ㄱ | ㅣ | |||||||||||||||||||||||||
ㅣ | ㅣ | 경춘전 | 환경전 | ㅣ | ||||||||||||||||||||||||
ㅣ | | ㅣ | ㅣ | |||||||||||||||||||||||||
ㅣ | | ㅣ | 함인정 | 명정전 | 명정문 | ㅣ | ||||||||||||||||||||||
ㅣ | | | 빈양문 | 옥천교 | 홍화문 | |||||||||||||||||||||||
ㅣ | | ●칠분서 | | ㄴ | ㅡ | ㅡ | ㅜ | ㄱ | 숭문당 | ㅣ | ||||||||||||||||||
┏ | ㅡ | ㅡ | ㄱ | ㅣ | ●삼삼와 | ●승화루 | ●평원루 | ●한정당 | ●취운정 | ㅣ | 문정전 | ㅜ | ┛ | |||||||||||||||
ㅣ | | | | | ┛ | ●낙선재 | ●석복헌 | ●수강재 | ㅣ | ㅣ | 문정문 | | ㅣ | |||||||||||||||
ㅣ | | | | | ㅣ | ㄴ | ㅡ | ㄱ | | | ㅣ | |||||||||||||||||
ㅣ | | ㅣ | ㅣ | | ㅣ | |||||||||||||||||||||||
ㅣ | ㄴ | ㅡ | ㅡ | ㅡ | ㅡ | ㅓ | ㅣ | |||||||||||||||||||||
ㅣ | | | | ㅣ | ㅣ | |||||||||||||||||||||||
ㅣ | | | | | 일영대 | ㅣ | ||||||||||||||||||||||
ㅣ | 선인문 | |||||||||||||||||||||||||||
ㅣ | | | | | | ㅣ | ||||||||||||||||||||||
ㄴ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ㅡ | ↓ | 종묘 | 북장문 | + | ㅡ | ㅡ | ㅡ | ┛ | |||||||
※ '●' 표시가 붙은 건물은 현재 창덕궁 영역이다. | ||||||||||||||||||||||||||||
경복궁 · 창덕궁 · 창경궁 · 덕수궁 · 경희궁 | }}}}}}}}} |
| ||
<colbgcolor=#bf1400> 창경궁 월근문 昌慶宮 月覲門 | ||
소재지 |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와룡동) | |
건축시기 | 1779년 (창건) |
|
<colbgcolor=#bf1400> 월근문[1] |
1. 개요
창경궁의 출입문이다. 정문 홍화문의 북쪽에 있다.2. 역사
1779년(정조 3년) 11월에[2] 세웠다.# 정조는 즉위 후 친아버지 사도세자의 사당 경모궁을 창경궁 동쪽에 지었다. 그리고 경모궁에 자주 편하게 참배할 수 있게 창경궁에서 경모궁과 맞닿은 동북쪽 담장에 월근문을 만들었다. 이름 ‘월근(月覲)’이 ‘매달(月)마다 경모궁에 찾아뵙겠다(覲)’는 뜻이다.3. 구조
- 문짝과 벽체는 전부 붉은 칠을 한 나무판이다. 천장은 서까래와 구조들이 훤히 보이는 연등천장으로 만들었고, 문틀 위에는 홍살을 두었다. 왼쪽 칸 홍살은 문틀 바로 위에 있으나, 오른쪽 칸 홍살은 문틀 위에 풍혈을 뚫은 9개의 궁판을 놓고 그 위에 만들어 놓았다.[A]
- 문지방이 없다. 단, 각 칸의 바닥 가운데에 둥근 돌을 박아놓아 문을 고정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