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모에 미러 (일반/밝은 화면)
최근 수정 시각 : 2024-05-14 00:45:03

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


1. 개요2. 내용3. 목록
3.1. 파적도3.2. 강상회음 (江上會飮)3.3. 목동오수 (牧童午睡)3.4. 밀희투전 (密戯鬪牋)3.5. 성하직구 (盛夏織屨)3.6. 송하기승 (松下棋僧)3.7. 야장단련 (冶匠鍛鍊)3.8. 추수타작 (秋收打作)
4. 외부 링크5. 보물 제1987호

1. 개요

金得臣 筆 風俗圖 畵帖. 조선 후기의 화가인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이 1700년대 후반에 그린 풍속화 8점으로 이루어진 화첩. 현재 간송미술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보물 제1987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긍재풍속도첩(兢齋風俗圖帖)이라고도 부른다.

조선 후기의 대표 화가 중 한명인 김득신이 1700년대 후반에 그린 풍속화 8점으로, 각 작품 모두 김득신의 풍속화를 대표하는 작품이라 할 수 있다.

현대 일반인들에게는 파적도만 홀로 유명하지만, 전문가들은 8점의 작품 모두 고평가하고 있다. 1700년대 한국의 생활 문화를 엿볼 수 있는 자료이며, 회화사적인 측면에서도 높은 가치를 가진 문화재이다.

3. 목록

3.1. 파적도

파일:김득신 파적도.jpg

3.2. 강상회음 (江上會飮)

파일:김득신-강상회음.jpg

3.3. 목동오수 (牧童午睡)

파일:김득신-목동오수.jpg

3.4. 밀희투전 (密戯鬪牋)

파일:김득신-밀희투전.jpg

3.5. 성하직구 (盛夏織屨)

파일:김득신-성하직구.jpg

3.6. 송하기승 (松下棋僧)

파일:김득신-송하기승.jpg

3.7. 야장단련 (冶匠鍛鍊)

파일:김득신-야장단련.jpg
김홍도필 풍속도 화첩의 '대장간' 그림과 인물, 구도가 비슷해 오마주로 보인다.

3.8. 추수타작 (秋收打作)

파일:김득신-추수타작.jpg

4. 외부 링크

5. 보물 제1987호

'김득신 필 풍속도 화첩’은 조선후기 화원 긍재(兢齋) 김득신(金得臣, 1754~1822)이 그린 풍속도 8점으로 이루어진 화첩이다. 김득신은 본관이 개성으로, 백부 김응환(金應煥), 동생 김석신(金碩臣), 아들 김하종(金夏鐘)으로 이어지는 조선 후기 대표적인 직업화가[畵員] 가문 출신이었다. 그림은 김홍도의 영향을 많이 받아 산수화, 풍속화에 모두 능했다.

이 화첩은 김득신의 풍속화를 대표할만한 작품으로, 8점 모두 고르게 높은 회화적 수준을 가지고 있다. 상황과 역할에 맞는 인물들의 움직임을 포착해 시선과 감정을 세심하게 표현하였다. 과감하게 배경을 단순화시키고 주인공에 초점을 맞춰 화면상 돋보이게 했으며, 선택적으로 가해진 명암, 소재에 맞게 조화된 다양한 필치 등은 김홍도의 풍속화와 구별되는 김득신 고유의 개성을 돋보이게 하는 요소이다.